Stone Fruit

Stone Fruit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발해는 왜 망했나? 고구려 이후에 그 강했던 고구려 민족이 만든 발해가 그리고 꽤 강성했다고 했던 그 발해가 왜 소리 소문없이 하루 아침에 증발했나? 역사학자들이 나름 그럴듯한 이유를 만들어 가져다 붙이지만 아무도 확실한 이유를 알 수 없고, 그럴듯한 증거도 없습니다. 그저 여전히 불가사의한 일로 남아 있습니다. 

발해하면, 옛날에 드라마로 만든 사극이 생각납니다. 주인공 주몽이 여러 공을 세우는데 그 중의 하나가 소금 광산을 발견하는 일입니다. Salt Stone. 소금. 농사가 힘든 추운 지역에서 주요 먹거리는 사냥한 짐승이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 고기를 구워먹으려면 소금이 필수입니다. 

소금이 고기 먹을 때도 필요하지만 사람에게나 짐승에게나 몸에 반드시 필요한 성분이기도 합니다. 지금도 몽골에서 사람들이 순록을 주변에 두고 길들이는 도구로 쓰이는 것이 소금입니다. 순록들이 사람들이 주는 소금을 먹기 위해 늘 사람들 주변에 머무른다고 합니다. 소금, 요즘은 그저 흔한 양념의 한 가지이지만, 그게 생명의 근원입니다.

유럽 음식이 짠 이유도 소금의 역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유럽에서도 그 옛날 소금이 아주 귀했습니다. 그래서 귀족들의 식탁에서 요즘 트러플 같이 아주 귀한 것이 소금이었습니다. 귀족들은 손님들에게 소금을 펑펑 내놓은 것이 최고의 대접이었고, 음식에 소금을 맘껏 뿌리고 먹는 것이 아주 호사스러운 일이었습니다. 그 전통이 이어져 서양 음식이 짜다고 합니다. 

소금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채소나 과일이 맛있습니까? 고기가 맛있습니까? 요즘 사람들 고기 많이 좋아하니까, 대뜸 대부분분 당연히 고기가 맛있다고 할 것입니다. 삼겹살에 소주, 크! 얼마나 맛있습니까?

그런데 가만 생각해보면 고기가 양념없이도 맛있습니까? 족발 먹을 때는 새우젓이 제격이고, 삼겹살 먹을 때는 된장이나 소금에 찍어먹어야 질리지 않습니다. 스테이크도 마찬가지입니다. 얼마나 다양한 스테이크 소스들이 있는지 모릅니다.

그렇다면 수박 먹을 때, 참외 먹을 때, 복숭아 먹을 때, 소스가 필요합니까? 과일은 그냥 그 과일만 먹어도 다 달고 시고, 상큼하고 맛있습니다. 모두 제각각 고유의 맛을 가지고 있고, 다른 것과 곁들일 필요없이 순수하게 그 과일 자체만을 즐길 수 있습니다. 

채소도 마찬가지입니다. 뭐 삼겹살에 된장 찍어서 상추에 싸먹으면 천국가는 맛이지만, 배추든 무든 그냥 먹어도 머리가 시원해지는 맛이 있습니다.

그런데 뭐 그거 가지고 그렇게 심각하게 싸울(?) 필요는 없는 일이고, 채소든 과일이든 고기든 좌우지간 맛있게 잘 먹으면 좋고, 감사한 일입니다. 땅에서 채취한 소금을 salt stone이라고 했는데, 과일 중에도 stone fruit이라고 부르는 과일이 있습니다. 자두(plums)를 stone fruit이라고 합니다. 자두뿐만이 아니라 복숭아 살구도 stone fruit이고 더 작은 것 중에는 체리나 앵두도 stone fruit이라고 합니다. 과일 가운데 돌같이 큰 씨가 있어서 생물 학자들이 그렇게 분류를 한 모양입니다.


Plum Love, 자두 사랑, 그런 말 들어본 적 있습니까? 제가 즉흥적으로 만들어 낸 말입니다. 자두 하나를 몇 입에 다 먹어야 합니까? 요즘 코스트코에 자두가 제철입니다. 정말 맛있습니다. 그 단단한듯 사각한 식감과 달고 새콤한 맛을 머금은 과즙, 그걸 한 입 깨물 때의 황홀감. 그런데 첫 입을 너무 많이 깨물면 안됩니다. 그 첫입이 너무 맛있으면 다음 한 입을 옆에 있는 사랑하는 사람에게 맛보게 해야 합니다. 그래서 그게 자두 사랑입니다. 그렇게 두 입을 나 한 입, 너 한 입 먹은 다음에 나머지는 과즙을 흘리지 않게 쪽쪽 빨면서 좌우로 한번씩 여덟 입을 먹으면 자두 한 알을 열 입에 클리어 할 수 있습니다.

그 옛날 에덴 동산에서 아담과 이브가 그렇게 자두 사랑을 하면서 지내며 각종 과일을 둘이 나누며 잘 살았는데, 하루 아침에 마귀의 꼬임에 넘어가 그 이후로 온 인류가 망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잘(?) 망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인간들 하는 꼴이 그 오랜 역사를 지내며 보고 들었는데도 하나도 나아지는 것 없이 했던 일을 계속 반복 재생하고 있습니다. 과학의 발달? 그게 인류가 나아지고 있는 겁니까? 뻘짓의 대규모화가 아니고요?

사람들, 돈에 미쳐 그렇게 대규모로 망할 일이 아니라 욕심내지 말고, 조그만 일에 감사하고, 자두 사랑하듯 서로 나누고 양보하고 베풀며 살아야 에덴 동산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이렇게 그렇게 미친듯이 정치하면 빈부격차 커지고, 인종차별 발생하고, 서로 망하는 일입니다.

참고로 플럼(plum)은 졸업식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서양에서 plum blossoms은 인내, 희망, 화복력, 끈기, 재탄생을 의미하는 꽃말을 가지고 있어서 졸업 시즌에 맞는 말이고, 졸업 가운이 학위에 따라 plum색을 규정하고 있기도 합니다.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든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보실 경우,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글이 열립니다.

https://vancouver-story.blogspot.com 

https://www.youtube.com/@vancouver-story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예람 워십

독스에 한자 넣기

Into the S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