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ramen인 게시물 표시

김밥에서 라면까지

이미지
김밥에서 라면까지 미국에서 김밥이 대박을 쳤다는 소리에 놀란 것이 얼마 전이었습니다.  “미국 사람들이 김밥 찾으러 미국 한인 마트에 몰려들었다고?” 그런 소린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그런 건 아니었고 알고보니 미국의 어느 그로서리 체인점이 한국에서 김밥을 만들어 바로 냉동시킨 다음 그걸 미국의 자기 체인점에 들여와서 냉동칸에 진열을 해놨는데, 그게 SNS 입소문(스마트폰 손가락 소문이라고 해야되나?)을 타고 나가 대박을 쳤다는 이야기입니다.  ‘그게 맛있을까?’ 밴쿠버, 코귀틀람과 버나비 사이를 가르는 노스로드 선상에 한인 마트 밀집 지역이 있습니다. 여기에 대표적인 두 한인 그로서리 체인 마켓이 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 북미에 대형 체인점을 구축하고 있는, 전두환의 손발들이 만들었다는, H-Mart가 있고, 그 대항마로 한남이라는 마켓이 있습니다.  먼저 H-Mart에서 그 냉동김밥을 들여와 팔기 시작했는데, 망했습니다. 마켓 푸드코트 주방에서 제대로 된 김밥을 말아 파는데, 한국인들에게 꽁꽁 얼린 냉동김밥이 팔리겠습니까? 노스로드에서 H-Mart와 한남이 막상막하인데, 점점 한남쪽으로 사람들이 더 몰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몇번 두 군데를 번갈아 드나들며 쇼핑을 해봤는데, 몇번 둘을 동시에 경험해보니, 그럴만한 미묘한 뭔가 차이가 있습니다. 한남이 더 열심히 장사를 하고 있는 분위기? 뭔가 더 와글거리고 있다는 느낌적인 느낌. 각자 직접 경험해봐야 느껴볼 수 있는 그런 분위기, 개인적으로 느끼는 제일 큰 차이는 안쪽 정육 코너에서부터 그 라인 끝쪽 주방까지의 디스플레이와 분위기가 H-Mart와 사뭇 다르고, 잘 살아있다는 느낌. 확실히 H-Mart보다 한남에서 사람들과 더 부대끼고 있는 것을 느낍니다. 그런데 보니, H-Mart에서 철수시켰다는 냉동김밥을 한남이 진열을 해놓았습니다. 냉동김밥이라는 것을 처음 봅니다. 모르는 사이에 다양한 업체에서 다양한 김밥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K-Pop 열풍으로 시작된 K문화 열풍이 K김밥까지

Seawalk on Snow

이미지
Seawalk on Snow 어제 하루종일 폭설이 내리고, 오늘 2024년 1월 18일은 어제에 이어 오후에 가볍게 눈발이 날립니다. 세상이 하얗게 덮혀지면 영화 러브스토리가 생각나지요. 눈길을 걸으며 데이트하고 싶어집니다. 바닷가로 나가 사진을 찍으니 마치 흑백사진같이 묘한 분위기의 눈사진이 찍힙니다. 태어난지 채 1년이 되지 않은 갈매기들은 세상을 뒤덮은 눈을 보며 경악을 감출 수 없나봅니다. 울음소리가 듣도보도 못한 격한 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그래도 바다는 얼지 않아서 바닷가에서 물속 수초를 뜯어먹는 오리들을 볼 수 있습니다. 밴쿠버에는 폭설이 1년에 두어번 밖에 오지 않으니 눈오는 날이 매우 귀한 날입니다. 그 귀한 시간을 알뜰히 쓴 흔적들(눈사람)이 곳곳에 보입니다. 눈이 오지 않았다면 사람들로 붐볐을 씨웍(Seawalk)과 몰이 사람이 별로 보이지 않아 정말 한산합니다. 데이트에는 밥이 있어야 합니다. 눈 온 날이니, 뜨거운 국물이 생각납니다. 여기 국밥집은 없고, 일본 라면집에 들어갔습니다. 1월 특선이라고 하여 스파이시 오브세션 라멘을 소개하고 있어 그거 하나와 스파이시 치킨 라멘을 주문했습니다. 또 속았습니다. 제 인생에서 일본 라면을 맛있게 먹은 역사가 없습니다. 이번도 마찬가지. 국물은 뜨겁지도 않고 면은 덜 익었고, 국물에 기름은 둥둥 떴고, 엠에스지 맛이 느끼하게 풀풀 나고. 두어 젓갈 뜨다 말고 나왔습니다. 앞으로 일본 라면은 절대 먹지 않을 생각입니다. 한국라면, 그냥 집 부엌에서 계란 하나 넣고 끓인 라면이 백배 낫습니다. 아! 맥없이 증발한 45불. 그런데 참 이상합니다. 음식 수준이 이런데 손님이 꽤 들어옵니다. 이 고급지고 비싼 동네 사람들이 이런 쓰레기를 먹으러 오다니 참 불쌍하기도 하고, 라이프 스타일 수준이 그 정도밖에 안되는 건지 허접하다는 생각도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