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하면 망한다
이거 하면 망한다 과학 혹은 공학을 할 때, 과학자들이나 엔지니어들이 연구나 개발 대상에 대하여 접근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연구 대상에 대한 정성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다루는 물질이 어떤 특성이 있는지, 어떤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물리적 특성과 강도가 있는지를 알아야 그걸 가지고 뭘 할 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그런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재료나 물질을 사용하여 만들려고 하는 목적물에 얼마만큼의 양을 사용해야 할지, 어느 정도의 두께로 사용해야 할지, 날 것 그래도 사용해야 할지 혹은 구워서 사용해야 할지, 사용해야 할 재료의 모양과 양을 정확하게 결정하는 것이 정량적으로 해야 할 일입니다. 현재 우리가 누리는 현대 문명은 바로 이 정성적인 연구와 정량적인 연구가 조화를 이루어 만들어진 결과물입니다. 어떤 연구나 판단을 할 때, 정성적인 연구는 연구의 초기 단계에서 하는 일이고, 정량적인 일은 연구의 결과를 구체화 시키거나, 엔지니어가 어떤 구조물이나 물건을 만들려고 설계를 할 때, 만들려고 하는 물체에 들어가는 물질의 양, 두께, 크기를 구체적인 수치로 결정하는 마무리 단계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판넬의 두께를 결정하고, 타이어 크기를 결정하고, 자동차 무게를 어떻게 하면 가볍게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그런 모든 것이 엔지니어들이 일상으로 하는 일들입니다. 일을 하다보면, 정성적인 것과 정량적인 것이 따로 국밥은 아니고, 항시 얽혀있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그래도 과학자는 정성적인 일을 하는데 가깝고, 엔지니어는 정량적인 일을 하는데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지만, 과학자나 엔지니어 모두 정성적인 것과 정량적인 부분 모두에 대한 지식 기반이 없이는 일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습니다. 정성적인 것은 사용할 재료들이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느냐, 정량적인 것은 그 재료의 양을 정확하게 얼마만큼 사용하느냐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런 것들을 결정하는 것에 대해 고민하는 일을 과학자나 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