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26, 2024의 게시물 표시

레이저냐 잉크젯이냐

이미지
레이저냐 잉크젯이냐 현재 책상 위에 놓여진 프린터는 레이저 프린터입니다. HP의 저가 보급형 모델인 M139we입니다. 그러면 그전에 잉크젯을 사용한 적은 없는가? 왜 없겠습니까. 다른 사람들 그러는 것처럼 싼 맛에 샀다가 잉크가 떨어져서 잉크를 사려고 하면 잉크값이 잉크젯 프린터 가격만큼이나 비싸서 잉크를 다시 사느니, 그냥 새 프린터를 다시 사서 쓰는 패턴을 반복했습니다. 그러다보니 쓰다버린 잉크젯 프린터가 하나둘이 아닙니다. 이게 이 세대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쓴 경험이 아닐까 싶습니다. 잉크값이 너무 비싸고, 잉크 떨어질 때마다 새 프린터 사는 것도 아닌 것같아, 레이저 프린터를 사서 쓰고 있는 것입니다. 레이저 프린터도 새 프린터에 따라오는 토너는 오래 쓰지 못합니다. 그걸 다 쓰고 나서 새 토너를 사서 끼우면 그건 꽤 오래 쓸 수 있습니다. 그렇게 잉크젯이 모두 사라지고 레이저만 쓰고 있습니다. GM딜러에서 일하다 보면, 매년 쌓이는 것이 있습니다. GM 어워드 포인트가 쌓이는데, 그 포인트로 GM 엘리트 웹사이트에 리스팅된 다양한 상품 중에 원하는 것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포인트가 많으면 대형 스크린 TV도 살 수 있고, 애플폰도 살 수 있고, 캠핑용품이나 툴 같은 것도 살 수 있습니다. 제가 타겟으로 삼고 포인트를 모으고 있던 것은 카메라입니다. 간단히 포켓에 넣고 다닐 수 있을 정도로 소형이면서 40배 줌도 되고, 4K 비디오도 찍을 수 있는 그런 니콘 카메라였습니다. 올해 초 포인트를 추가로 받아 그걸 구매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화면에서 그걸 선택하여 구매를 하고 ‘아싸!’하고 기다리는데, 이게 웬걸! Sold out. 다시 물건을 보충하겠지 하고 기다리는데, 다시 웹화면에 뜨질 않습니다. 그게 처음 화면에 리스트업될 당시의 가격은 3백불 대였는데, 지금은 가격이 두 배 이상 점프하여 같은 레벨로 다룰 수가 없게 되어버렸습니다. 스마트폰에 밀려 카메라 시장이 가라앉으면서 좋은 카메라가 싸게 나오는 것을 기대할 수 없게 되어버린

