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고사리인 게시물 표시

고사리 농사 끝, 바베큐 시작

이미지
고사리 농사 끝, 바베큐 시작 고사리를 마지막으로 따러 갔던 것이 벌써 2주전쯤이었던가? 2주 동안이나 고사리밭을 둘러보지 않았다면 올해 고사리 농사는 망쳤다고 보아야 합니다. 오랜만에 우리가 관리하는 고사리 밭 제 1농장(?)을 둘러보았더만 아니나 다를까 비 온 뒤 고사리들이 엄청 커버려서 수확을 할 수가 없는 상태입니다. 다른 농장으로 올라가볼까? 그냥 올해 고사리 농사는 끝내기로 했습니다. 산길에 핀 들꽃들이 작고 겸손한 모습이지만 주님이 그 안에 극강의 아름다움을 심으셨습니다. 아주 작은 들꽃인 파피(Poppy Flower)도 자세히 보면 얼마나 아름다운지 모릅니다. 그 색감은 정말 어메이징합니다. 이건 사람이 아직 만들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말 예쁘지만 이렇게 섬세하고 연약한 것이 빅뱅 폭발 이후에 저절로는 절대로 생겨날 수 없습니다. 아무리 장구한 세월이 주워져도 그런 일은 일어날 수가 없습니다. 인생을 살아보면서 보고 듣고 경험한 것으로 상식적으로 알 수 있는 일입니다. 눈 먼 돈 모이는 대학과 연구소에서 가방끈만 긴 양심없고 상식없는 박사님들이 월급 많이 받아먹으면서 밥값 한답시고 할 일 없는 시간에 억지로 지어낸 거짓말들입니다. 다윈이 세상을 정말 잘못 관찰했는데, 그 이후에 그를 추종하는 과학자들은 오늘날까지도 너무나 더 많은 잘못된 주장을 해오고 억지로 뭔가를 계속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거짓을 덮기 위한 더 큰 거짓말들을 쌓아오고 있습니다. 그런 주장들이 노벨상 받은 박사님들이 하는 주장이고, 멋진 책으로 인쇄되어 도서관마다 쌓여있기 때문에 세상 사람들이 그 내용들이 정말인줄 믿게 만들고 있습니다. 콘플라워(Cornflower)의 꽃망울이 터지기 직전의 모습도 얼마나 극적인지 모릅니다.  그 꽃망울이 터지는 모습이 팝콘 터질 때의 모습과 비슷하여 이름이 콘플라워로 지어졌나 봅니다. 소박한 모습의 블랙베리꽃도 만개를 하고 있습니다. 조금

개울가 추억

이미지
개울가 추억 어릴적 꼬맹이 개구장이 시절이 생각나는 하루입니다. 인간이 원래 낙원에서 놀고 먹게끔 설계된 종이라 노는데는 일가견이 있습니다. 노는 걸 좋아하지 일하는 걸 좋아하는 인간은 없습니다. 빌게이츠나 앨런머스크는 노는 것보다 일하는 걸 좋아할까요? 걔네들도 결국은 거나하게 놀기 위하여 돈을 버는 것은 아닐까요? 아무리 벌어봐야 죽을 때는 한푼도 가져갈 수 없고, 가는 마당에 가진 것이 모두 헛것이기 때문에 사는 동안 퍼질게 놀기 위하여 죽어라 버는 것 아닐까요? 제가 어린 시절에는 TV도 없었고, 게임기도 없었고, 인터넷도 없었고, 스마트폰도 없었습니다. 노는 게 정말 아무 것도 없이 맨몸으로 제대로 노는 게 노는 거였습니다. 놀기 제일 좋은 곳은 역시 뭐니뭐니 해도 개울가입니다. 산골 조그만 개울에서는 돌을 들어올리며 가재를 잡았고, 머루와 산딸기를 따먹었습니다. 그리고 좀 큰 개천으로 나가면 모래무지와 피래미를 잡고 놀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논둑 고랑에서는 미꾸라지와 물방개를 잡아올리고, 벼메뚜기를 잡아 구워먹으며 놀 수 있었습니다. 산등성이에 올라가서는 종달새 둥지를 찾아 날 저무는 줄 모르고 놀았습니다.  그런 유전자가 몸에 베어있어서인지, 나이들어 캐나다에 와서도 수렵채취에 대한 본능이 죽지 않았습니다. 오늘도 늘어지게 자고 밥먹고 배낭 메고 집을 나섰습니다. 멀리 갈 필요도 없이 집앞 개천으로 나가면 뭔가 있습니다.  개울가에 무진장으로 펼쳐져 있는 참나물 밭에 쪼그리고 앉아 우선 참나물을 한 가방 가득 수집했습니다. 다음은 또 고사리, 이게 집 가까이는 없고, 뒷산으로 올라가야 합니다. 산길 트레일을 따라 떨레떨레 다니며 새로운 대형 고사리 밭을 두어군데 새로 발견했습니다. 이건 고사리가 아니라 고사리 나무라고 할 수 있을만큼 굵은 고사리들입니다. 

