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Skechers인 게시물 표시

캐나다는 미국 물건 관세 물리지 않기로

이미지
캐나다는 미국 물건 관세 물리지 않기로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트럼프가 자국 기업들에게 수출 관세까지 붙인다는 소리를 얼핏 들으며 두 귀를 의심한 일이 있습니다. 정말로 그런 생각을 했다면 미친 놈입니다. 정부 재정 확대에 눈이 멀어 관세를 때리는 것은 그렇다 치고, 수출 관세까지 때리면 자국 기업들을 망하게 하려고 하는 건지, 뭔 생각으로 마구 그런 식으로 권력을 휘두르고 있는지 모를 일입니다. 정말 수출 관세를 때리겠다고 했는지 그 일에 대한 진위 여부는 모르겠고, 좌우지간 트럼프가 이웃 캐나다와 멕시코는 말할 것도 없고, 세계 모든 나라에 대해 무차별 관세 폭탄을 투척했습니다. 러시아산 석유를 사 쓴다는 죄목으로 50% 관세를 맞은 인도는 총리가 아예 트럼프를 상종조차 하지 않고 있습니다. 트럼프가 네 차례나 전화를 했는데도 받지 않았다는 소리를 들으면서 참 코미디도 이런 코미디가 없다 싶은 생각이 듭니다. 인도 수상은 트럼프를 완전히 양아치, 상종 못할 놈으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 와중에 캐나다 수상은 미국에서 들어오는 물품에 대해 관세를 부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캐나다 국민의 경제 사정을 어렵게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한 것입니다. 이 일로 인해 슬슬 오르기 시작하려고 하던 물가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인지 기대가 됩니다. 아마존의 물건값들은 확실이 슬슬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아마존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가격이 다시 전과 같은 수준으로 내려올 지 두고 볼 일입니다. 아내가 지난 2년 간 잘 신은 흰 신발이 정말 낡아보여 개비를 하려고 아마존에서 신발을 골라보니 백불이 넘는 가격입니다. 요즘 신발이 옛날 같이 20불 대의 신발이 없습니다. 코스트코에 싸...

놀보의 하루

이미지
놀보의 하루 대한민국에서는 아직도 대통령 탄핵 심판이 진행 중인가요? 그 와중에 아나운서 하면서 믿지 않다가 온누리 교회 나가면서 주님을 알게 되었고, 더 나아가 목사가 된 조정민 목사가 분별력을 잃고 헛소리하는 걸 전해들었습니다. 리틀 빌리그레함이라고 불리던 김장환 목사가 정치에 붙어 맛탱이가 가더만, 조정민 목사도, 깨어있는 사람인 줄 알고 시종일관 짜증내듯이 내뱉는 설교지만 가끔 듣곤 했는데, 그렇게 분별력 없는 사람인 줄 몰랐습니다. 너도 화성이나 가라, 내 관심망에서 지금 이후로 완전 아웃! 윤석열이 얼마나 잔인하고, 양심없고, 의리 없고, 자질 없고, 이기심 많은 인간인지 모르고 분별력 없이 태극기 흔들고 데모하고, 헌법 재판관 집 앞에 모여 데모하면서 죽인다고 협박하는 사람들은 정말 반민주 군부 독재의 앞잡이들입니다. 현대판 진심 빨갱이들입니다. 어찌 그렇게 분별력없는 사람들이 아름다운 강산 대한민국에 좀비들 같이 득실거리게 되었는지 정말 비참한 기분이 듭니다. 보통 사람은, 바람 피지 않고, 도박하지 않고, 술 마시지 않고, 폭력을 행하지 않으면, 이 네 가지만 지키면 원만하게 가정을 지키며 한 세상 살아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은 여기 네 가지에 더하여 한 가지가 더 있어야 합니다. 사람이라면 말입니다. 도덕성입니다. 한 개인이, 그냥 소시민이 도덕성이 없으면 그냥 주변에 한두사람에게 사기치고 끝날 일입니다. 하지만 큰 인물들이 도덕성이 없으면 사회에 민폐를 끼칩니다. 대통령이 도덕성이 없으면 온 나라 국민이 괴로움을 겪습니다. 윤석열이에게 그 도덕성이 없습니다. 자기 마음대로 권력을 휘두르며 사리사욕을 채우려고 하는데, 국민들이 말이 많으니까 계엄령을 선포하고, 그 계엄령이 무효로 돌아가지 않게 국회를 봉쇄하고, 자기에게 반대하는 사람들을 다 잡아 죽이려고 군대를, 무력을 동원했습니다. 누구 안면에 주먹 하나 날리는 정도가 아니라,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누고 들이댔습니다. 그런 대통령을 향한 탄핵을 반대하고 그가 발령한 계엄령을 계몽이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