옷의 품격

이미지
옷의 품격 옷의 품격이라니? 돈 밖에 모르고, 명품 걸치고 자랑질 하고 다니는 골 빈 졸부들이나 할 법한 소리입니다.  캐나다에서 사는 것이 한국보다 편한 점도 있고, 그렇지 않은 점도 있지만, 가장 편한 점 중의 하나는 멋부리고 다닐 필요없다는 점입니다. 웨스트 밴쿠버가 잘 사는 사람들 동네인데도 사람들 걸치고 다니는 것을 보면 참으로 소박하기 그지 없습니다. 그런데 소박하게 아무 거나 툭 걸치고 다니는 것이 오히려 멋스러워 보이는 풍속도이다 보니, 사람들이 비싼 옷에 연연하지 않고 싼 옷을, 그 싼 옷이 바겐세일할 때, 몇 개 구입하여 걸치고 다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공부를 한국 사람보다 죽어라 하지 않는 것처럼 패션도 한국 사람만큼 열정적으로 하지 않는 것 같은 분위기입니다. 저는 평생 로션을 바르지 않고 살았고, 멋과는 거리가 먼, 그냥 기름쟁이입니다. 한국에서도 집에 있는 것 아무 거나 그냥 걸치고, 옷을 사지 않아 정말 집에 입을 것도 없이 살았는데, 그렇게 살다 캐나다 오니 더 편해져서 정말 아무 거나 입고 다니고 있습니다. 그러니 깔맞춤같은 것은 제게는 안드로메다의 언어같은 소리입니다. 그런데 솔직히 새 옷을 사서 입으면 기분이 좋은 것은 사실입니다. 코스트코 같은 곳에 가서 마음에 드는 색과 디자인의 옷이 눈에 띄면 가끔 하나씩 사긴 합니다. 한국 같으면 정장은 아니더라도 깔끔한 시티풍의 옷을 집어들었을텐데, 캐나다에서 눈에 들어 집어드는 옷은 그런 것은 아니고, 캐주얼하고, 아웃도어 액티비티에 적합한 그런 옷을 집어듭니다. 어디 놀러만 다니는 것같은 그런 옷. 평생 패션에 신경쓰지 않고 살았는데, 나이 들어 꼴이 쭈그러들고, 옷 좀 입고 다녀라, 옷 좀 사러가자, 그러는 아내의 성화도 있고, 이곳 노인네들이 보니, 늙어도, 아니 늙을수록, 할머니들이 화장도 시뻘겋게 하고, 옷에도 무척 신경을 쓰는 것을 보고, 이제는 아내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맞춰줄 나이가 된 것같아 엊그제 구하여 머리에 쓴 페도라 모자에 맞는 셔츠를 하나 구입하고 싶은

키보드 마우스 블루스

이미지
키보드 마우스 블루스 요즘 컴퓨터를 쓰는 사람들은 거의 다 와이어리스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합니다. 선으로 컴퓨터에 연결되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쓰는 사람이 거의 없습니다. 선으로 이어진 키보드와 마우스를 쓰다가 와이어리스 키보드와 마우스가 나오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저도 예전에 와이어리스 키보드와 마우스로 갈아탔습니다.  그러다가 와이어리스 키보드와 마우스를 쓰레기 통에 다 집어던지고, 다시 와이어 키보드와 마우스로 돌아가 지금까지 사용해오고 있습니다. 그걸 집어던진 이유는 크게 두가지입니다. 하나는 간혹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고, 다른 하나는 너무 자주 많이 들어가는 배터리 때문이었습니다. 와이어로 연결된 키보드와 마우스를 쓰니, 연결이 끊어질 일이 없고, 배터리 걱정을 할 필요도 없었습니다. 집에서는 와이어를 쓰고, 회사에서는 와이어리스를 쓰는데, 회사에서 쓰는 와이어리스 마우스의 배터리가 정말 오래 가는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사실 와이어 키보드와 마우스를 쓰니 신뢰성은 만땅이지만, 책상 위에 어지럽게 늘어선 키보드와 마우스의 선들이 너무 어지럽습니다. 그것과 몇가닥의 USB 차징(charging) 선들이 모여 얼기설기 영 모양이 없어 보입니다. 키보드와 마우스 선 두 개만 없어도 한결 산뜻해집니다. 해서 우선 마우스만 무선으로 먼저 가보았습니다. USB에 리시버를 뽑을 필요가 없는 블루투스 마우스를 아마존에서 구입하여 사용해봤습니다. 그게 폼나게 잘 돌아갔는데, 가끔씩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이 되는 것입니다.  ‘아하 블루투스 마우스가 이런 문제가 있구나!’ 조사를 해보니 마우스가 백불이 넘는 것들이 보입니다. 그런 마우스들은 블루투스 마우스가 아니고 USB에 리시버를 꼽아 쓰는 무선 방식입니다. 아마도 블루투스 마우스는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가 유전적으로 있어서 그런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백불이면 마우스가 너무 비싼 것 아닌가? 마우스는 10불 정도 하면 되는 거 아냐? 보니, 그런 마우스들은 좌우 스크롤까지 되고 휠을 휘

