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19, 2023의 게시물 표시

목요일은 피자헛 데이

이미지
목요일은 피자헛 데이 동네에 피자체인점이 여럿 있지만 최고는 역시 Pizza Hut(피자헛)입니다. 12인치 미디엄 피자 한판은 20불이 넘습니다. 맛있기는 한데, 자주 사먹을 수 있는 가격은 아닙니다. 그런데 모바일로 주문하면 반값에 사먹을 수 있습니다.  미디엄 피자를 매일 반값에 사먹을 수 있기는한데, 요일마다 피자의 종류가 다릅니다. 제일 맛있는 피자를 파는 요일이 목요일입니다. 목요일에 슈프림 피자를 먹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깔린 피자헛앱을 열면 여러가지 딜을 볼 수 있습니다. 하나 사면 두번째 피자는 1불에 준다는 딜이 있지만 피자 두개를 얻기 위해 어쨌든 20불이상을 내야합니다. 하지만 목표는 10불대 피자입니다. 미디엄 사이즈 슈프림 피자를 11불($10.99)에 살 수 있습니다. 2리터짜리 콜라를 추가하면 모두 14불이 됩니다. 앱에 피자를 찾을 수 있는 시간이 나옵니다. 그 시간을 놀랍도록 정확하게 지켜줍니다. 피자를 찾아 차에 싣고 집에 오는 동안 차안을 가득히 채우는 피자냄새는 차라리 고문입니다.

Koh Hong Hole 5, Golf Clash

이미지
Koh Hong Hole 5, Golf Clash 게임은 실제와 다릅니다. 실제 골프 라운딩에서는 파5 홀에서도 버디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 "Golf Clash" 골프 게임에서는 파5 홀에서 이글은 보통입니다. 운이 좋으면 알바트로스도 가끔 나옵니다.  파5 홀에서 이글은 보통인데, 파4홀에서 이글은 쉽지 않습니다. 파5 홀에서의 알바트로스에 버금가게 신나는 것이 파4홀에서의 이글입니다.  사실 파4홀에서 이글을 넣는 해법이나 비법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거의 백프로 운인 것이 맞습니다. 그런데 파4홀중에서도 이글이 간간이 나오는 홀이 있고, 이글이 정말 잘 나오지 않는 홀이 있습니다. Koh Hong Resort Hole 5가 이글을 내기 쉽지 않은 홀입니다. 이 홀에서 이글을 만드는 요령이랄 것은 없고, 이글을 내기 위한 발판을 만드는 요령이라고나 할까, 이글 나오기 힘든 홀에서 가끔 이글을 이끌어낼 수 있는 요령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먼저 티샷, 티샷으로 공을 그린과 연결된 페어웨이에 그린과 최대한 가깝게 올려놓아야 확률이 높은 이글샷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갈 수 있는 루트는 두가지인데, 하나는 오른쪽으로 굽은 페어웨이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루트를 이용할 때는 오른쪽 컬(curl:회전)을 주어야 합니다. 두번째 루트는 제가 사용하는 루트인데, 오른쪽의 페어웨이에 첫 바운드를 주고, 골짜기를 뛰어넘는 루트입니다. 이때는 왼쪽 컬을 주어야 합니다. 다음 세컨샷을 성공해야 이글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때 좋은 숏아이언을 가지고 있어야 이글을 잡기에 조금이라도 더 유리합니다. 팔콘은 최고의 숏아이언입니다. 그리고 바람이 좀 도와줘야 하는데, 뒤에서 공이 나르는 방향으로 약풍이 불어오는 조건이라면, 운보다는 실력으로 이글을 만들 수 있는 조건이 됩니다.  참고로 제 클랜(clan)은 “0in1”입니다. 0과 1은 숫자입니다.

기찻길옆 오막살이

이미지
기찻길옆 오막살이 매년 여러 기관에서 세계에서 제일 살기 좋은 도시들을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제일 살기 좋은 곳으로 선정되는 기준이 뭘까요? 각 기관마다 평가항목이 다양하고 색깔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하나로 싸잡아보면, 가장 핵심적인 것은 삶의 질 수준 아닐까요? 그렇다면 삶의 질을 높이는 항목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주거환경, 물가, 교육환경, 치안, 교통, 의료서비스, 부패없는 정치, 고용안정, 도시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환경, 깨끗한 공기, 깨끗하고 풍부한 물 등등 사람 사는데 당장 피부에 와닿은 모든 것들이 삶의 질 수준을 결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 항목들 중에서 어느 것은 좋은데, 어느 것은 시원치 않다고 하면 좋은 삶의 질 수준은 아닐 겁니다. 모든 항목에 걸쳐 높은 수준의 경쟁력을 가질 때 삶의 질 수준이 높은 환경의 도시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아래 그림은 제가 묵고 있는 호텔입니다. 이 호텔의 조그만 방 하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실은 호텔은 아니고 아파트입니다. 예전에 플로리다가 좋은 휴양지라는 소문을 들었을 때, 마음 속에 아메리칸 드림도 있었고, 그곳에 가서 인생을 놀듯이 즐겼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 곳에서 일자리 하나 얻어 돈벌고 놀고 하면 평생이 휴가인 것 아니냐 하는 그런 소박한 꿈이었습니다. “꿈 꾸면 언젠가 이루어진다.” 지금 나름 그렇게 살고 있습니다. 장소만 플로리다에서 밴쿠버로 바뀌었습니다. 그래서 예전의 그 기분 그대로 인생을 휴가처럼 산다는 기분을 살려보려고 살고 있는 아파트를 호텔이라고 빈소리를 힌번 해봤습니다. 아파트에서 한 걸음만 나서면 바로 바다가 보이는 집입니다. 바닷가에 기찻길이 지나고 있어 그야말로 기찻길옆 오두막에 살고 있는 셈입니다. 웨스트 밴쿠버, 휘슬러까지 두 시간, 그 사이에 산재한 수많은 산들과 아름다운 트레일들.. 휘슬러 말고도 동네 뒷산에만 스키장이 세 곳.. 산을 등에 지고, 앞으로 나서면 바닷가.. 잘 만들

