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30, 2015의 게시물 표시

테크니션들의 실력 – 지엠의 밴들

이미지
테크니션들의 실력 – 지엠밴 2001 년 폰티악 몬타나가 왔습니다 .   차를 올리고 훑어보니 , 어지간한 정비를 하는 것보다는 그냥 새차로 교체하는 것이 좋을 정도로 정말 많은 문제들이 있는 밴(van)입니다 . 발견된 문제 리스트들을 한 페이지 가득 적어주니 , 돈이 너무 많이 든다고 , 아무 것도 하지 않겠다고 합니다 . 차를 버릴 결심을 한 것인가요 ? 그런데 다음 날 , 엔진쪽에서 나는 소리가 거슬리니 그것만 고쳐보겠다고 합니다 . 소리는 서팬타인 벨트 (serpentine belt) 쪽에서 나는 소리입니다 . 벨트 오토텐셔너가 시즈 (seized) 되어있습니다 . 아이들 풀리 하나에서도 소리가 납니다 . 해서 그것 둘과 벨트까지 교체하게 되었습니다 . 그런데 오토텐셔너를 떼어내보니 , 풀리가 어디에 긁혀 마모되어 있습니다 . 아래 그림에서 오른쪽 새 것과 비교해보면 어떤 상태인지 극명하게 알 수 있습니다 . 뭔 일인가보니 , 파워 스티어링 펌프로 연결되는 호스 중에 리턴 호스 (R) 가 바깥으로 나와있습니다 . 원래는 펌프에서 나오는 하이 프레셔 라인 (P) 이 바깥으로 나오고 리턴라인 (R) 은 안쪽으로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 온갖 문제들을 안고 있는 차가 유독 매니홀드 가스켓이 멀쩡한 것으로 보아 , 아마도 인테이크 가스켓 교체작업을 어디선가 , 누군가 한 모양인데 , 그때 작업이 잘못되었던 모양입니다 . 인테이크 가스켓 교체작업을 할 때 , 이 파워스티어링 펌프를 움직여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 펌프를 들어내고는 끼워넣을 때 , 그만 두 파이프의 위치를 바꿔끼워넣은 모양입니다 . 아래 그림이 제가 바로잡아준 상태입니다 . 이제 오토텐셔너 풀리에 닿는 것이 아무 것도 없습니다 . 파워스티어링 파이프들과 멀찌감치 떨어졌습니다 . 그리고 또 다른 지엠밴을 한 대 받았습니다 . 몬타나의 후속타라고 할 수 있는 업랜더입니다 . 2008 년형입니다 . 이 차는 경고판에 ABS 경고

캘리퍼 교체를 세 번이나

이미지
캘리퍼 교체를 세 번이나 하룻동안 같은 트럭에서 캘리퍼를 세 번이나 교체를 했습니다 . 왜 이런 쌩쑈가 일어났을까요 ? 브레이크 작업을 한지 얼마되지 않은 지엠씨 씨에라 트럭인데 , 또 소리가 난다고 왔습니다 . 웍오더 (work order) 화면을 확인해보니 , 브레이크를 인스팩션해보고 , 이상이 없으면 노이즈 문제를 개선한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하라는 내용이 보입니다 . 타이어를 떼어내고 브레이크를 체크해보니 , 별다른 이상은 발견되지 않는데 , 왼쪽 운전석쪽 로터를 돌리기가 무척 힘이 듭니다 . 오른쪽은 샤방샤방 잘 돌아가는데 , 왼쪽은 완전히 뻑뻑합니다 . 캘리퍼의 피스톤을 밀어넣고나니 , 그제야 로터가 잘 돌아갑니다 . 패드가 캘리퍼 브라켓 가이드에 시즈 (seized) 되었나보니 , 그렇지도 않습니다 . 다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캘리퍼 피스톤을 나오게 해보니 , 다시 로터가 빡빡해집니다 . 그걸 샵포맨인 조에게 리포팅하니 , 캘리퍼를 교체하라고 합니다 . 로터 머시닝 (machining) 은 이미 두 차례에 걸쳐 했으니 , 이번에는 하지 말라고 합니다 . 캘리퍼가 시즈 (seized) 될 경우 , 브레이크 호스의 안쪽이 잘못되어서 그럴 수도 있는데 , 이번 케이스에는 브레이크 라인 문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 캘리퍼가 시즈되었을 때 , 브리드 (bleed) 밸브를 열어도 변화가 없고 ,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 오일이 정상적으로 빠집니다 . 해서 패드도 새것으로 교체하고 , 캘리퍼도 리빌트 (remanufactured) 된 것으로 교체를 했는데 , 마찬가지로 로터가 빡빡할 뿐만 아니라 , 캘리퍼와 휠의 밸런스 웨이트 (balance weight) 가 간섭이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 해서 캘리퍼를 지엠 OE(original equipment) 캘리퍼로 교체를 했습니다 . 그제야 모든 문제가 없어지고 , 캘리퍼에 의해 시즈되어 로터가 빡빡하게 잘 움직이지 않는 문제도 없