메이플 리프와 페도라

이미지
메이플 리프와 페도라 비가 오락가락 하다가 해가 나오고 하는 날씨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비가 그친 오후, 바람 쐬러 가까운 바닷가 놔두고 웨스트 밴쿠버 뒷산에 올라갔습니다. 동네 뒷산에 천미터가 넘는 봉우리들이 즐비하지만 고도 3백미터 정도만 올라가도 온 밴쿠버가 모두 내려다 보이고, 미국까지도 멀리 좍 펼쳐져 보입니다. 밴쿠버가 좋다는 소문 때문에 사람은 끊임없이 유입되고, 집 지을 땅은 모자라고, 할 수 없이 새로운 집들이 산 위로, 산 위로 지어지고 있습니다. 산 위에 집을 지으면서도 숲을 잘 보존하고, 도로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산책할 수 있는 길도 집 짓기 전에 먼저 애써 조성하면서 산 위에 마을을 만들고 있습니다. 새로 만들어 놓은 산책로 주변에 피어나는 꽃들이 정말 예쁩니다. 뒷산 이름들 중에 대표적인 산 이름이 사이프러스(Cypress)일 정도로 레드세다와 더글러스퍼같은 하늘 높이 솟은 침엽수들이 많은 데 그 중에 큰 잎을 가진 활엽수도 꽤 많이 보입니다. 활엽수도 어마어마하게 큽니다. 큰 잎을 보니 어릴 때 그걸 뜯어 우산으로 가지고 놀던 생각이 납니다. 그걸 보고 있으면서 뜨거워지는 햇볕을 견디려면 이번 여름에 늘 쓰고 다닐 모자 하나 마련해야겠다는 생각이 불현듯 듭니다. 이 활엽수의 이파리를 보면 뭐 생각나는 거 하나 있습니다. 캐나다 국기 가운데 박혀있는 메이플 이파리. 이 나무의 이름이 Bigleaf Maple입니다.  산을 한번 휘둘러보고 타운으로 내려와 몰에 들렸습니다. 런던드러그에 갔습니다. London Drugs, 이 가게를 미국에서는 본 적이 없습니다. 캐나다에만 있는 가게일 겁니다. 이 가게, 잡화점입니다. 카메라, 컴퓨터, 프린터, TV, 화장품, 부엌용품, 약품, 과자, 학용품, 그러니까 과일, 야채, 고기 빼고 대충 없는 것 빼고 죄다 파는 그런 잡화점입니다. 그럼 이런 곳에서 모자를 팔아? 모자를 팔더라고요.  페도

Flowers of Seawalk

이미지
Flowers of Seawalk, West Vancouver  

방언에 대한 올바른 이해: 김명현 교수

이미지
김명현 교수가 방언에 대해 바르게 알려주는 세미나 영상입니다.  

