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2, 2017의 게시물 표시

요즘 소형차의 수준

이미지
요즘 소형차의 수준   그동안 잘 타고다니던 2014 년형 토요타 코롤라 (Corolla LE) 를 딜러에 내놓고 , 2017 년형 (Corolla SE) 으로 교체했습니다 . 매달 내는 이율이 0.49% 로 매우 저렴합니다 . 토요타의 할부 이자가 이정도로 낮아지니 , 현대기아가 0% 무이자 할부로 가더라도 토요타와 경쟁하기가 쉽지 않아 보입니다 .   2014 년형에서 2017 년형으로 바뀌는 동안 뭐가 달라졌나보니 , 풀모델 체인지 (full model change) 는 없었습니다 . 즉 , 샤시 , 바디 , 엔진에서 기본적인 변화는 없었습니다 . 그게 나쁜 면은 아니고 좋은 면이라고 생각합니다 .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에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차의 주요 부분의 품질 안정이 충분히 된 측면이 있기 때문입니다 .   반면 , 페이스 리프트 (facelift) 가 행해져 , 소소한 편의장치와 라티에이터 그릴 같은 겉모습이 일부분 변경이 되었습니다 . 뒷모습 중에 달라진 모습은 트렁크 위에 스포일러가 추가된 것입니다 . 앞모습은 왕창 변했습니다 . 앞모습 중에 압권은 라디에이터 그릴입니다 . 정말 파격적인 모습으로 변신을 했습니다 . 그걸 처음 본 사람들은 거부감을 가진 사람도 더러 있는데 , 저는 볼수록 마음에 듭니다 . 참 모던한 스타일입니다 . 다른 메이커의 모델들도 이걸 많이 따라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         편의 장치 중에 호감이 가고 재미있고 , 신기한 것은 앞유리창에 달린 레이더 센서와 오토크루즈 장치가 결합된 안전장치입니다 . 도심을 관통하는 고속도로는 인터체인지가 많고 차량 흐름이 많아 속도의 변화가 많습니다 . 이런 교통 흐름 속에서 오토크루즈를 켜면 수시로 브레이크를 밟으면서 오토크루즈 세팅이 해제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   그런데 이 새 장치가 작동이 되면 , 오토크루즈를 브레이크를 밟아 해제시킬 필요가 없습니다 . 앞의 차량을 감지

2012년형 6.0 Sierra No Start

이미지
2012 년형 6.0 Sierra No Start   2012 년형 지엠씨 트럭이 시동이 걸리지 않아 밀어서 샵에 들여 진단을 시작했습니다 . 연료와 전기 계통에 이상이 없는데도 시동이 걸리지 않습니다 . 그렇다면 어떻게 접근을 해야 할까요 ?   연료와 전기계통에 이상이 없다면 테크니션들이 다음으로 추정해볼 수 있는 것은 연소실 내부의 상태와 타이밍 계통의 문제입니다 . 연소실 콤프레션 (compression) 을 체크해보니 , 연소실 압력이 제대로 형성이 되지 않습니다 .   밸브커버와 엔진 프런트 커버를 열고 확인해보니 , 캠샤프트 액츄에이터가 헛돌아감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 것이 보입니다 . 캠샤프트 액츄에이터를 고정하고 있는 핀이 부러진 것이 보입니다 .       타이밍이 흐뜨러져 밸브들과 푸쉬로드들이 휘어졌습니다 .   엔진을 분해해본 결과 밸브들이 여럿 구부러져 있는 것이 보입니다 . 결국 엔진을 교체하므로써 비로소 트럭이 움직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

