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자동차인 게시물 표시

독일차에 대한 환상

이미지
독일차에 대한 환상 독일차에 대한 욕망(?)이 있습니까? 제가 GM딜러에서 일하고 있지만 유럽차도 자주 접할 기회가 있습니다. 지엠차만 정비하는 것이 아니라 중고차로 들어온 차들도 정비를 하기 때문에 중고차로 들어온 유럽차들을 만져볼 기회를 자주 가질 수 있습니다. 중고차를 테스트 드라이브하고 인스펙션하고 정비하기 위하여 유럽차를 베이로 끌고 들어오면 간혹 젊은 테크니션 친구들이 삼삼오오 몰려들어 차를 둘러봅니다. 연식이 오래되지 않고, 겉이 멀쩡하고, 마일리지도 많이 나가지 않은 독일차에 특히 관심이 많습니다. 왜 그럴까요? 왜 사람들은 독일차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을까요? 오늘 손을 좀 본 독일차는 2019년형 벤츠 C43입니다. B필러에 붙어있는 차량 인포메이션 라벨이 반쯤 뜯겨났습니다. ‘시원찮은!’ 미국 공장에서 조립된 차입니다. 미국이 수입차 관세정책을 빡세게 치기 시작한 이후 세계 각국의 자동차 메이커들이 미국 현지 공장을 세웠습니다. 이게 미국 경제에 일조하는 면이 아주 클 것 같습니다. 현대와 기아도 미국 공장을 세워 현지 지역 주민들을 먹여 살리고 있습니다. 독일차 중에서 뭔 차를 좋아하십니까? 독일에 가면 택시도 벤츠입니다. 독일에서 가장 대중적인 메이커의 양대 산맥은 폭스바겐과 벤츠일 것입니다. 그리고 BMW가 있고, 포르쉐가 있습니다. 아우디는 폭스바겐의 프리미엄 브랜드입니다. 이들 차 중에 제일 가지고 싶은 차가 어떤 차입니까? 밴쿠버에서 보면, 포르쉐도 정말 많이 보입니다. BMW의 인기는 당연하고, 아우디도 많이 보이는데, 아우디 운전자들은 거의 대부분 똘끼가 있습니다. 정말 매너없이 운전하는 차들 보면 백프로 아우디입니다. 연식 좀 나가는 BMW나 벤츠의 엔진룸을 들여다보면, 백프로 오일이 질질 새어나와 엔진이 시꺼멓게 오염이 되어 있습니다. 그걸 보이기 싫어서인지 독일차들은 엔진룸을 플라스틱으로 더덕더덕 덮어 가려놓았습니다. 이걸 보고, 무식한 사람들이 독일차는 복잡한 호스나 전기선이

자동차 산업의 빛과 그림자

이미지
자동차 산업의 빛과 그림자 성장기를 지나 선진국 저성장 스테이지에 들어선 한국은 이제 더 이상 대기업 공채모집 같은 것이 없어졌습니다. 대학만 졸업하면 갈 곳 많던 시절, 취업걱정 할 필요없이 일할 곳을 골라잡던 그런 시절이 다시는 오지 않을 것 같습니다. 졸업하기도 전에 취직이 되던 시절, 들어갈 대기업을 골라잡기 하던 그 시절에, 기업마다 독특한 특징이랄까 기업문화 깉은 것이 있었는데, 제가 18년간 몸담았던 현대의 특징 중 하나는 잘 먹인다는 것이었습니다. 중동붐이 일어 중동으로 한국의 대기업들이 몰려가 사막 위에서 토목공사를 하던 시절 그런 시쳇말이 있었습니다. “일은 동아에서 하고, 월급은 대림에서 받고, 밥은 현대 가서 먹는다.” 현대는 그 시절부터 잘 먹이는 것으로 이름값을 한 모양입니다. 울산 현대자동차 공장에서 여름철 점심 메뉴가 삼계탕이면, 울산을 중심으로 남쪽으로 부산에서부터 북쪽으로 경주 사이의 양계장 닭들이 줄초상을 치러야 합니다. 삼계탕을 하면 닭고기 몇점 들어가고 국물만 가득한 그런 삼계탕이 아니고, 정말 한 사람마다 닭 한마리가 들어간 삼계탕이니 닭 3만마리를 수급하고 요리하는 일이 정말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겁니다. 식자재 수급 스케일도 이 정도인데, 자동차 생산을 위하여 공급되어야 할 부품들은 어떻겠습니까? 부산과 경주 사이뿐만이 아니고 전국각지에 수천개의 1차, 2차, 3차에 이르는 하도급업체들이 자동차 공장과 연을 맺고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중에는 어디에 들어가는지도 모를 조그만 볼트에서부터 시트같은 큼직막한 부품을 만드는, 정말로 다양하고 많은 업체들이 자동차 공장에 시간에 맞춰 부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열심히 일을 합니다. 대통령으로 나랏돈 엄청 해먹은 이명박이도 시트 공장 하나 차려 가지고 현대돈까지도 많이 받아먹었는데, 그게 명박이 공장이다 아니다 하면서 말이 많았던 해프닝이 생각날 겁니다.   자동차 공장 하나가 세워지면 그 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을 겁니다. 그렇게 자동차 생산에 직접적으

