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삼성인 게시물 표시

애플, 소니의 데자뷰

이미지
애플, 소니의 데자뷰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소니, 소니 워크맨 시절, 그리고 소니에서 나온 디지털 카메라와 노트북이 인기 절정이던 시절, 전자제품에서 소니의 아성은 영원하고 아무도 그 아성에 감히 도전한다는 것은 상상도 못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어떻습니까? TV는 삼성에 무너지고, 스마트폰 시장에서 소멸되었고, 현재 남아 있는 소니 제품은 소형 카메라, 플레이 스테이션 게임기 정도입니다. 음향기기 시장에서도 독보적인 존재는 아닙니다. 소니 몰락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욕먹을 짓을 하고 그것 때문에 스스로 망한 원인 중의 하나는 폐쇄적인 정책입니다. 비디오 테이프 표준을 놓고 겨룰 때도 그랬고, 디지털 카메라 등에 들어가는 메모리 스틱의 경우가 대표적인 폐쇄적인 정책 실패의 사례입니다. 그런데 요즘 애플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그런 꼴입니다. 그런 폐쇄 정책 때문에 다른 업체들이 흉내를 내지 못하게 하고 자기만의 혁신으로 시장을 독점 했지만, 그런 정책이 AI 시장에서 자기 발등을 찍고 말았습니다. AI 발전의 기반을 마련한 기업은 구글입니다. 구글이 내건 정책은 애플의 폐쇄 정책과는 다르게 오픈 소스 정책을 펼쳤습니다. AI에 관심 있는 사람들 다 모여 같이 개발하고 같이 성장해 나가자는 정책입니다. 그렇게 지구촌의 온 인종, 인재가 모여 AI 개발에 박차를 가했고, 지금의 몬스터 AI를 만들어 내기에 이른 것입니다. 안드로이드 쪽에 기반을 둔 삼성이 스마트폰에 AI 기술을 슬기롭게 적용하여 대중들의 호감을 사로잡았고, 그것을 무기로 애플의 안마당인 미국에서조차 애플의 점유율을 엄청 먹어버리기 시작했습니다. 애플로서는 엄청 다급한 상황인데도 모든 사업에 페쇄적인 애플이 ...

삼성의 위기는 일시적인가

이미지
삼성의 위기는 일시적인가 스마트폰이 아니고 핸드폰 시절, 그 시절 막강한 명품 핸드폰 브랜드가 뭐였나요? 모토롤라와 노키아였습니다. 특히 노키아는 대단했습니다. 그런 노키아였는데 망했습니다. 왜 망했나요? 스마트폰 시장을 열지 못해서입니다. 노키아가 스마트폰 시장의 원조가 되었다면 아마도 애플이라는 브랜드가 세상에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아무리 막강하고 세계적인 기업이라도 시장의 흐름을 선도하지 못하거나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편승하지 못하면 어이없게 망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소름끼치는 일입니다. 인텔, PC나 노트북을 살 때 혹은 조립을 할 때, 제일 먼저 보는 것이 무엇인가요? CPU가 인텔칩인지를 먼저 봅니다. 인텔칩이 들어간 새 PC를 가지게 되면 세상을 다 가진 기분에 빠지게 됩니다. 그런 인텔인데, 지금 휘청거리고 망해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제는 인텔칩이 최고의 CPU가 더 이상 아닙니다. 이제는 AMD칩을 선호하는 인구가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인텔이 그렇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반도체를 만드는 기업의 CEO가 기술인 출신이 아니고, 경영인 출신으로 들어서면서 사운(社運)도 기울기 시작했습니다. 회사의 기술력을 키우기 보다는 경영실적 위주로 숫자 놀음을 하면서, 기술 인력이 경쟁사로 빠져나가고 그로 인해 기술력이 퇴보하면서 자멸의 길로 들어섰습니다. 노키아와 인텔같은 회사도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선도하지 못하면 망하는 것이 시장의 잔인한 현실입니다. 전자제품의 시장이 가전제품에서 반도체, 반도체에서 스마트폰, 다시 AI로 발전하는 것이 사조의 흐름입니다. 시장이 AI 시대로 접어들면서 삼성이 위기에 빠졌습니다. 노키아가 스마트폰 시장으로 앞서 전환하지 못한 점, 인텔이 경영 실수로 인재를 잃고 기술개발에 뒤처진 점, AI 시장을 앞에 둔 삼성전자가 이 두 가지 문제 모두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AI 시대가 열리면서 가장 필요한 반도체는 GPU와 HBM입니다. 그런데 삼성이 HBM 생산에 필요한 인력을 경쟁업체에 모두 빼앗겼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