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Ram인 게시물 표시

닷지의 후예

이미지
닷지의 후예 한국전쟁 때, 전장을 누빈 미군트럭에 GM이 만든 지무시가 있었고, 또 다른 하나는 닷지 트럭이었습니다. 지무시는 후에 GM 브랜드 중의 하나인 GMC를 말하는 것이고, 닷지는 지금은 없어진 회사지만 미국의 삼총사 중 하나였던 크라이슬러의 트럭 브랜드인 Dodge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 닷지의 브랜드 네임을 이어받아 지금도 미국에서 생산되고 있는 트럭 브랜드가 Ram입니다. 옛 크라이슬러 브랜드의 품질이 형편없는 것으로 정평이 나있는데도 거리에서 보면 램트럭이 상당히 많이 보입니다. 품질이 나쁘다는 것이 무슨 말인가요? 사실 차가 따지고 보면 다 그게 그거입니다. 크라이슬러 차도 운좋게 잘 걸리면 벤츠보다 문제없이 더 잘 타고 다닐 수 있습니다.  자동차 업체의 제품 제조능력이 모두 상향 평준화된 상황이고 부품들의 수준도 전세계적으로 평준화되어 근본적으로 업체간 엄청난 품질차이를 낼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합니다. 그러면 소비자 측면에서 느낄 수 있는 자동차 업체간의 품질 격차란 것은 무엇일까요? 바라스키, 일본말 바라스키, 품질편차를 말하는 것입니다. 열대 중에 열대의 품질이 모두 좋으면 최고의 품질입니다. 이런 업체의 제품은 잘 고를 필요없이 그냥 아무차나 딜러에서 새차를 받아도 품질 걱정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반면에 열 대중에 품질문제 전혀 없는 차의 비중이 다섯 대 정도라면 품질 나쁜 새 차 받을 확률이 50%나 되는 것입니다. 이런 것 때문에 품질 산포가 산만한 업체의 차는 구입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램, 품질 산포가 들쑥날쑥 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회사의 트럭입니다. 품질이 안 좋은 것 중에서 첫번째는 어디선가 질질 새는 것입니다. 오늘 2021년형 램 트럭을 인스펙션 했습니다. ‘어디 보자 이 놈은 어디가 새는가.’ 없습니다. 새는 곳이 없습니다. 이 놈은 상태가 꽤 좋습니다. 크게 문제되는 점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 품질 바라스끼가 큰 회사의 제품인데, 이 트럭은 운좋게 품질이 좋은 상태로 조립이 된 트럭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