기가막힌 발명, 실용성은 별로

이미지
기가막힌 발명, 실용성은 별로 지엠딜러에서 일하고 있는데, 혼다차가 들어왔습니다. 중고차를 지엠딜러에서 산 모양인데, 그렇다고 정비까지 지엠딜러로 오는 건 아닙니다. 딜러에서 다른 메이커 차를 사는 것은 별로 똑똑한 짓이 아닙니다. 그 후에 서비스를 받기 위해 그 중고차 메이커 딜러를 찾지 않는 것은 더 바보같은 짓입니다. 자동차에 부착되는 전자장치가 점점 늘어나고 컨트롤러(자동차용 컴퓨터)의 숫자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테크니션들이 정비하면서 필요한 정보의 양이 엄청 늘어났습니다. 그 엄청난 양의 질 좋은 정보를 메이커는 자기네 딜러에만 제공하기 때문에 테크니션들이 다른 메이커 차를 정비하는 게 점점 어려워지고 제약을 많이 받습니다. 그리고 정비에 필요한 정품 부품도 자기 메이커 딜러라야 원활한 공급이 가능합니다. I am working at a GM dealership, and a Honda comes in. He bought it used at the dealership, but that doesn't mean it's coming to the dealership for service. It's not very smart to buy a different make of car at the dealership, and it's even dumber to not go to that make of car dealer for service afterward. As more and more electronics are added to cars, and the number of controllers (car computers) grows exponentially, the amount of information a technician needs to work on a car has increased dramatically. It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and constraining for technici

트럭 토너커버

이미지
트럭 토너커버 북미대륙, 미국만이 아니고 캐나다 사람까지도 대륙의 사람들, 남녀노소 불문 정말 이 사람들이 좋아하는 차종이 있습니다. 픽업트럭입니다. 새 픽업트럭에 토너(tonneau) 커버를 설치했습니다. 트럭 뒤쪽 베드 부분을 접으면서 닫았다 열었다 할 수 있는 디자인입니다. 먼저 가이드(A)를 양쪽에 설치하고 가이드 위에 커버(B)를 얹으면 됩니다. 먼저 가이드(E)를 베드에 대고, 클램프(F)로 고정을 합니다. 그 다음 커버의 앞부분을 가이드에 볼트로 고정을 합니다. 그리고 커버를 한칸한칸 펴서 덮으면 됩니다. 아래 그림은 커버를 완전히 펴서 베드를 덮은 모습입니다. 중간중간에 락(lock)이 있는데 덮개가 가이드에 걸리게 되어 있습니다. 걸린 커버를 들어올리려면 아래 화살표에 보이는 선을 당겨 락을 해제해야 합니다. 중간에 두 군데에 이런 락이 더 있습니다.  커버를 닫고, 테일게이트(tailgate)를 잠그면 커버락을 해제할 수 없기 때문에 도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만든 미국차, 2024년형 트랙스

이미지
한국에서 만든 미국차, 2024년형 트랙스 2023년 크리스마스를 한 달 남짓 남겨놓은 시점, 지금 나오는 새차는 2024년형입니다. 오늘 한국GM에서 만든 트랙스(Trax)를 PDI(Pre Delivery Inspection) 했습니다. 차대번호의 첫 알파벳이 K인 것이 보입니다. 한국에서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트랙스, 차체가 커졌다고 들었습니다. 커진 것같고, 디자인이 더 멋있어졌습니다. 그런데 한국에서 만들어진 지엠차를 볼 때마다, 이런 생각이 듭니다. 이걸 아직 대우가 만든 차로 생각해야 하는가 아니면, 이제는 과거 대우의 영향이나 품질 수준과는 완전히 결별한 온전한 지엠의 철학과 설계와 품질이 담긴 차인가 하는 궁금증입니다. 한국지엠에서 그간 어떤 남모를 역사가 진행되었을지 알 수 없지만, 이제는 그냥 한국에서 만든 지엠차라고 그냥 생각하고 보고, 평가해야 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엔진룸을 보니 현재 지엠에서 생산되고 있는 소형차의 전형적인 모습을 답보(?)하고 있습니다. 엔진 주변의 구성요소들이 대우지엠차라는 느낌이 팍 납니다. F는 연료라인이고, P는 연료탱크 캐니스터에 연결된 증발개스 라인입니다. A는 에어 인테이크고, T는 터보라인입니다. C는 냉각수 오버플로우 리저버 탱크고, D는 여기저기로 연결되는 냉각수 라인입니다. 몇년 지나면 여기저기서 냉각수 유출이 일어납니다. 워터펌프, 터보 냉각수 라인 등등.. 이 문제들만 근본적으로 해결하면 꽤 괜찮은 경재력을 가질 수 일을텐데.. 자동차 내부 모습은 사뭇 매혹적입니다. 전에는 안드로이드 오토만 있었는데, 애플카플레이도 지원합니다. 시리우스XM도 들을 수 있습니다. 이게 북미대륙에서 긴 여행을 할 때는 정말 영혼의 동반자가 될 수 있습니다. 지엠차니 당연히 온스타도 됩니다. 엔진룸에서 생기는 몇가지 문제만 해결되면 저도 이제는 더 이상 일본차 사지 않고,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