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중력인 게시물 표시

스타링크 난리블루스

이미지
스타링크 난리블루스 요즘 천문학계에 문제가 좀 있다고 합니다. 앨런 머스크가 위성 인터넷 사업을 위하여 저궤도 인공위성을 너무 많이 띄워 별을 관측하는데 심각하게 지장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그 놈이 별 데다가 다 휘젓고 다니면서 말썽을 부리고 있구나!” 그 소리를 들으면서 도대체 그 놈이 쏘아 올린 위성이 몇 개나 되길래 그러나? 500km 정도 높이의 저궤도라고 하면 그곳에는 공기 저항이 없나? 공기 저항이 있다면 공기마찰 때문에 속력이 떨어지면서 추락할텐데? 그러면 자체추진력을 가진 위성인가? 무게는 얼마나 되지? 그 무게 가지고 떨어지지 않고 중력에 버티려면 그에 상응하는 원심력을 만들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속도로 돌아야 하지? 뭐 그런 생각들이 한꺼번에 몰려 들었습니다. 공학을 전공한 놈의 직업병 같은 것입니다. 그런데 공대까지 갈 필요도 없고, 고등학교 물리시간에도 나오고 대학교 입시에도 나왔던 중력과 원심력 구하던 공식이 가물가물 잘 생각나지를 않습니다. ‘헐!’ 친구놈 이름은 생각이 나지 않아도 그 공식은 생각났었는데, 이제는 가물가물하네. 이렇게 형편없어진 정신머리 가지고 인생을 더 살 의미가 있는 것일까? 그래서 이제 사람보다 더 똑똑해졌다는 AI(구글 Gemini)에게 물어보았습니다.  알아낸 내용을 대충 정리하면 이런 정도입니다. 스타링크 하나의 무게는 260kg 정도, 고도는 550km, 지구로 떨어지지 않고 원심력의 힘을 이용하여 그 궤도를 유지하려면 초속 7.8km(시속 28,000km)의 속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궤도에는 희박하게나마 공기가 존재하여 공기와의 마찰로 인한 저항으로 인해 위성의 속도가 점차 떨어지기 때문에 속도를 유지하기 위한 자체 추진장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올라가 있는 스타링크 위성의 수는 6천개 이상이고, 그렇게 많은 돈을 쓰고도 돈을 벌 수 있는 이유는 산업계와 군사분야에서 위성 인터넷을 이용하는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AI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