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6, 2015의 게시물 표시

저장공간이 부족해요

이미지
저장공간이 부족해요 written at Sep 9, 2015 -삼성 갤럭시 S2를 쓰면서 겪었던,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의 추억입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쓰면서 , 어떤 앱을 하나 설치하려고 하는데 , 느닷없이 저장공간이 부족하다면서 앱설치가 되지 않는 경험을 한 일이 있습니까 ? 저는 엊그제 , 구글 도큐 (doc) 앱을 설치하려다가 그런 봉변 (?) 을 당했습니다 .   그래서 추가로 메모리카드를 설치해야되나 싶었는데 , 가만보니 문제가 그게 아닙니다 . 저는 메모리카드를 추가로 꼽은 것도 없는데 , 스마트폰이 내장 메모리를 지가 디바이스 메모리 , USB 메모리로 나눠쓰고 있습니다 . 그게 물리적으로 다른 공간인지 , 아니면 한 메모리 안에서 지가 분할해서 쓰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좌우지간 , USB 스토리지라는 공간이 아직도 어마무시하게 많이 남아있는데 , 저장공간이 부족하다니 ? 웃길뿐입니다 . 그렇다면 뭐가 문제라서 이 스마트하지 못한 스마트폰이 G 랄을 하고 있는 것일까요 ? 웹을 뒤져보니 , 캐쉬 메모리를 클리어하라는 내용이 보입니다 . 그걸 보고는 , 제딴에 , “ 캐쉬가 먹어봐야 얼마나 먹는다고 ?” 무시해버리고는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닫고 , 메모리 ( 캐쉬 메모리가 아닌 ) 를 클리어해보기로 했습니다 . 젤리빈으로 작동되는 제 갤럭시 S2 폰의 홈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 그러면 오픈된 앱들이 보입니다 . 앱을 손가락으로 눌러 ‘ 휙 ’ 오른쪽이나 왼쪽으로 던지면 앱이 닫힙니다 . 그리고 위 화면의 아래쪽에 노란 화살표로 표시한 아이콘을 누르면 ,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 “ 클리어 메모리 ” 버튼을 클릭하면 , 메모리에 여유공간이 늘어납니다 . 그렇게 한 다음 , 설치되지 않던 앱을 기대를 가지고 다시 설치하려고 했더만 , 역시나 설치가 되지 않고 , 공간이 부족하다는 에러 메시지

오델로 터널

이미지
오델로 터널 생활권이 스쿼미쉬와 노스밴쿠버로 바뀐 이후에는 내륙쪽으로의 여행은 거의 없어졌습니다 . 실로 오랜만에 ,  넘버원 하이웨이를 타고 홉 (Hope) 으로 향했습니다 . 아내의 마음에 오델로 터널 (Othello Tunnels) 을 보고 싶은 강한 바람이 들어 마지막 여름의 황금연휴에 그리로 향했습니다 . 홉은 람보를 찍은 장소로 유명합니다 . 그리고 오델로 터널은 그 옛날 험한 계곡을 타고 철로를 건설하고 , 기차가 다닌 길입니다 . 긴 역사 이후에 철로 노선이 다른 곳으로 바뀌면서 옛 철길은 트레일로 개발이 되고 , 숨겨진 관광명소가 된 것입니다 . 이곳에 갈 때는 후레쉬가 필요합니다 . 후레쉬 없이 그냥 깜깜함을 즐기는 것도 괜찮습니다 . 어찌 이런 미련한 짓 ( 거대한 돌에 거대한 구멍을 뚫는 ) 을 했는지 모를 일입니다 . 꽁꽁 숨겨놓은 곳인데 , 어찌 찾아왔는지 , 사람들이 정말 많이들 놀러왔습니다 . 주변 경치가 정말 절경입니다 .

자동차 메이커의 워런티 비용

이미지
자동차 메이커의 워런티 비용 산지 얼마 되지 않은 차에 문제가 있으면 스트레스가 머리에 치받칩니다 . 겁먹은 ( 수리비 엄청 들까봐 ) 채로 딜러에 갔는데 , 워런티라고 하면서 차를 잘 고쳐주고 돈도 받지 않고 세차까지 해주며 키를 돌려받을 때의 기분은 하늘을 나를 것같이 개운할 것입니다 . 그런 경험들이 한두번씩은 있을 것입니다 . 그런 경험이 없었다면 그 메이커는 그 차를 완벽하게 만든 것입니다 . 시급 싸지 않은 테크니션이 땀삐질 흘리면서 고장을 잘 고쳐내면 그 레이버 (labor) 와 비싼 부품비에 대한 워런티 비용은 누가 감당하게 되는 것일까요 ? 물론 딜러가 그 비용을 충당할 수는 없습니다 . 떼돈을 버는 자동차 메이커가 워런티 비용을 모두 떠안게 됩니다 . 워런티 기간이 끝나 고객이 수리 비용을 지불한 부품은 딜러가 보관할 필요가 없습니다 . 그냥 쓰레기통에 던져넣어버리면 됩니다 . 하지만 워런티로 교체된 문제 부품은 자동차 메이커로 되돌려보내야 합니다 . 그래야 딜러가 메이커로부터 워런티 비용을 제대로 받아낼 수 있습니다 . 문제되어 돌아온 부품은 본사 작업실에서 해체하여 어디가 문제가 되었는지 분석작업에 들어갑니다 . 돌아온 부품들 중에 제일 덩치가 크고 , 비싼 부품 중의 하나는 엔진일 것입니다 . 문제가 되는 부품에 대해 , 관계된 부분의 사람들이 모두 모여 문제의 원인을 따집니다 . 멀리 떨이진 관련 부품 메이커는 화상회의로 모임에 참석합니다 . 그 자리에서도 문제 분석이 어려운 경우는 , 더 정밀한 분석을 위해서 메이커 연구소로 물건을 보내게 됩니다 . 메이커마다 워런티 작업후에 되돌아오는 부품의 양이 장난이 아닙니다 . 어마어마한 물량이 메이커의 분석실 대기 창고로 지속적으로 입고됩니다 . 그러면 그런 엄청난 워런티 비용 ( 테크니션 인건비와 배송비용까지 포함된 ) 이 자동차 만드는 원가 중의 얼마나 큰 포션을 차지할까요 ? 어떤 메이커가 워런티 비용을 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