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seawalk인 게시물 표시

Chip on the Beach

이미지
Chip on the Beach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드디어 7월이 시작이 되었습니다. 올여름을 무사히 지낼 수 있을까? 올 여름 가장 공포스러운 곳 중의 한 곳은 지중해 연안이 아닐까 싶습니다. 태평양은 남극으로 열려있고, 대서양은 북극과 남극 모두로 열려있는데, 지중해는 호수같이 갇혀있는 바다입니다. 더구나 유럽과 아프리카 사이 사하라 사막 바로 위 뜨거운 지역에 놓여있는 바다입니다. 다른 바다에 비해 바다의 수온이 가파르게 상승하여 모두들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이미 수많은 지중해 바다속 해양식물이 죽음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올 여름도 그렇고 지중해를 중심으로 앞으로 어떤 비극이 전개될지 상상할 수 없는 일입니다. 지중해가 뜨거우니 유럽의 더위가 장난이 아닌 모양입니다. 오늘, 구름이 해를 가리고 있어 씨웍(Seawalk of West Vancouver)으로 나가 걷기 좋은 조건입니다. 그런데 이곳도  분위기가 심상치 않음을 얼핏 느끼게 됩니다. 뙤약볕이 없는데도 바닥에서 올라오는 열기가 느껴집니다. 늘 시원하게 느낄 수 있는 바닷바람의 서늘한 기운도 느껴지지 않습니다. 이곳이 이런 정도이니, 지중해 연안은 정말 공포스럽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뜨거움 속에 무화과도 일찍 열매를 맺고 있습니다. 오리들도 더운지 보통 때 같으면 잔디 위에서 풀을 뜯고 있을 애들이 해변으로 나와 피서를 하고 있습니다. 던다레이브(Dundarave) 비치에는 물로 들어가는 사람들이 꽤 보입니다.  베이워치 종사자들도 근무하고 있습니다. 여름 한 철에만 근무를 합니다. 여름에만 문을 여는 비치 상점에서 감자칩을 팔고 ...

웨스트 밴쿠버

이미지
웨스트 밴쿠버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살고 있는 집 현관을 나서면 팜트리(palm tree)가 두 그루 있습니다. 요즘 거기에 어마어마한 크기의 열매가 가지가 휠 정도로 많이 열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게 열매가 아니고 팜트리의 꽃이라고 합니다. 이 꽃은 요리해서 먹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정작 열매가 열리면 그 열매는 먹을 수 있는 게 아니라고 합니다. 희한한 일입니다. 봄꽃들이 가고 여름맞이 꽃들이 피고 있는데, 알리움(allium)이 참 예쁘고 신비로운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건 진화로 생긴 것이 아니라 창조주가 설계하고 만든대로 그 씨앗이 싹이 터서 이 꽃을 만드는 것입니다. 그럼 그 꽃은 다시 씨앗을 퍼뜨리고 그 씨앗은 또 알리움이 되는 것입니다. 알리움 씨앗이 튜울립이 되는 일은 절대로 없습니다. 그런데도 그게 뭐 어떻게 다른 것이 될 것이라고 진화론자들은 비싼 밥 먹고 헛소리를 대대손손 계속하고 있습니다. 파피(poppy)의 빛깔이 얼마나 우아한지 모릅니다. 색이 없는 흰색이 어찌 이리 아름다울 수가 있나요? 이르게 코스모스가 피었습니다.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모여 창조주의 사랑을 찬양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일제 치하에서 신음하고 있을 때, 밴쿠버 사람들은 스탠리 파크와 웨스트 밴쿠버를 연결하는 현수교를 만들었습니다. 5월말, 거대한 마로니에 나무를 마로니에 꽃들이 나무 전체를 장식하고 있습니다. 가을이 되면 밤톨과 거의 식별 불가한 마로니에 열매들이 주렁주렁 열리고 땅에 떨어질텐데, 독성 때문에 사람이 먹을 수는 없습니다...

