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호슈베이인 게시물 표시

목요일은 피자데이

이미지
목요일은 피자데이 목요일, 나흘만 일하는 저의 주말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공구통을 정리하고 주변 정리를 마친 다음, 퇴근하기 직전에 하는 일이 있습니다. 피자헛으로 피자 주문을 때리는 일입니다. 피자헛에 미디엄 사이즈 피자를 10불에 사먹을 수 있는 메뉴가 있습니다. 매일 종류가 바뀌는데, 목요일 10불짜리 피자는 슈프림입니다. 이것이 메뉴들 중에 제일 괜찮아 목요일을 피자 데이로 정했습니다. 목요일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 피자 한 판을 들고 퇴근합니다. 어미새가 먹이를 물고 새끼새들이 있는 둥지로 돌아가는 기분으로. 거의 매주 이 짓(?)을 했더만 피자헛 직원이 제 이름까지 알고 있습니다. 피자헛 직원이 피자를 건네며 하는 말이 피자헛 서베이에 아주 좋게 잘 답변해달라는 주문을 합니다. 인터넷으로 주문을 하면 나중에 매장 서비스가 어땠는지, 이메일로 서베이가 오는 것이 있습니다. 그걸 좀 잘 해달라는 부탁입니다. 퇴근하면서 피자 오더를 하고 매장에 가면 한 켠에 높이 달아놓은 모니터에 주문한 피자의 상태가 어떤지 나타난 것이 보입니다. 거의 매주 한번씩 먹는 피자지만 정말 먹을 때마다 맛있습니다. 피자를 정말 잘 만듭니다. 호슈베이, 부자 마을 웨스트 밴쿠버의 가장 구석진 곳, 해안가에 자리잡은 작은 마을입니다. 이 작은 시골마을이 유명해진 것은 페리 터미널이 있기 때문입니다. 밴쿠버에서 밴쿠버 아일랜드로 이어지는 터미널이 두 군데 있는데, 하나는 트와센에 있고, 다른 하나는 이곳 호슈베이에 있습니다. 트왓슨 페리는 밴쿠버 아일랜드의 빅토리아로 이어지고, 호슈베이 페리는 밴쿠버 아일랜드의 나나이모로 이어집니다. 이곳 호슈베이는 일년 내내 밴쿠버 아일랜드를 드나드는 차와 사람들로 인해 붐비는데, 특히 여름부터 가을까지는 아일랜드로 놀러가는 인구로 인해 문자 그대로 박 터지는 상태가 됩니다. 이 시기에 그 동네에 있는 작은 가게들은 대목을 맞습니다. 하지만 잘 되는 가게들은 잘 되지만, 사업 아이템을 잘 선택하지...

호슈베이에는 트레일이 없다

이미지
호슈베이에는 트레일이 없다 사이프러스 마운틴으로 올라가다보면 팝업 스토어가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거기에 요상한 안내판이 하나 있습니다.  “구글맵이 잘못되었다. 여기에는 이글레이크로 가는 트레일이 없다.”는 내용의 안내문입니다.  정말로 스마트폰에서 구글맵 앱을 열어보면 그곳 팝업 스토어에서 이글레이크로 이어지는 트레일같이 보이는 선이 하나 그어져 있습니다. 누가 보아도 그건 트레일 오솔길로 보지 않을 수가 없는 선입니다. 왜 없는 걸 있는 것처럼 표시해놓았는지 알 수 없는 일입니다. 사이프러스 마운틴은 웨스트 밴쿠버 뒷산입니다. 2010년 밴쿠버 윈터 올림픽 때, 스노 경기 일부가 개최된 스키장이 있는 산입니다. 그런 미스가 호슈베이에도 하나 있습니다. 호슈베이에 잠깐 머물 일이 있는 사람은 이 멋진 해변에서 잠깐 산책할 수 있는 비치 트레일이 없나 하고 구글맵을 한번 열어보게 됩니다. 그러면 신축한 고층 아파트쪽 해안을 따라 맵에 그려진 트레일을 하나 보게 됩니다. 지도에 보이는 트레일 끝을 목적지로 찍고 네비를 스타트하면 스마트폰의 지도 위에 걸어서 그리로 인도하는 점선까지 나타납니다. 그런데 좋다고 그리 가보면 철조망이 쳐져 있고 개인땅이니 들어오지 말라는 경고판이 붙어있습니다. 그나마 이건 없는데 있는 것처럼 표시한 것은 아니고 있는데 갈 수 없는 곳입니다. 그런 곳은 갈 수 없다는 표시가 맵에 있어야 AI시대에 어울리는 실력(?)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호슈베이는 웨스트 밴쿠버에서 밴쿠버 아일랜드로 가는 페리가 정박하는 곳입니다. 페리에는 한꺼번에 300대의 자동차까지 실을 수 있습니다. 완벽하지 않은, 2% 부족한 완성도와 실력으로도 떼돈을 벌 수 있는 것이 인간 사회의 실제 모습입니다. 아래 그림은 손목에 차고 있는 핏빗 차지6(Fitbit Charge 6)가 그린 제가 호슈베이에서 움직인 궤적입니다. 차지6가 제 휴대폰의 GPS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