Soundcore 헤드폰

이미지
Soundcore 헤드폰 용산전자상가 같은 것이 없는 밴쿠버에서 전자제품을 구입하려면 들리는 곳은 베스트바이입니다.  작년에 헤드폰을 구입하기 위해 베스트바이에 들려 구경을 했습니다. 소니, 보스 등 브랜드 네임있는 것을 비롯해 종류가 참 다양했지만 마음에 드는 것이 없었습니다. 이 당시 제가 헤드폰을 고르는 첫번째 기준은 귀가 헤드폰 안에 완전히 쏙 들어갈 정도로 큰 것입니다. 헤드폰의 우물이 충분히 크지 않으면 우물 가장자리가 귀를 눌러 금방 귀에 통증이 옵니다. 그런데 전시된 샘플들 중에 귀를 덮는 부분이 충분히 큰 것이 보이질 않았습니다. 그냥 집으로 돌아와서 인터넷을 한번 뒤져봤습니다. 그런데 뭔가 귀가 커보이는 물건이 하나 보입니다. 그게 베스트바이에도 있나 싶어 베스트바이 웹사이트를 찾아보니 있습니다. 해서 다시 베스트바이로 가서 눈을 다시 새롭게 뜨고 찾이보니 있습니다. ‘이게 아까는 왜 안보였지?’ 못보던 브랜드였습니다. 그리고 전시해놓은 샘플도 없었습니다. 그러니 물건을 정하고 찾은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모르는 물건이 눈에 보이지 않았던 것입니다. 연말이라 물건도 할인을 해서 싸게 팔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에 보이는 그림이나 포장박스에 있는 그림만 봐가지고는 이게 내 귀를 아프게 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큰지 정확히 알 수 없는 노릇입니다. 반품하게 될지도 모를 불편함을 각오하고, 그냥 사가지고 왔습니다. 결과는 대만족입니다. 몇 시간 써도 귀가 눌려지지 않고 귀가 헤드폰의 우물 안으로 무리없이 들어가서 통증이나 불편함이 없습니다. 대성공!  이 상품의 브랜드는 “Soundcore"입니다. 이때부터 사운드코어 브랜드 매니아가 되었습니다. 알고보니 이게 브랜드 네임이 없는 제품이 아니었습니다. 아주 최고급 브랜드는 아닐지라고 조악한 저가상품도 아니고, 중고급 브랜드 정도는 되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악세서리로 Anker라는 브랜드가 있습니다. 이 회사에서 만드는 사운드 제품 브

여름은 가고 깻잎도 가고

이미지
여름은 가고 깻잎도 가고 깨하면 떠오르는 영어 단어는 쌔써미(sesame)입니다. 그것은 아마도 애니메이션 쌔써미 스크리트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서 깻잎을 쌔써미맆(sesame leaves)이라고 하면 안됩니다. 우리가 쌈 싸먹는 깻잎은 들깨잎입니다. 그런데 쌔써미는 들께가 아니고 참깨입니다. 그럼 들깨는 영어로 뭐라고 할까요? Perilla라고 합니다. 페릴라, 고상한 이름이지요? 지중해 연안의 아름다운 어느 나라 예쁜 여자 이름 같습니다. 지난 여름, 베란다에 들깨 화분을 여러개 세팅하고 베란다 들깨 화원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여름 내내 주말마다 혹은 평일에도 베란다에서 바베큐 파티를 하며 들깨잎에 고기를 쌈싸먹었습니다. 11월 중순, 이제는 가을도 아니고 겨울색이 완연합니다. 산꼭대기에는 눈이 하얗게 덮였고 조만간에 타운에도 눈이 내릴 것입니다. 많이 아쉽지만 이제 그만 깻잎파티도 마감을 해야 할 때입니다. 깻잎 화분들을 비우려 테이블에서 내려놨습니다. 두 개의 화분은 아직 테이블 위에 놔뒀는데, 벌새가 가끔 들립니다. 벌새가 철새 아닌가요? 추운데 아직 왜 여태 여기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밴쿠버의 겨울은 견딜만한가요? 나무같이 굵어진 깻잎 줄기에 달린 아기손같은 마지막 깻잎들을 따서 튀김을 했습니다.  내년 봄, 여름햇살이 느껴질 때쯤, 또 깻잎 화원을 꾸밀 소망을 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