Seawalk in West Vancouver

이미지
Seawalk in West Vancouver 씨웍(Seawalk)은 웨스트 밴쿠버 바닷가의 산책길입니다. 씨웍을 걸으면 바다 건너편에 스탠리파크의 씨월(Seawall)이 보입니다. 웨스트 밴쿠버 시민들에게 씨웍은 씨월보다 더 좋은 산책로입니다. 집에서 가깝고, 동네주민들끼리만 이용하는 산책하기 아주 쾌적하고 안전한 장소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씨웍 산책로는 캐나다 철도회사(CN Rail) 사유지입니다. 이 산책로는 해안을 따라 철도를 건설하면서 생긴 땅에 조성된 것입니다. 따라서 땅은 철도회사의 사유지입니다. 철도회사는 자기들 사유지가 침범 당했다고 웨스트밴쿠버 시를 캐나다 교통국(CTA)에 고소합니다. 웨스트 밴쿠버 시민들이 이 좋은 산책로를 사용하지 못할 위기에 처하게 됩니다. 이 고소건은 결국, CTA와 BC대법원까지 개입되어 조정 절차에 들어갔는데, 잘 해결이 되었다고 합니다. 사실 CN은 돈을 바라고 고소를 시작했다는 의혹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기차 지나가는 것이 너무 시끄럽고 진동이 심해 주민들이 기찻길에 누워서 기차 운행을 반대하면 어쩔건데? 주민들이 그걸 그냥 참아주는 것이 고마워 매년 크리스마스 때마다 기찻길 옆 주민들에게 선물을 돌려도 모자랄 판에. 결국 철도회사와 웨스트밴쿠버 사이의 분쟁은 주민들 행복하게 잘 마무리가 되었다고 합니다. 거액을 요구한 철도회사에 웨스트밴쿠버가 일시불로 돈을 지불하고 씨웍을 웨스트밴쿠버 시민들이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마무리가 되었다고 합니다. 도대체 돈을 얼마를 지불을 했는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습니다. 씨웍을 걸을 때마다 아주 소중한 것을 얻은 것에 대한 감사함을 느끼며 더 행복하게 산책을 즐겨야 합니다. 2월 들어 눈이 많이 내린 흔적이 씨웍에도 남아 있습니다. 스탠리 파크 너머 하늘에 크게 뜬 뭉개 구름이 대왕고래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이 구름은 눈이 내린 다음에 햇볕이 좋아지자 강수량이 많은 버나비 지역에서 급격하게 생성된 구름이 아닐까 싶은 생각...

폭풍 전야

이미지
폭풍 전야 폭풍 전야, 폭풍은 아니고 눈, 눈이 폭풍처럼 정말 갑자기 왕창 내렸습니다. 2025년 2월 2일, 아침이 되니 눈이 엄청 쌓여 각 시청마다 고속도로와 큰 길의 눈들은 다 치웠지만, 뒷길은 손길이 부족하여 손을 대지 못해 정말 엉망진창입니다. 그리고 그 눈은 끊어지지 않고 내일도 또 온다고 합니다.  2월 1일, 눈 내리지 않은 1월이 가고, 2월이 시작이 되었는데도 눈이 내릴 기미는 전혀 보이지 않았습니다. 눈이 이렇게 왕창 내리기 하루 전날, 날이 정말 맑았습니다. 웨스트 밴쿠버의 씨웍(Seawalk)에는 겨울 햇살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햇볕을 즐기며 많이 걷기를 즐기고 있었습니다. 씨웍을 대충 한 시간 정도 즐기고나서 파크로열몰로 갔습니다. 아래 그림은 제가 손목에 차고 있던 핏빗 차지6가 제 호주머니 속의 스마트폰에 그린 저의 산책 궤적의 일부입니다.  뭔가 필요한 것이 있어서 먼저 홈센스에 들렸습니다. 매장을 구경하기 전에 화장실에 먼저 들렸는데, 일을 보고 나오다보니 발밑에 흥미로운 것이 보입니다. 코비드 이후에 생긴 아이디어인데, 손으로 여러사람이 만질 수 있는 문고리를 만지지 말고, 발바닥으로 문을 열 수 있는 장치를 문 밑쪽에 달았습니다.  문고리에 그걸 사용하는 방법을 알 수 있는 그림을 붙여놓았습니다. 간단하고 단순한 아이디어지만 기발합니다.  날이 좋아서 그런지 상대적으로 몰 안은 전에 비해 많이 붐비지 않습니다. 푸드코트 안 테이블도 빈자리들이 꽤 많이 보입니다. 한 자리를 차지하고 앉아아 스마트폰을 테이블 위에 놓고 팀호튼즈 앱을 열었습니다. 칠리수프(chili soup) 콤보를 시켰습니다. 그리고 크림도넛 하나와 블랙커피도 하나 시켰습니다. 칠리수프가 상당히 괜찮습니다. 콤보로 나온 빵에 칠리를 올려 먹어도 되고, 빵 한 조각 물어뜯고 수프 한 스푼 떠먹고 뭐 그렇...

고래 봤다

이미지
고래 봤다 고뢔? 고래 봤어? 오랜만에 참 화창한 날씨입니다. 햇볕이 참 좋은데도 공기는 아직 엄청 차갑습니다. 하늘에서 푸른 물감이 쏟아져내려 바닷물이 짙푸른 색깔로 물들어 버렸습니다. 던다레이브쪽에서 스탠리 파크쪽으로 바라보는 뷰에도 바닷빛은 사파이어빛보다 더 짙푸릅니다. 오후 시간이 뒤로 늘어질수록 씨웍(Seawalk)에 햇볕을 잡으려는 사람들이 점점 더 많이 늘어납니다. 사람들이 밴쿠버쪽 먼 바다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보니 돌고래들이 보입니다. 간혹 한번씩 물 위로 몸을 내미는 몸도 보이지만, 뿜어내는 물줄기로 보아서는 너댓마리 정도로 보입니다. 큰 고래는 아니고 아마도 작은 돌고래들이 오카(Orca)에 쫓겨서 안쪽 바다로 들어온 모양입니다. 아래 그림은 한 마리가 뿜어내는 걸 잡은 것입니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반응 속도가 늦어서 크게 뿜어내는 순간을 포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아래 그림은 두 마리가 뿜어내는 모습입니다. 이쪽 웨스트 밴쿠버에서 고래까지의 거리가 대충 3km 정도 되기 때문에 집 앞 물에 나타난 고래지만 실감나게 디테일을 볼 수 없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래도 집 앞에서 고래 봤다.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든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보시면 광고가 방해가 됩니다. 노트북 화면으로 보면 광고가 옆으로, 밑으로 붙어 글을 읽기가 훨씬 편합니다. https://vancouver-story.blogspot.com   https://www.youtube.com/@vancouver-story

