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AI인 게시물 표시

페인트의 인공지능으로 그림 그리기

이미지
페인트의 인공지능으로 그림 그리기 윈도11에 기본 내장된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페인트(Paint)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게 꽤 유용한 것은 사진을 크롭(crop)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그림을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 열풍이 일어나는 것과 발을 맞춰 이 페인트에 인공지능 기능을 넣은 것입니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페인트에서 인공지능으로 그림 그리는 것이 되지 않습니다. 그때까지는 페인트에 내장된 인공지능으로 그림 그리는 것이 공짜였는데, 하루아침에 갑자기 유료화를 시킨 것입니다. Office 365를 돈내고 사용하여야 페인트의 인공지능으로 그림그리기 기능이 활성화되게 만들어 버렸습니다. 오피스를 매년 돈내는 옵션으로 구입해야 그 기능을 쓸 수 있고, 오피스를 일시불로 구입하는 것으로는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이런 돈벌레 같은 놈들’ 철저하게 금전만능화된 미국의 기업들입니다. AI로 그림 그리는 기능이 꽤 유용하여 필요할 때 잘 이용했는데 사용할 수 없게 되자, ‘헐!’ 멘붕에 빠졌습니다.  그런데 나중에 보니 다른 방법이 보입니다. 여기저기서 AI로 그림 그리는 기능들을 내놓고 있는 상황에서, 마이크로소프트에서도 웹 베이스로 페인트에서 그리던 방법으로 그림을 그릴 수 있게 다시 만들어 놓았습니다. 그게 디자니어(Designer)라는 것입니다. 개구리 네 마리가 교회 안에서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AI에게 그려보라고 지령을 내렸습니다. 워드벌룬 안에 들어갈 대화 내용도 지정해주었습니다. 그림을 그럴듯하게 그려내었고, 워드벌룬도 생성해내었습니다. 워드벌룬 안의 내용은 AI가 조금씩 수정을 했습니다. 아마도 개구리 발음으로 보이게 만들려는 의도인가요? 워드벌룬을 네 개를 만들라고 했는데 세 개만 만들었습니다. 그 그림을 크립 스튜디오 페인트에서 열어 워드벌룬 하나를 추가했습니다.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

국가 경쟁력을 통째로 아작낸 석열이

이미지
국가 경쟁력을 통째로 아작낸 석열이 윤석열이 내란죄로 탄핵을 받고 있는 와중에 태극기 흔들어 대며 의미없는 데모로 아까운 인생 낭비하고 있는 미치광이들 때문에 국민들이 어지러워하고 있는 상황 속에 가려지고 있지만, 내란죄 외에도 그가 저지른 국가 경쟁력 저하를 일으킨 민폐는 이루 말할 수가 없을 정도입니다. AI 경쟁이 국가간 사활을 걸고 진행되고 있는 마당에 석열이 때문에 대한민국은 지금 탄핵의 늪에서 허우적거리고 있고, AI분야에 국가적 총력을 기울여야 할 시기에 석열이는 AI분야 국내 시장을 아작내어 버렸습니다.  중국과 미국이 AI쪽에 국가 예산과 역량을 집중하고 있을 때, 석열이는 오히려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는 정치를 하여 국내 AI 개발 환경에 찬물을 끼얹었고, 도덕성도 양심도 없고 돈 밖에 모르는, 인생 그 따위로 살려고 얼굴 고치는 일에 인생 건 놈의 와이프는 치맛바람 휘날리며 개인 재산 부풀리는 일에만 올인 했습니다.  무능하기로는 박근혜의 국정 농단을 능가하고, 양심없기로는 국가돈 해먹은 이명박이 못지 않은, 정말 개같은 놈이 대통령에 되어 대한민국이 망했습니다. 어떻게 보수가 대통령만 되면 나라꼴이 죄다 이 모양이 되고 있는지 모를 일입니다.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든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보실 경우,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글이 열립니다. https://vancouver-story.blogspot.com   https://www.youtube.com/@vancouver-story

연필과 AI

이미지
연필과 AI 연필, 요즘 아이들, 학교에서 연필을 사용하나요? 주로 샤프펜을 사용하나요? 제가 꼬맹이 시절에는 샤프같은 것은 없었습니다. 그냥 연필이었습니다. 모나미 볼펜은 연필을 쓰다가 나중에 사용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연필, 그게 없으면 공부를 할 수가 없습니다. 학생에게는 책이 있습니다. 공부하면서 책에 뭔가 표시할 일이 있을 때, 연필이 필요합니다. 책의 문제를 풀 때, 책에다 풀 수도 있지만, 선생님이 노트검사를 하면, 노트에 문제를 풀어야 하고, 그때도 연필이 필요합니다.  국어 숙제는 책의 내용을 노트에 베껴써오라는 것이 왕왕 있는데, 그 때는 연필을 열심히 깎아 가면서 밤늦게까지 고군분투를 하고, 그렇게 연필은 그 큰 키가 몽당 연필이 되고, 지우개도 같이 작아집니다. 그럼 요즘은? 글을 쓸 때 연필을 쓰는 것이 아니라, 키보드를 두드립니다. 그 옛날에는 스케치북에 그림을 그릴 때도 연필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터치스크린에 연필이 아닌, 스타일러스 펜으로 그림을 그립니다.  그런데 이제는 연필도 아니고, 스타일러스도 아니고, 명령만 주면, AI가 그림을 그립니다. 연필이 AI로까지 변할 줄은 정말로 꿈도 꾸지 못한 일입니다. 오늘 메시지를 하나 받았는데, 키네마스터로부터 온 것입니다. 키네마스터는 안드로이드폰에서 비디오를 편집하는 앱입니다. 비디오를 편집하면서 음악을 삽입할 때, AI를 이용해보라는 것입니다. “이게 뭔데?” 좌우지간 무료로 제공하는 플러그인을 인스톨하고, 키네마스터를 열어보니, 정말로 화면 오른쪽 컨트롤러에 AI표시가 보입니다.  그 AI 버튼을 눌렀더니, 뮤직매치 버튼이 다시 나타납니다. 뮤직매치 버튼을 누르고 지시대로 따라같더니, 매칭이 되는 음악을 열거해줍니다. 그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음악이 삽입이 됩니다. AI, 인공지능이라고 하지만, 뭔가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업그레이드 시켜 능력치를 높여주면 그게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