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gemini인 게시물 표시

AI의 그림 실력

이미지
AI의 그림 실력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우리는 지금 AI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일반인들은 AI라는 이야기를 듣고는 마치 상대성 이론이나 양자론 같이 내가 이해할 수 없는, 나와 상관없는 수준의 뭔가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AI는 가랑비에 속옷 젖듯이 이미 우리의 일상에 들어와 버렸습니다. 이제는 프로 바둑 기사들도 AI와 바둑을 두며 연습 대국을 두고 있는 상황이고, 일반인들도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며 워드 쓰듯이 AI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 되었습니다. 일반인들이 AI를 이용하여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리고 비디오를 만들고 있습니다. 유튜브에도 AI를 이용하여 만든 비디오들이 난무하기 시작했습니다. AI에게 질문을 했을 때, AI가 내놓는 답변이 꽤 쓸만한 것이 많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사람이 일일이 인터넷을 검색하여 정리해야 할 것을 AI가 순식간에 그 일을 대신해주는 셈이니, 사람이 기존에 하던 방식으로 관련 웹사이트를 일일이 검색하여 내용을 읽어보고 분석하고 정리해낸 결과가 AI가 해낸 것보다 더 나아질 확률도 별로 없습니다. 그냥 AI가 내놓은 결과를 이용하면 됩니다.  어떤 정보에 대한 수집, 분석, 정리는 AI의 능력이 꽤 쓸만한 반면에, 그림이나 비디오는 아직 사람이 만든 것만큼 감성이 아날로그하지 못합니다. 그림을 보면 색감이 너무 매끈하고, 그림의 분위기가 뭔가 경직(?)되어 있습니다. 비디오도 마찬가지입니다. 그에 더하여 AI가 그려내는 그림이 결정적인 에러를 만들어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Copilot)에게 할머니가 스마트폰으로 골프 게임하는 모습을 그림으로 그려달라고 요구했고, AI가 그려낸 결과물입니다. 그런데 뭔가 이상하지 않습니...

아, 소름돋게 만드는 AI

이미지
아, 소름돋게 만드는 AI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레가시한 동영상은 세로보다 가로가 긴 즉, 스마트폰을 수평으로 길게 하여 찍은 비디오인데, 사람들이 스마트폰으로 비디오를 찍으면서 그대로 세로가 긴 동영상을 찍는 것이 대중화되어 버렸습니다. 유튜브에서는 이렇게 세로가 긴 동영상을 “쇼츠(shorts)”라고 하여 따로 분류해 놓았습니다. 저는 ‘비디오를 어떻게 세로로 찍냐? 어떻게 보라고?’ PC화면에서 가로로 긴 기존의 동영상이 비디오의 정석이라고 생각하는 고정관념에 매여 스마트폰으로도 세로로 비디오 찍는 것을 극도로(?) 금하고 있던 제가, 스마트폰을 세운 화면에서 동영상을 제대로 보려면 스마트폰으로 비디오를 찍을 때, 세로로 찍어야 제대로 볼 수 있고, 스마트폰에서는 그리 보는게 화면에 꽉 차 보여 “스마트폰-세로 촬영”이 정석이겠구나 싶은 생각이 어느 날 불현듯 들었습니다. 최근의 일입니다. 그리고 찍은 사진이나 비디오를 편집할 때 스마트폰에 있는 비디오 편집 앱인 키네마스터를 이용하는데, 이 앱에 세로로 긴 비디오 화면을 편집하는 옵션이 있는 것을 알고 실제로 세워서 찍고 세운 화면으로 비디오 편집을 해봤더니, 정말로 스마트폰을 세로로 길게 세운 상태에서 세로로 편집한 비디오를 보는 것이 화면에 꽉 차 크게 시원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는 스마트폰에서는 세로로 긴 화면이 과연 짱이구나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유행에 앞서 갔고, 제가 유행에 뒤쳐진 구닥다리였구나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일입니니다. 그러면 요즘 비디오 영상을 만들 때, 세로 가로 해상도 비율은 어찌 되는지 궁금해질 일입니다. 키네마스터 초기 화면에 나오는 화면 선택 비율은 가로로 긴 것은 16:9...

Google I/O 2025

이미지
Google I/O 2025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지난 5월 20일에서 21일 이틀간 샌프란시스코 실리콘 밸리 구글 본사 곁에 있는 앰피시어터(Amphitheatre)에서 구글 개발자 컨퍼런스가 개최되었습니다. 그것에 온라인으로 참석하라는 이메일을 구글로부터 받았지만 이런저런 일로 잊고 지나가 버렸습니다. 그런데 유튜브를 보니 이번 구글 컨퍼런스와 관련된 동영상들이 많이 보여서 소개합니다. 바로 아래 동영상에 나오는 인물은 연예인인데 IT에 대해 보통 사람 이상의 관심을 가지고 있고, 아는 것도 많습니다. 이번 구글 컨퍼런스의 메인 이슈는 역시 AI였고, 그 중에서도 AI에 의한 검색 시장에 대비하는 구글의 과감한 결정이었습니다. 현재 웹베이스의 검색 시장을 독점하다시피 장악하고 있는 구글이 AI 시대에 검색 광고 시장의 지배력을 상실하지 않기 위해 현재 장악하고 있는 검색 시장을 자기들의 AI로 스스로 잡아먹을, 정말 쉽지 않았을 결정을 한 것이 가장 핫이슈이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아래 글은 구글 AI(Gemini)에게 이번 구글 개발자 컨퍼런스의 주요 이슈가 뭔지 물어보았더니 답을 한 내용입니다. =================== Google I/O 2025 컨퍼런스의 주요 이슈는 단연코 인공지능(AI) 이었습니다. 거의 모든 발표와 세션에서 AI, 특히 구글의 차세대 AI 모델인 제미나이(Gemini) 가 핵심적인 역할을 차지했습니다.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제미나이(Gemini)의 대대적인 업데이트 및 확장: 제미나이 2.5 공개: 더욱 향상된 성능과 추론 능력을 갖춘 제미나이 ...

제마나이 캐나다 오다

이미지
제마나이 캐나다 오다 제마나이(Gemini)가 드디어 캐나다에 도착했습니다. 쳇GTP로 시작된 AI 대전. 쳇GTP는 카카오톡에 심어서 사용해봤고,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도 윈도11을 쓰면서 빙(Bing)에 실린 것을 사용해보았습니다. 인공지능하면 구글인 줄 알았는데 구글은 뒤늦게 바드를 내놓았습니다. 얼씨구나 좋다 바드는 어떤지 한번 써보자 하고 바드를 열어 보려고 하는데 이게 웬걸 캐나다에서는 바드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법적인 문제 때문에. 시무룩해졌던 기억이. 그때 법적인 문제라는 것이 Bill C-18이라는 법조항 때문이었던 같습니다. 그런데, 오늘(2024년 2월 8일) 드디어 구글의 제마나이를 캐나다에서도 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바드가 제마나이로 이름을 바꿔 캐나다에 도착했습니다. 써보니 스타일이 제 취향입니다. 그림도 바로 그려주는 게 좋습니다.  그런데 이게, 노트북에서 크롬을 열면 제마나이를 바로 열 수 있는 탭이 생성이 됩니다. 아주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스마트폰 앱은 아직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제마나이에게 물어보니 된다고 앱을 깔 수 있다고 했다가, 다시 안된다고 횡설수설 합니다. 스마트폰 앱은 아무리 찾아도 없습니다. 다만 스마트폰에서도 PC에서와 같이 크롬으로 제마나이 웹을 열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