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코스트코인 게시물 표시

내 사이즈는 36-30

이미지
내 사이즈는 36-30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코스트코에서 옷을 고를 때보면 웃도리 사이즈는 그냥 단순하게 LG제품을 고르면 됩니다. 아재 개그! 캐나다에서 옷을 살 때 라쥐(large) 사이즈 옷에는 LG표시가 있습니다. 캐나다는 영어와 불어를 공식적으로 혼용하여 쓰기 때문에 캐나다 시장에 물건을 팔아먹으려면 제품에 영어와 불어 표시를 동시에 써붙여야 됩니다. L은 영어의 large(라쥐)를 표시하는 것이고, G는 불어의 grand(그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Large가 불어로 grand(그랑)입니다. Grand(그랜드)를 영어로도 쓰는데, large와 같은 의미입니다. 그러면 그냥 G 하나를 써붙여도 될 것 같은데? 웃도리를 고를 땐 그렇게 눈 딱 감고 라쥐로 고르면 되는데, 그러면 아랫도리는? 아랫도리도 츄리닝 같은 것은 라쥐같은 사이즈로 나타내기도 하는데, 청바지나 일반 캐주얼 바지들은 바지 사이즈를 수치로 표시합니다. 웃도리는 품이 조금 커도 그냥 헐렁하게 입으면 그것도 멋이고, 팔부분이 길면 소매를 접어 입으면 그것 역시시도 멋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바지는 핏(fit)이 맞지 않으면 영 볼품이 없어지고 몸에 걸치고 다니기도 뭔가 불편합니다.  바지는 몸에 맞아야 하는 부분이 세 군데입니다. 먼저 허리춤, 그리고 바지 길이, 마지막으로 허벅지 부분 굵기입니다. 세밀하게는 가랑이 부터 허리까지의 길이, 가랑이부터 발목까지의 길이도 있는데, 코스트코에서 그런 것까지 죄다 키우기는 너무 벅찬 일입니다. 다 집어치우고 코스트코에서 바지에 표시하는 사이즈는 두 부분에 대한 것입니다. 허리둘레와 바지 길이입니다. 허벅지는 복불복입니다. 헬스로 허벅지를 너무 키우면 코스트코에서 맞는 ...

치즈의 재발견

이미지
치즈의 재발견 코스트코 쇼핑을 하노라면 군데 군데 시식코너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봅니다. 엊그제 치즈 코너를 도는데, 시식 테이블 위에 조그만 치즈 조각을 내놓았습니다. 처음 보는 비주얼이고, 처음 먹어보는 맛입니다. 맛을 어찌 표현할 수 없는 아무 맛도 없는 기가막힌 맛이고, 쫄깃한 식감이 일품입니다.  한국에서는 먹지 않던 치즈를 캐나다에 와서는 언제부터인가 꾸준히 먹고 있는데, 주로 먹는 것은 구다나 브리 치즈였습니다. 오늘 처음 먹어본 것은 기존에 먹던 치즈와는 또다른 차원의 맛이고, 구다나 브리 치즈 못지 않은 기분 좋은 맛이고, 뒤끝이 아주 깨끗한 담백한 맛이 좋습니다. 이 치즈는 캐나다산 우유로 만드는 보스웰(Bothwell)의 스쿼커즈(Squeak’rs)라는 치즈입니다. 치즈를 만들때 우유나 염소젖에서 응결된 치즈를 뭉쳐서 치즈덩이를 크게 만드는데, 이 치즈는 그냥 치즈가 형성된 모양 그대로를 모아 만드는 것이 특징입니다. 자주 사먹게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닭고기, 코스트코 주방에서 장시간 기름 빼어가며 돌리고 돌려 구워내는 닭고기, 이건 코스트코 입구에서 동전하나 가격으로 파는 핫도그와 함께 코스트코의 대표적인 미끼 상품입니다. 그 가격에 그 큰 닭고기를 그렇게 구워 팔 수가 없습니다. 뭐 성장 촉진제 먹여가며 단기간에 키운 닭이다 뭐다 말이 많지만, 일반인들이 요즘 나오는 먹거리에서 그런 것을 피해가며 가려가며 먹을 수 있는 재주가 없습니다. 그런 걸 따지자면 큰 땅을 사서 거기서 농사도 직접 짓고, 가축도 직접 키워서 잡아먹지 않는 한은 먹거리 지뢰밭을 혼자 무사히 지나갈 수 있는 용빼는 재주를 가질 수 없습니다.  이 닭을 한 팩 사들고 오면 그날 저녁은 물론 다음 날 아침까지 해결이 됩니다. 우선 닭고기를 뜯어 먹고, 나머지 살들은 발라내어 닭죽을 끓여 먹습니다. 정신없이 돌아가는 국제정세에 맞물려 요동치는 물가고 속에서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오늘 하루도...

코스트코에서 망해가는 지구를 보았다

이미지
코스트코에서 망해가는 지구를 보았다 20년 전 밴쿠버에 와서 코스트코에 가면 매장 안이 한산 했습니다. 그리고 그 당시 코스트코 매장 안에서 중국 사람은 거의 볼 수가 없었습니다. 그 당시 중국에서 밴쿠버로 온 사람들은 돈이 많지 않고 쫀쫀한 사람들이 많았는지, 당시 아는 중국 사람이 하는 말인 즉슨, 코스트코는 너무 큰 덩어리를 팔아 쓸데없이 돈을 쓰게 한다며 코스트코에 가는 것을 꺼려 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상황이 바뀌어도 너무 바뀌었습니다. 밴쿠버에 있는 어느 코스트코에 가든지, 중국 사람들이 바글바글 합니다. 언제부턴가 돈 많은 중국 사람들이 들어온 모양입니다. 그 놈들이 돈을 싸들고 와서 집을 수 채 혹은 십 수채 사대는 바람에 밴쿠버 뿐만 아니라 캐나다 전체의 집값을 올려 버렸습니다. 사실 제가 코스트코에 가는 이유는 돈이 많아서가 아니라 그만큼 좋은 물건을 코스트코 만큼 싸게 파는 곳을 찾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20여년이 지난 지금 많은 것을 돌아보게 합니다. 코스트코가 예전같지 않습니다. 정확하게는 코스트코의 물건의 품질이 옛날 같지 않은 것입니다. 뭐 공산품이야 품질이 뭐 달라질 게 근본적으로 없지만, 먹는 것을 보면 참으로 달라진 것이 많습니다.  먼저 고기값이 장난 아니게 올랐습니다. 서민이 소고기 사먹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 되었습니다. 옛날 가난한 시절의 한국같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리고 과일을 대표하는 오렌지, 20여년 전에는 코스트코의 오렌지가 최고였습니다. 그 맛있는 캘리포니아 오렌지를 한 박스에 5불 정도에 산 것으로 기억을 하는데, 지금은 박스도 작아지고 가격은 10불을 넘습니다. 체감적으로 물가가 5배 정도 오른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요즘 코스트코에 가면 제일 먼저 겪게 되는 어려움은 주차입니다. 사람들이 많아도 너무 많습니다. 매장 안으로 들어가면 카트를 밀고 나가기가 어려울 정도로 사람들이 엄청나게 부대끼며 와글와글합니다. 예전에는 카트를 끌고 물건을 둘러보면서 매장을 돌아도 내 주변에 사람이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