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컴퓨터인 게시물 표시

시원찮은 마이크로소프트 페인트

이미지
시원찮은 마이크로소프트 페인트 오래전부터 윈도우에는 페인트라는 간단한 그래픽 앱이 기본으로 깔려있습니다. 이게 사진등을 보정하는 기능으로는 부족한 점이 많았는데, 슬금슬금 개선이 되어, 지금은 꽤 쓸만한 수준이 되었습니다.  사진을 자르고 확대하는 작업은 물론, 사진 안에 화살표를 표시하고, 설명을 달거나, 워드벌룬을 삽입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간단한 사진 설명용 편집 작업은 큰 앱 열지 않고 간단히 처리할 수 있어 스피디하고 간단한 작업에 자주 이용하고 있는 편입니다. 이렇게 편리해지고 쓸만해진 페인트 앱에 윈도우11에서는 AI기능까지 접목하여 간단한 그림 제작 명령을 입력하면 그림까지 그려주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페인트 앱을 열고 Cocreator 아이콘을 클릭하면 화면 오른쪽에 창이 열리면서 명령문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게 뭔일? 오늘 좀 어려운(?) 작업을 시켰더만 뭔 변명을 늘어놓고는 그릴 수 없다고 뜹니다. 해서 명령문을 좀 바꿔 다시 입력을 했더만 이번에는 파란 조각원이 오른쪽 화면 중앙에서 뱅글뱅글 끝없이 돌기만 하고 그림을 그려낼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해서 엣지를 열고 빙 코파일럿 AI에게 물어보았더니 페인트를 닫고 다시 열어서 해보아라, 그래도 안되면 로그아웃 했다가 다시 로그인해서 해봐라 그러는데, 그래도 계속 뱅글뱅글 돌기만 합니다. 심지어는 노트북을 껐다켜도 그 모양입니다. 윈도우11까지 왔는데도 아직도 이런 기본적인 버그가 있어? 그 실력으로 떼돈을 벌고 있습니다. 회사 마켓벨류가 애플을 따라 잡았다나?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야기하여 마이크로소프트나, 애플이나, 삼성이나 완성된 제품을 만들어냈다면 지속적으로 돈을 벌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완성품이 아닌, 이전 제품보다 조금 더 개선된 제품을 끝없이 내놓아야 끝없이 돈을 벌 수 있을 것입니다. 완성된 뭔가를 기대하는 것이 아직도 세상물정 모르는 어리석은 소비자의 마음일지도 모릅니다.

10배 느린 속도 체감

이미지
10배 느린 속도 체감 컴퓨터가 10배 느리다는 것은 어떤 상태일까요? 10배가 느리다는 것은 3분짜리 작업이 30분 걸리는 것이고, 1시간짜리 작업을 10시간이 걸려야 한다는 말입니다. 이건 ‘헐!’ 거의 공포수준입니다. 그런데 제가 20배 느린 경험을 했습니다. 10배가 아닌 20배! 15년 전에 구입한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외장 하드에 기록한 데이터의 양이 500기가 정도됩니다. 이 하드를 새노트북에 연결해 사용하려는데, 패스워드가 먹히지 않습니다. 패스워드를 기록해놓았기 때문에 그게 맞는 것이 분명한줄 알았는데, 먹히질 않는 것입니다. 패스워드를 이것저것 입력해 보았는데도 뚫리질 않습니다. 다행히 옛노트북에선 패스워드가 오토언락이 되어 외장하드의 파일들을 열수도 있고, 카피할 수도 있습니다. 해서 그 외장하드의 데이터를 새노트북에서 사용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외통수 한가지 방법밖에 없습니다. 올드 노트북에 그 외장하드와 새외장하드를 같이 연결하여 올드 하드의 데이터를 새외장하드에 복사하는 것입니다. 올드노트북에서 파일 복사하는 속도를 보니 초당 3메가 안팎입니다. 믿을 수 없는 속도입니다. 이틀 걸렸습니다. 파일들을 새외장하드에 옮긴다음, 새노트북에 두 외장하드를 다시 연결하고, 올드 하드는 팩토리리셋을 하여 패스워드를 없앤 다음에 새외장하드에 옮겼던 파일들을 다시 올드외장하드에 옮겨보았습니다. 두 시간 걸렸습니다. 파일 전송속도가 초당 60메가 정도입니다. 두시간, 이것도 짧은 시간은 아닙니다. 두 시간이 아니라 20분만 걸렸으면 더 좋았을 것이고, 2분 밖에 안 걸렸다면 꿈의 속도라고 했을 것입니다. 그럼 2초 밖에 안걸렸다면? 인간들은 아마도 그 속도에 도달하기 위해 지금 하고 있는 것 이상 더 미친듯이 끊임없이 업그레이드하고 경쟁하겠지요? 그러는 동안 이산화탄소는 얼마나 더많이 배출될까요? 새노트북에 깔린 윈도11, 이것저것 열어보니 늘 써오던 윈도라 크게 새로울 것은 없는데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