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패션인 게시물 표시

옷의 품격

이미지
옷의 품격 옷의 품격이라니? 돈 밖에 모르고, 명품 걸치고 자랑질 하고 다니는 골 빈 졸부들이나 할 법한 소리입니다.  캐나다에서 사는 것이 한국보다 편한 점도 있고, 그렇지 않은 점도 있지만, 가장 편한 점 중의 하나는 멋부리고 다닐 필요없다는 점입니다. 웨스트 밴쿠버가 잘 사는 사람들 동네인데도 사람들 걸치고 다니는 것을 보면 참으로 소박하기 그지 없습니다. 그런데 소박하게 아무 거나 툭 걸치고 다니는 것이 오히려 멋스러워 보이는 풍속도이다 보니, 사람들이 비싼 옷에 연연하지 않고 싼 옷을, 그 싼 옷이 바겐세일할 때, 몇 개 구입하여 걸치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공부를 한국 사람보다 죽어라 하지 않는 것처럼 패션도 한국 사람만큼 열정적으로 하지 않는 것 같은 분위기입니다. 저는 평생 로션을 바르지 않고 살았고, 멋과는 거리가 먼, 그냥 기름쟁이입니다. 한국에서도 집에 있는 것 아무 거나 그냥 걸치고, 옷을 사지 않아 정말 집에 입을 것도 없이 살았는데, 그렇게 살다 캐나다 오니 더 편해져서 정말 아무 거나 입고 다니고 있습니다. 그러니 깔맞춤같은 것은 제게는 안드로메다의 언어같은 소리입니다. 그런데 솔직히 새 옷을 사서 입으면 기분이 좋은 것은 사실입니다. 코스트코 같은 곳에 가서 마음에 드는 색과 디자인의 옷이 눈에 띄면 가끔 하나씩 사긴 합니다. 한국 같으면 정장은 아니더라도 깔끔한 시티풍의 옷을 집어들었을텐데, 캐나다에서 눈에 들어 집어드는 옷은 그런 것은 아니고, 캐주얼하고, 아웃도어 액티비티에 적합한 그런 옷을 집어듭니다. 어디 놀러만 다니는 것같은 그런 옷. 평생 패션에 신경쓰지 않고 살았는데, 나이 들어 꼴이 쭈그러들고, 옷 좀 입고 다녀라, 옷 좀 사러가자, 그러는 아내의 성화도 있고, 이곳 노인네들이 보니, 늙어도, 아니 늙을수록, 할머니들이 화장도 시뻘겋게 하고, 옷에도 무척 신경을 쓰는 것을 보고, 이제는 아내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맞춰줄 나이가 된 것같아 엊그제 구하여 머리에 쓴 페도라 모자에 맞는 셔츠를 하나 구입하고 싶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