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keyboard인 게시물 표시

키보드 마우스 블루스

이미지
키보드 마우스 블루스 요즘 컴퓨터를 쓰는 사람들은 거의 다 와이어리스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합니다. 선으로 컴퓨터에 연결되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쓰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선으로 이어진 키보드와 마우스를 쓰다가 와이어리스 키보드와 마우스가 나오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저도 예전에 와이어리스 키보드와 마우스로 갈아탔습니다.  그러다가 와이어리스 키보드와 마우스를 쓰레기 통에 다 집어던지고, 다시 와이어 키보드와 마우스로 돌아가 지금까지 사용해오고 있습니다. 그걸 집어던진 이유는 크게 두가지입니다. 하나는 간혹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고, 다른 하나는 너무 자주 많이 들어가는 배터리 때문이었습니다. 와이어로 연결된 키보드와 마우스를 쓰니, 연결이 끊어질 일이 없고, 배터리 걱정을 할 필요도 없었습니다. 집에서는 와이어를 쓰고, 회사에서는 와이어리스를 쓰는데, 회사에서 쓰는 와이어리스 마우스의 배터리가 정말 오래 가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사실 와이어 키보드와 마우스를 쓰니 신뢰성은 만땅이지만, 책상 위에 어지럽게 늘어선 키보드와 마우스의 선들이 너무 어지럽습니다. 그것과 몇가닥의 USB 차징(charging) 선들이 모여 얼기설기 영 모양이 없어 보입니다. 키보드와 마우스 선 두 개만 없어도 한결 산뜻해집니다. 해서 우선 마우스만 무선으로 먼저 가보았습니다. USB에 리시버를 뽑을 필요가 없는 블루투스 마우스를 아마존에서 구입하여 사용해봤습니다. 그게 폼나게 잘 돌아갔는데, 가끔씩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이 되는 것입니다.  ‘아하 블루투스 마우스가 이런 문제가 있구나!’ 조사를 해보니 마우스가 백불이 넘는 것들이 보입니다. 그런 마우스들은 블루투스 마우스가 아니고 USB에 리시버를 꼽아 쓰는 무선 방식입니다. 아마도 블루투스 마우스는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가 유전적으로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백불이면 마우스가 너무 비싼 것 아닌가? 마우스는 10불 정도 하면 되는 거 아냐? 보니, 그런 마우스들은 좌우 스크롤까지 되고 휠을 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