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야고보서인 게시물 표시

사부작 사부작 꼼지락 꼼지락

이미지
사부작 사부작 꼼지락 꼼지락 교회 이야기, 주님 이야기, 목사님 이야기 하나 없는 이 이야기가 마음을 울립니다.  교회 이야기 하면서, 주님 이야기 하면서, 폭력 집회를 열고, 돈과 힘으로 권력을 쥐려는 사람들, 그런 그들을 인간적 욕심에 넘어가 거의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교회 세력들, 정말 야만적이고 비호감입니다.  인간이 인간에게 베푸는 선행으로도 사람의 목이 메이는데, 주님이 사람에게 무한으로 주시는 은혜는 어느 인간이 주는 것에 비할 바가 아닙니다. 우리가 숨쉬는 공기, 따스한 햇살, 아름다운 꽃들, 하늘의 별들, 들에 펼쳐진 곡식들, 나무에 열리는 열매, 모두 주님이 사람에게 아낌없이 주시는 선물이고 은혜입니다. 사람들이 그런 주님 앞에 엎드려 감사하는 겸허함, 신실함이 없어졌습니다. 그것을 잊어버리니 교회 다니는 사람이 무서워지고, 교회가 악행을 일삼는 악당들의 집단인 것처럼 보이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미국이나 한국이나 매 한가지입니다. 트럼프같은 사람이 대통령 취임식에서 마치 목사님이 교회에서 설교하는 것처럼 하나님 이야기를 합니다. 교회가 사람들이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도구가 되다니 너무 어이가 없는 세상이 되고 말았습니다. 이명박이 같은 사람도 교회 장로라고 하면서 대통령 자리에 있으면서 나랏돈을 도둑질한 것이 이만저만한 것이 아닙니다. 도둑 중에서도 상도둑놈입니다. 주님이 모세를 칭찬한 것은 사람 중에 그렇게 선한 사람이 없다고 하신 것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이 마지막 주신 사명도 사랑입니다. 문형배 판사만큼, 김장하 선생만큼의 선함과 베품이 없으면서 교회 다닌다는 말이 너무 부끄러운 것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약2:26] 영혼 없는 몸이 죽은 것 같이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것이니라 [Jas 2:26, NIV] As the body without the spirit is dead, so faith without deeds is dead. 이 말씀이 행함으로 구원을 받을 수 있다는 말로 오해해서는 안됩니다. 구원은 예수님을...

지혜문학

이미지
지혜문학 오늘날 보는 기독교의 성경은 구약과 신약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성경은 수많은 저자가 쓴 것을 모아놓은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쓰여있습니다. 시문학학 형태로 쓰여진 것도 있고, 역사서 형식으로 쓰여진 것도 있습니다. 문학적인 형태로 볼 때, 지혜문학으로 구분되는 것도 있습니다.  지혜문학에 해당되는 것은 욥기, 잠언, 전도서, 야고보서입니다. 잠언과 전도서가 지혜문학에 들어가는 것은 언뜻 감으로도 알만한데, 욥기와 야고보서는 “어, 왜?”라는 생각이 얼핏 들 수 있습니다.  욥기에 나오는욥이 살던 곳은 지금의 중동지방으로 추정이 됩니다. 그리고 바다가 그리 멀지 않은 지역으로도 추정이 됩니다. 지금의 중동지역은 뜨겁기 그지없는 지역인데, 욥기에는 눈, 춥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빙하시대, 빙하시대가 언제인가요? 지금도 빙하시대입니다. 엥? 빙하가 있는 시대가 빙하시대 아닌가요? 빙하, 북극이나 남극이나 알라스카까지 갈 필요없이 밴쿠버에서 두 시간 떨어진 휘슬러에도 산꼭대기에 빙하지역이 있습니다. 거기서 7월 한여름에도 빙하 위에서 사람들이 스키를 탑니다. 그리고 밴쿠버에서 자동차로 하루길인 캐나디언 록키의 빙하도 유명합니다. 욥이 살던 시대에는 빙하지역이 더 광밤위하여 중동지역까지 빙하가 덮힌 지역이 있었나 봅니다. 과학자들이 교과서에서 정의하는 빙하시대가 욥이 살던 시대이지 읺겠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욥은 욥기 10장에서 주님에게 대듭니다. 법정에서 한번 붙어보자고 나옵니다. 그런 성난 욥이 창조주의 변론을 듣고는 그 오만방자한 입을 닫고, 창조주의 위대함 앞에 무릎을 꿇고 맙니다. 이 변론 과정에서 욥기에는 하나님이 창조주이심을 부인할 수 없는 기가막힌 묘사들이 많이 보입니다. 정말 지혜의 말들이고 표현들입니다. 그렇다면 야고보서는 왜? 야고보서는 길지 않습니다. 버스 기다리면서 정류장 벤치에 앉아 한 호흡에 훅 읽을 수 있는 분량입니다.  종교개혁을 일으킨 마틴루터는 야고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