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운동화인 게시물 표시

캐나다는 미국 물건 관세 물리지 않기로

이미지
캐나다는 미국 물건 관세 물리지 않기로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트럼프가 자국 기업들에게 수출 관세까지 붙인다는 소리를 얼핏 들으며 두 귀를 의심한 일이 있습니다. 정말로 그런 생각을 했다면 미친 놈입니다. 정부 재정 확대에 눈이 멀어 관세를 때리는 것은 그렇다 치고, 수출 관세까지 때리면 자국 기업들을 망하게 하려고 하는 건지, 뭔 생각으로 마구 그런 식으로 권력을 휘두르고 있는지 모를 일입니다. 정말 수출 관세를 때리겠다고 했는지 그 일에 대한 진위 여부는 모르겠고, 좌우지간 트럼프가 이웃 캐나다와 멕시코는 말할 것도 없고, 세계 모든 나라에 대해 무차별 관세 폭탄을 투척했습니다. 러시아산 석유를 사 쓴다는 죄목으로 50% 관세를 맞은 인도는 총리가 아예 트럼프를 상종조차 하지 않고 있습니다. 트럼프가 네 차례나 전화를 했는데도 받지 않았다는 소리를 들으면서 참 코미디도 이런 코미디가 없다 싶은 생각이 듭니다. 인도 수상은 트럼프를 완전히 양아치, 상종 못할 놈으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 와중에 캐나다 수상은 미국에서 들어오는 물품에 대해 관세를 부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캐나다 국민의 경제 사정을 어렵게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한 것입니다. 이 일로 인해 슬슬 오르기 시작하려고 하던 물가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인지 기대가 됩니다. 아마존의 물건값들은 확실이 슬슬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아마존에서 취급하는 물품의 가격이 다시 전과 같은 수준으로 내려올 지 두고 볼 일입니다. 아내가 지난 2년 간 잘 신은 흰 신발이 정말 낡아보여 개비를 하려고 아마존에서 신발을 골라보니 백불이 넘는 가격입니다. 요즘 신발이 옛날 같이 20불 대의 신발이 없습니다. 코스트코에 싸...

청바지와 운동화

이미지
청바지와 운동화 지난 해, 아주 춥거나 아주 더운 날 빼고는 아랫도리에 청바지를 꽤 자주 입었습니다. 심지어는 교회 갈 때도 청바지를 입곤 했습니다. 한국에서는 청바지 입고 교회가면 눈총을 받을 일이지만, 캐나다에서는 목사들조차 청바지 입고 강대상을 누비니, 뭐 저같은 돌신자야 그걸 입지 못할 일이 전혀 없습니다. 사실 캐나다에서도 청바지 입는 목사는 현지인 목사들이이지, 한국인 목사들은 일년 내내 넥타이에 양복차림입니다. 그런 한인 목사가 버티고 있는 한인 교회에 나가는데도, 뭐 여기는 캐나다니까 하고 용기 빡빡, 뻔뻔하게 청바지 입고, 눈총 개의치 않고 교회를 드나들었습니다. 그런데 그게 뭐 그리 크게 눈총 받을 일도 아닙니다. 이곳 현지 사정은 청년들이 여름이면 슬리퍼 신고 터덜터덜 교회에 들어오는 분위기다 보니, 사실 노인네 청바지는 아무도 신경 쓰는 사람도, 눈 여겨 보는 사람도, 청바지 멋있다고 한 마디 해주는 사람도 없습니다.  사실 젊어서도 잘 입지 않았던 청바지를 늙어 하나 산 것은 재작년이었던가? 코스트코에 들렸는데, 리바이스 청바지가 보여 순간 충동구매 욕구가 일었고, 젊어 못한 것 늙어 폼나게 한번 입어보자는 생각이 들어서입니다.  그 옛날 아메리카 대륙의 서부 지역에서 금이 발견된다고 소문이 나서 미국의 온 인류가 죽음을 각오하고 서쪽으로 서쪽으로 이동하는 골드러쉬가 있었습니다. 금 캐려고 서부로 이동하다가 금도 캐보지 못하고 오는 도중에 병에 걸려 죽고, 총에 맞아 죽고, 사막을 벗어나지 못하고 물을 마시지 못해 죽은 사람들도 숱하게 많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정작 서부에 도착해서도 금으로 돈을 번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듯 합니다. 대신 금이 아니라 다른 시각으로 비즈니스를 벌인 사람들이 돈을 많이 벌었다고 합니다. 청바지도 골드러쉬 때문에 생겨난 것이고, 아마도 금을 캐서 번 돈보다 청바지를 팔아서 번 돈이 훨씬 더 많지 않나 싶습니다. 당시 청바지로 떼돈을 벌다가 청바지 브랜드의 원조가 된 것이 리바이스(Lev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