Flowers of Seawalk

이미지
Flowers of Seawalk 밴쿠버와 노스쇼어(노스밴쿠버와 웨스트밴쿠버)는 현재 두 개의 다리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두 지역 모두 섬이 아닌데 다리로 연결된 이유는 육로로 가려면 험준한 산을 타고 빙빙 돌아야 하는데, 아직도 그 산들은 여전히 험준한 산들이고 길이 만들어지지 않아 다리를 통해 오가야 합니다.  두 개의 다리가 건설되기 전, 그 오래 전, 밴쿠버에 있는 스탠리 파크가 해군기지로 쓰여지던 때에 해군 제독이 밴쿠버와 웨스트 밴쿠버 사이를 가르는 조지아 해협을 배로 건너 웨스트 밴쿠버에 별장을 지었습니다. 웨스트 밴쿠버 한 파크에 박혀 있는 동판에 그때의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해군제독이 군함과 병력을 그렇게 사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권력남용, 횡령, 뭐 그런 거 아닌가요? 그 옛날 그런 것이 문제없이 가능했나 보지요? 아래 그림의 썩어가는 판자집이 백년 전, 해군제독 네이비 잭의 별장입니다. 지금은 썩은 모습이지만, 당시 저런 2층집이면 무지하게 호화스런 저택입니다.  그걸 삐까번쩍하게 복원하여 박물관으로 오픈하겠다는 그런 계획을 웨스트밴쿠버 시티가 추진하고 있는 것입니다. 잡아다가 주리를 틀고, 권력남용에 대한 청문회를 열어도 시원찮을 일 아닌가요? 그 후손들은 죽은 사람 멱살잡고 하드캐리할 생각없고 그렇게 명물 하나 만들어 돈이나 만들어 보겠다는 생각인 것이지요. 그런 유물 하나 만들어 놓는 게 의미 있는 일인 것 같기도 하고. 웨스트 밴쿠버에 살면서 누리는 가장 큰 혜택은 씨웍(Seawalk) 산책입니다. 집을 나서 바닷길로 내려가는 길가 잔디에 버섯이 올라와 있습니다. 새기(Shaggy Mane) 버섯입니다. 갓 올라왔을 때 먹을 수 있다고 하는데, 좀 크면 먹을 수가 없어 일반적으로 독버섯으로 알고 있습니다. 비슷하게 생긴 것들이 어떤 것은 먹을 수 있고, 어떤 것은 독버섯이라고 하니, 잘 모르면 야생버섯은 욕심내지 말고 그냥 보고 즐기는 것으로 만족해야 합니다.

영어 고추장 치킨

이미지
영어 고추장 치킨 밴쿠버에 유명한 그로서리 체인점으로는 수퍼스토어, 시티마켓, TNT, 세이브온푸드 같은 것이 있습니다. 미국 체인점으로는 IGA, 월마트, 홀푸드같은 것이 있습니다. 그런데 코비드 이후 캐나다 그로서리 체인점들은 서로 합병되면서 체인점 이름은 그대로 있지만 두어개 그룹으로 나뉘어졌습니다. 한 기업이 독점을 해버렸으면, 가격을 올려버릴 수도 있겠지만, 두어개 그룹이 경쟁 체제로 되고, 통합으로 인한 물류수급이 대량화되어 관리비가 줄어들면서 물건값을 내릴 수 있는 여지도 생겼습니다. 그룹간의 단합만 없다면 소비자들은 그로서리 가격이 낮아지는 것을 기대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실제로 이 가게, 저 가게 돌아다니면 가격을 비교하여 싸고 좋은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래도 가격이 팍팍 내리지 않는 것은, 기후변화와 물부족으로 인해 농사를 망치는 경우가 생기면서 세계적인 식량 수급 부족 문제가 늘 잠재되어 있고, 현실적으로 가격 상승 요인을 늘 안고 있기 때문입니다. 근래에 체인점을 늘리면서 공격적으로 경영을 하는 체인점으로 시티마트라는 가게가 있습니다. 가게라고 해서 조그만 구멍가게가 아니고 매장 면적이 축구장 반만한 대형 마켓입니다. 거기 물건이 꽤 괜찮은 것이 있습니다. 육류도 좋은 것을 찾아볼 수 있고, 과일이나 야채도 준수한 것들을 갖다 놓습니다. 그중에는 가격까지도 착한 것을 종종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노스 밴쿠버에 있는 시티마트를 구경하다 뭔가 하나 발견했습니다.  “고추장!” 포장에 영어로 고추장이라고 쓰여진 냉동 치킨윙 박스를 발견했습니다. 17불. 포장에 윙이 최소한 14조각 들어있다고 표기가 되어 있습니다. 10불이 넘는 비싼 것을 용감하게 사서 집에 가져와 뜯어보니 양이 꽤 많습니다. 비법 고추장 양념과 깨봉지까지 들어있습니다. 오븐에 구워 동봉된 비법 양념으로 모양을 완성한 다음, 콜라와 한 치킨 했습니다. 맛있습니다. 제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