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십일조인 게시물 표시

십일조 소망

이미지
십일조 소망 빈익빈 부익부의 구조적 병폐가 심화된 현대 사회, 부자들은 교회 가서 폼나게 십일조 내지만, 가난한 사람들은 교회가 요구하는 십일조를 감당하는 것이 정말 여의치 않습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교회의 눈총이 무서워 교회로부터 등을 돌리고, 잘 사는 사람들은 교회에서 일어나는 온갖 부조리를 보면서 발길을 돌립니다. 그렇게 사람들의 발길이 끊기면서 오늘날 교회가 풍비박산나고 있습니다. 특히 교회의 본고장이 되었던 미국의 교회들이 걷잡을 수 없는 속도로 무너지고 있습니다. 캐나다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도행전에 나오는 초대 교회의 모습과 현대 우리 사회의 대형교회의 모습은 사뭇 다릅니다. 초대 교회는 잘 사는 사람들이 물질을 나누어 가난한 사람들도 물질의 부족함을 느끼지 않고 살았는데, 현대 교회는 헌금 많이 내는 사람이 대우 받고 십일조를 낼 형편이 되지 않는 사람은 사람 취급도 제대로 받지 못합니다. 그런 모습을 한 교회는 교회라고 할 수 없습니다. 밴쿠버는 셋방살이 하는 사람들이 렌트비로 지출하는 비용이 평균적으로 수입의 61 퍼센트라고 합니다. 그런 상황에서는 한달 생활비 중에 음식도 먹고 싶은 만큼 제대로 사먹을 수 없는 상황인데 수입의 대부분을 집세로 낸 사람이 수입의 십일조를 교회에 낸다는 것은 정말 어찌해야할 바를 모를 일입니다. 이런 형편없는 질서 속의 자본주의 황금만능 시대에 서민들이 힘겹게 살고 있는데, 대형 교회는 어마어마한 헌금을 거두어들이면서 못사는 교인은 사람 취급도 하지 않고 의식없고 양심없는 목사를 중심으로 그를 추종하는 부자들이 교회의 모습을 얼그러뜨리고 있습니다. 현대 교회와 부자 교인들이 빛과 소금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했다면, 교회가 지금처럼 무너지는 모습을 보이진 않았을 것입니다. 정치와 사회가 부패해도 교회는 그러지 말았어야 했는데, 도긴개긴이 되었으니 망했습니다. 교회의 모습이 사회 부조리의 복사판이 되고 말았습니다. [행4:34] 그 중에 가난한 사람이 없으니 이는 밭과 집 있는 자는 팔아 그 판 것의 값을 가져다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