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해외출장인 게시물 표시

$9.99

$9.99 30대에 대한민국 산업역군으로 열심히 살았습니다. 대한민국의 경제발전에 이바지할 역사적 사명을 띠고 그 땅에 태어났고, 그 역할에 나름 충실히 일조한 바 있습니다. 그때가 1980년대와 1990년대입니다.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신나게 해외출장도 자주 다녔습니다. 당시 출장가서 본 미국은 한국촌놈 눈에는 그야말로 신세계였습니다. 마치 우주선 타고 어디 갤럭시에라도 간 기분이었습니다. 지금은 한국이 K-Pop의 나라고 매력적인 나라고, 잘 사는 나라로 세계인들이 인식하고 있지만, 1980년대만 하더라도 한국은 아직 못사는 나라였고, 개발도상 국가였고, 미국은 세계인들이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는 저세상 세계였습니다. 미제가 세계 최강이었고, 모든 나라들이 미국에 물건을 파는 것이 지상목표였던 시대였습니다.  일단 미국에 처음 땅을 내디뎌보니, 보이는 거리풍경부터, 가게에 진열된 물건들의 풍요로움까지 한국촌놈의 마음을 뒤흔들어 놓기에 충분했습니다. 미국 호텔에 처음 들어가보니, 침대 놓인 호텔안도 호화스럽게 보이고, 호텔밖 한여름 태양볕 밑에 쭈쭈빵빵한 사람들이 수영장에 둘러앉아 망중한을 즐기는 모습은 마치 천국처럼 보였습니다.  지금은 코스트코지만 당시에는 프라이스 클럽이었는데, 저게 뭐지 싶어 들어가려는데, 입구에서 회원이 아니라고 제지를 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해서든 안에 들어가서 구경한번 하려고, 나 외국인인데, 한번 구경하면 안되겠냐 어짜피 너희들 물건 파는 게 목적 아니냐? 나 현금으로 살께. 그렇게 떼를 쓰고 있으니까 매니저가 나와서 뭘 살건데 라고 묻습니다. 특별한 목적이 있는 것은 아니고 둘러보고 마음에 드는 게 있으면 살께 하니까 들어오라고 하여 회원가입 없이 코스트코의 전신인 프라이스 클럽을 구경한 경험이 있습니다. 안에 들어가보니, 정말 한국에서는 듣도보도 못한 물건이 잔뜩 쌓여있고, 가격은 또 왜 그렇게 싼지. 그리고 지금은 월마트지만 당시에는 월마트는 보이지 않았고, 마트의 대명사는 Kmart였습니다. K가 코리아와는 상관없는 K였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