P16A1 코드

이미지
P16A1 코드   2016 년형 쉐비 콜로라도 (Chevrolet Colorado), 아주 새 트럭입니다 . 이 삐까번쩍한 새 트럭이 문제가 생겨 수리를 위해 견인되어 딜러에 들어왔습니다 . 수리를 위해 샵에 들이려 시동을 걸어보니 , 미스파이어가 나는 것처럼 차가 심하게 덜덜거립니다 . 스캐너로 코드를 찍어보니 , P16A1 이라는 코드가 뜹니다 . 본 기억이 나지 않는 생소한 코드입니다 . 점입가경 ! SI(Service Information) 를 열어보아도 이 코드에 대한 정보가 보이지 않습니다 . 대략난감 ! 이러면 어찌 진단과 수리를 시작하고 풀어나가야 하나요 ?   엔진후드를 열었는데 , 눈에 들어오는 것이 있습니다 . 엔진 사이트 쉴드 (Sight Shield) 위로 쥐똥이 보입니다 . 이게 문제를 풀 실마리가 될 수 있을까요 ?   쉴드를 들어내니 , 아니나다를까 문제의 원인이 나타납니다 . 쥐가 스로틀밸브 콘트롤 와이어를 물어뜯어놓았습니다 . 추운 날씨에 스쿼럴 (squirrel) 이나 쥐 같은 것들이 몸을 녹이려 차의 엔진에 올라와 앉았다가 선을 갈아먹은 것입니다 . 뜯긴 선 밑에는 쥐가 물어다놓은 침대 ( 나뭇잎 ) 들이 보입니다 .   아주 야무지게 물어뜯어놓았습니다 . 이 선들을 수리해놓고 코드를 지우고 시동을 걸어보니 , 그제야 엔진이 샤방샤방 잘 돌아갑니다 .   그런데 이런 똑같은 해프닝이 이 샵에서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 제가 아는 것만드로도 벌써 세번째입니다 . 동일 차종에서 똑같은 위치에 같은 문제가 생겼습니다 . 그렇다면 다람쥐들의 사고방식 (?), 본능 , 뇌의 구조나 작동원리가 거의 동일하다는 이야기 아닐까요 ? 가을이 되면 청솔모나 다람쥐들이 나무 열매를 부지런히 물어다 여기저기 숨겨놓는 걸 볼 수 있습니다 . 땅을 파고 숨겨놓기도 하고 , 구멍 속에 숨겨놓기도 하는데 , 그런 걸 보면서 하도 여러군데 숨겨놓아 ‘ 숨겨 놓은 것들을 다 찾아먹을

게잡이의 전설

이미지
게잡이의 전설   밴쿠버가 바닷가지만 밴쿠버에 사는 사람들이 모두 바다가 주는 시원함과 아름다움을 만끽하면서 사는 것은 아닙니다 . 저도 그런 사람들 중에 하나였었는데 , 바다가 ‘ 저어기 ’ 바닷물이 바로 보일 정도로 비치 가까이 이사를 온 덕분에 스쿼미쉬에 살 때보다 더 가까이 바다를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더구나 게잡이가 허용되는 피어 (pier) 가 인근에 있어서 밴쿠버 게잡이 군단에 끼게 되었습니다 .   하지만 피어에서 게잡이 인생 (?) 을 바로 시작한 것은 아니고 웨스트밴쿠버로 옮기고나서 1 년여가 지난 다음이었습니다 . 그전에 게를 잡은 것은 밴쿠버 아일랜드로 캠핑을 가서 섬에서 카약을 타고 게틀을 내리며 잡는 것이었습니다 . 그렇게 잡은 게로 라면을 끓여먹은 게라면의 전설이 있습니다 .   사실 웨스트 밴쿠버 피어에서 게잡이를 바로 시작하지 않은 진짜 이유는 , 이 번화한 도심의 좁은 (?) 바다에 게가 있어봐야 얼마나 있겠나 싶은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 그런데 어느 하루 보니 , 정말 큰 게가 잡혀올라오는 것이었습니다 . 그때의 쇼크 (?) 이후로 게잡이에 대한 꿈이 키워지기 시작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   그 후 틈틈이 피어를 어슬렁거리며 , 중국 사람들이 게틀을 어떻게 다루고 세팅하고 , 어떻게 던지고 건져내는지 , 게를 어떻게 다루는지 , 유심히 봐두었습니다 . 그리고 드디어 마음이 내켜지는 그때 , 게틀을 구입하고 게잡이 인생에 들어섰습니다 .       또한 게잡이에 대한 좋은 이북 (e-book) 을 발견하여 탐독을 했습니다 . 거기에서 읽은 게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들을 잠깐 양념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