녹슬어 구멍난 에어컨 파이프

이미지
녹슬어 구멍난 에어컨 파이프 지난 여름에는 참 많은 에어컨 작업을 했습니다 . 큰 트럭 SUV 차들은 뒤쪽 에어컨까지 있어서 차 밑으로 앞에서 뒤까지 가는 에어컨 파이프가 녹슬어 냉매가 새는 바람에 그 파이프들을 부분적으로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일도 여러 번 했습니다 . 오늘 일하다 한가한 틈에 작업벤치를 정리하다보니 , 전에 문제가 되어 절단해냈던 에어컨 파이프가 보입니다 . 에어컨 파이프가 알루미늄으로 되어있지만 파이프의 두께가 얇은 것은 아닙니다 . 생각보다 두께가 꽤 두텁습니다 . 이렇게 두꺼운 파이프에 녹이 슨다고 구멍까지 난다는 것은 언뜻 믿기지 않는 일일 수 있습니다 . 노동절을 맞이하는 주말인지라 마지막 긴 여름 주말을 즐기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 해서 주말 오후에 딜러 서비스를 찾는 손님이 끊어져 손을 놓고 있는 사이 , 녹슨 파이프의 안쪽이 어떤 모습인지 , 정말 구멍이 뚫렸는지 보고 싶어 에어컨 냉매가 새었던 부분을 절단해보았습니다 . 녹슨 부분의 안쪽을 보니 정말로 녹슨 것 때문에 구멍이 생겼습니다 . 알루미늄 파이프에 어떻게 녹이 생기고 그게 구멍까지 날 정도로 진전이 되는지 그 생성 과정이 참 궁금합니다 . 쇠도 녹스니 , 쇠보다 약한 알루미늄이라고 녹슬지 말라는 법은 없지만 , 부식의 매서움에 혀를 내두를 뿐입니다 . 세상의 모든 물질이 정말 썩어서 없어지지 않는 것이 없습니다 .

자동차에는 컴퓨터가 몇 개나 있을까?

이미지
자동차에는 컴퓨터가 몇 개나 있을까 ? 자동차에 컴퓨터가 몇 개나 있을 것 같습니까 ? 운전은 하고 다녀도 차에 대해 잘 모르는 보통 사람들은 자동차에 컴퓨터가 있다는 말에 의아해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있다고 하더라도 하나 정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0 세기 들어 차에 들어가는 컴퓨터가 늘어나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스무 개에서 서른 개까지의 컴퓨터가 들어갑니다 . 아래 그림에서 모듈 , 혹은 콘트롤이라는 말이 붙은 것이 컴퓨터입니다 . 집에 있는 PC 나 스마트폰같이 사람이 들여다볼 수 있는 화면은 없어도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 연산을 하고 , 엑츄에이터를 움직이게 아웃풋 (output) 을 내놓고 하는 업무 (?) 를 수행하는 컴퓨터들입니다 . 차에는 이런 다양한 컴퓨터와 센서들이 마치 인터넷같이 데이터망으로 연결되어 상호 정보와 데이터를 주고 받습니다 . 차에 컴퓨터가 이렇게 어마무시하게 많이 들어가는지 일반인들은 상상도 못할 일입니다. 따라서 제조사로부터 딜러에 제공되는 정비관련 정보도 양이 어마하게 방대해지고 있고, 이런 정보에 접근할 수 없는 일반정비샵들은 차 고치는 일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차의 곳곳에 컴퓨터가 위치하고 있고 , 심지어는 뒷좌석 뒤쪽의 트림을 뜯어내어보아도 그 트림 밑에만 컴퓨터 모듈이 두어 개나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