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GM인 게시물 표시

지프가 아직도 있네요

이미지
지프가 아직도 있네요 짚을 아시나요? 짚신이 아니라 짚(Jeep), 지프차. 516 혁명 당시 박정희 소장이 검은 선글라스 쓰고 짚에서 내리는 사진이 5~60년대 무더기로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의 눈에는 익숙한 그림입니다. 태평양 전쟁에서 망한 일본이 더 이상 산업국으로 일어서지 못하게 농업국으로 만든 것이 미국인데,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가까운 곳에서 군수물자를 조달하기 위하여 농업국으로 만든 일본에 공장을 세워 자동차를 만들고 대포를 만들게 한 것이 미국입니다. 한반도를 두 동강 내놓은 것도 미국이고 일본을 다시 산업국으로 일으킨 것도 미국입니다. 병 주고 약 주고, 이 시쳇말이 세상 가장 잘 맞아들어가는 경우가 미국이 한국과 일본에 한 짓입니다. 일본에서 한국 전쟁에 투입할 지프차를 만든 것은 미쓰비스 중공업이고, 이때 크라이슬러 짚에서 기술이전을 받았습니다. 일본애들이 지엠씨라고 발음하지 못하고 지무시라고 하던 대형 군용 트럭은 토요타가 지엠의 기술을 받아 만들었습니다. 미쓰비의 선생이 크라이슬러고, 토요타의 선생이 GM인 것이 이때 정해진 줄입니다. 2차 대전때 미군이 폼나게 타고 다니던 그 짚이 아직도 만들어지고 팔리고 있습니다. 짚이 북미에서는 나름 매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는데, 특히 여성들이 짚을 좋아하는 경우도 꽤 많습니다. 그런 사람들이 약간 골통기가 있기는 하지만. 2021년형 짚이 제가 일하는 딜러에 중고차로 들어온 것이 있어서 인스팩션을 했습니다. 타업체 중고차 인스팩션은 테크니션에게 반가운 작업이 아닙니다. 자기 딜러차 작업하기가 편합니다. 정비매뉴얼 정보와 TSB 정보도 완벽하게 제공이 되고, 부품 공급도 원활하고, 늘 하던 작업을 반복하는 것이기 때문에 휘파람 작업입니다. 하지만 타업체 중고차는 일단 제공되는 정보망이 없습니다. 전기장치 회로도를 볼 수도 없고, 뭘 고칠게 있으면 순수 경험만으로 고쳐야 합니다. 그리고 타메이커 자동차에 필요한 스페셜 툴이나 스캐너도 없습니다.  새 차는 별로 심하게 작업할 게 없는데 비해 어디에서 언제

Flasher

이미지
Flasher 20년 묵은 고물 쉐비 트레일브레이저가 정비하러 지엠 딜러에 왔습니다. 오른쪽 턴시그널 램프만 작동하고 왼쪽은 앞뒤 모두 턴시그널 램프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 싶어 왔습니다.  이런 전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전기회로도입니다. 전기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전기의 흐름이 어디에선가 문제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파워가 어디에서 시작하여 전기선을 따라 어디로 흐르는지를 먼저 파악하는 것이 진단의 시작입니다. 회로도를 보니 배터리에서 출발한 전기가 시그널 램프로 가기 전에 퓨즈가 있는데, 왼쪽과 오른쪽용이 하나씩 별도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그 퓨즈 전에 플래셔가 있습니다. 램프 전에 있는 퓨즈들은 왼쪽 뒷좌석 밑의 퓨즈 박스에 있습니다. 작동이 되는 오른쪽 턴시그널을 켜고 오른쪽 퓨즈에 테스트 램프를 대보니 깜박깜박 플래슁을 합니다. 플래셔가 퓨즈에 전기를 공급해주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플래셔와 멀티펑션 스위치 두 개를 모두 의심해볼 수 있는데, 비상등 스위치를 켜보니 이때도 역시나 오른쪽만 작동을 합니다. 그렇다면 일단 플래셔가 잘못되었을 확률이 아주 높아집니다. 그러면 이 플래셔는 어디에 있을까요? 어떻게 생긴걸까요? 이 플래셔도 자동차 구석구석 여기저기 박혀있는 컴퓨터 모듈처럼 커넥터를 가진 검은 색 플라스틱 박스입니다. 컴퓨터라고 하기엔 다소 민망한 수준의 모듈입니다. SI(Service Information)을 보면 운전석 무릎 앞의 판넬을 떼어내면 거기에 붙어있다고 하는데, 판넬을 떼어내지 않고도 끄집어 낼 수 있습니다. 플래셔를 새 것으로 교체하니 모든 턴시그널 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을 합니다.  아래 그림 설명: A: 엔진룸 퓨즈블럭. 플래셔에 전원 공급. B: 플래셔. 멀티펑션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턴시그널 램프 전에 있는 퓨즈에 깜박거리는 파워 전달. C: 멀티펑션 스위치. 운전자가 차량 선회방향에 따라 선택하는 핸들에 붙어있는 스위치. 통상 막대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