물의 나라

이미지
물의 나라 물, 동식물이 물 없으면 살 수 없게 설계되었고, 어마어마한 망원경을 동원하여 하늘을 아무리 들여다 보아도 아무도 지구만큼 물이 흔한(?) 혹성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물이 흔한 정도가 아니라 지구에는 물의 비율이 압도적입니다. 땅면적보다 바다 면적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물이 이렇게 많아서 좋은 점이 무엇인가요? 비열이 높은 물이 엄청 많기 때문에 지구위의 기온이 크게 편차가 없습니다. 낮이건 밤이건, 해가 있건 해가 없건, 기온을 일정하게 유지해줍니다. 일교차가 있기는 하지만, 그 정도의 기온변화는 동식물들이 얼마든지 견딜만합니다. 지구에 물이 이만큼 있지 않다면 밤에는 죄다 얼어죽고, 낮에는 몽땅 불에 데어 죽을 것입니다.  조물주가 인간을 그토록(?) 사랑하사 이렇게도 정교하게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어 잘 먹고 잘 살게 해주었는데도, 보이지도 않는 신을 어떻게 믿느냐고 당당하고 뻔뻔하게 죽을 소리를 하는 인간들이 많습니다. 악다구니를 쓰면서 그것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게는 당장 어떻게 해줄만한 말이 없습니다. 그냥 그 당당한 무식함이 안타까울뿐입니다. 자기를 창조한 조물주를 부인하는 것은 자기를 낳아준 부모에게 삿대질하며 욕하는 것과 같은 양아치같은 행동입니다. [요3:16]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그를 믿는 자마다 멸망하지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라 [Jn 3:16, NIV]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잠1:7]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이거늘 미련한 자는 지혜와 훈계를 멸시하느니라 [Pr 1:7, NIV] The fear of the LORD is the beginning of knowledge, but fools despise wisdom and instruction. 물, 밴쿠버는 ...

슈퍼캐치

이미지
슈퍼캐치 슈퍼캐치(Super Catch), 요즘 세간의 화제가 되는 슈퍼캐치는 돌아오는 우주선 로켓을 잡아내는 엄청난 장면입니다. 좌우지간 인간들이 별짓을 다하고 있는데, 그 짓은 왜 하고 있는지 모를 일입니다. 우주개발? 그게 정말 필요한 일인가요?  일반인이 달에 관광 가고, 화성에 가서 살고, 그게 정말로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그 일을 추진하고 있는 걸까요?  어느 혹성에서 사람이 살 수 있으려면 지구의 바닷물처럼 물이 이리 많아야 합니다. 물의 흔적 같은 것으로는 안됩니다. 자전 속도와 햇볕이 비치는 강도도 지구와 같아야 하고, 물뿐만 아니라, 공기도 식물도 지구에서처럼 풍부해야 합니다. 중력과 기압도 지구와 같아야 합니다. 우주복을 입지 않고도 살 수 있는 환경이어야 합니다. 우주복을 입고는 오줌도 똥도 쌀 수가 없고 기저귀를 차고 있어야 합니다. 우주선 안은 공간도 좁고, 빨래를 하고 건조할 자원과 환경도 극히 제한적입니다. 뭐 하나 고장나면 그걸 고칠 재료나 공구나 시설, 테크니션도 없습니다. 식물이 수정을 하고 꽃을 피우고 씨를 맺으려면 곤충을 비롯한 동물들도 풍성해야 합니다. 그런 환경이 아닌 데로 사람들을 끌고 가면 전멸할 확률 백프로입니다. 구조대를 보낼 수도 없고, 구조대가 올 때까지 견딜 자원이나 환경도 외계에서는 확보할 수가 없습니다. 우주복이 찢겨 미세한 구멍 하나만 생겨도 누가 도움을 줄 시간도 없이 그대로 사망입니다. 사람들이 공상과학 영화를 너무 많이 봐서 우주개발과 여행에 대한 상식이 없어졌습니다. 우주선 캐치를 미식축구 좋아하는 미국사람들은 레전즈드가 된 슈퍼볼에서 있었던 헬멧 캐치(helmet catch)에 빗대고 있습니다. 도대체 헬멧캐치가 뭔지 유튜브에서 수퍼볼 헬멧캐치로 키워드를 쳐보면 그 순간의 경기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정말 믿기 어려운 짜릿한 경기 장면입니다. 제 인생에도 슈퍼캐치가 몇 있습니다. 그 중에서 최고의 캐치는 지금 사는 밴쿠버, 그 중에서도 웨스트 밴쿠버가 아닌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