고사리 그리고 참나물에 미나리까지

이미지
고사리 그리고 참나물에 미나리까지 오늘은 뭐하지? 섬(밴쿠버 아일랜드) 하루 당일치기, 그 다음날 사이프러스 마운틴 고사리 채취, 그리고 오늘은 또 뭐하지? 오늘은 아웃도어 캐피탈, 스쿼미쉬로 가보자!  하늘은 맑고 푸르고 햇볕은 따뜻하고 더 없이 끝내주는 날씨, 굴곡진 해안선을 따라 바다와 물결, 산을 보며 씨투스카이 바다에서 하늘로 드라이빙을 시작했습니다. 정말 이런 곳에 사는 인생 행운이.. 먼저 스쿼미쉬 고사리밭들을 탐사했습니다. 역시나 고사리들이 올라와 있습니다. 어제 웨스트 밴쿠버에서보다 더 많은 고사리를 채취했습니다. 다음은 미나리, 스쿼미쉬 하이랜드 아랫동네 트레일을 따라 흐르는 작은 개울, 그 낮은 물 위로 미나리가 수북히 깔려있는 것이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참나물, 스쿼미쉬 살 때, 트레일 어귀 여기저기에 심어 퍼뜨린 참나물들이 깨끗하고 무성하게 잘 피어올라 있습니다. 참나물을 따고 있는데, 백인 할머니 둘이 지나가며 그게 뭐냐고 묻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해서 먹는 거냐고 레시피를 묻습니다. 설명을 해주니 잘 듣고 나서는 자기네들이 다 따먹을거라 다음에 오면 아무 것도 없을 거라고 개그를 칩니다. 룰루랄라 집에 돌아와 고사리를 삶아 말릴 준비를 하고, 참나물과 미나리로 전을 만들어 먹었습니다. 하루가 또 그렇게 허무하게(?) 무너져 내렸습니다.

해풍 맞은 고사리

이미지
해풍 맞은 고사리 중순으로 가고 있는 사월 초순, 산에 고사리가 올라왔을까? 아직은 아니지 않을까? 올라왔을 것 같은 기대보다는 아직 올라오지 않았겠지라는 생각을 가지고, 별 기대없이 웨스트 밴쿠버의 동네 뒷산에 올라가보았습니다. 올라가기 전에 일단 맥도날드에 들려 빅맥 세트를 테이크 아웃하여 감자칩과 콜라를 즐기며 드라이빙을 시작했습니다.  동네 뒷산에는 몇 해전부터 우리가 키워온(?) 고사리 밭이 있습니다. 한국 사람들이 알면 고사리들이 초토화되었을 터인데, 다행히 우리밖에 아는 사람이 없어 그곳을 초토화시킬 수 있는 사람들은 아직 우리 밖에 없습니다. 아직 올라오지 않았을 것이라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고, 역시나 고사리가 시작되는 지점에 고사리 순이 올라온 것이 보이지 않습니다. 아직은 때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직은 아닌가벼” 그러면서 몇 걸음 더 내딛는 순간 눈에 확들어오는 것이 있습니다. 볕이 잘 드는 포인트에 실한 고사리 순 4개가 올라온 것이 보입니다. 주변을 둘러보니 그것 외에 더는 보이지 않습니다.  그것들을 그냥 놔두고 산책로를 더 걸어가니, “이게 뭐야” 볕이 잘 드는 능선에 고사리가 많이 올라와 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고사리 사냥 개시! 올해는 4월초부터 우리의 고사리 채취가 시작이 되었습니다. 이곳 고사리는 메뚜기 한 철이 아니고, 초여름까지 장기간 계속 죽 이어지는 마법같은 장소입니다. 맥도널드 콜라컵에 실한 고사리순들이 채워졌습니다. 산 아래 다른 산책로를 점검하니 거기에도 꽤 많이 고사리가 올라와 있습니다. 보이는대로 싹쓸이를 했습니다. 맥도날드 빅맥 세트 봉지에 가득 채웠습니다. 집에 돌아와서 고사리들을 삶고, 삶은 고사리를 채망에 펼쳐 말릴 준비를 했습니다. 다행히 다음 날도 햇볕이 좋아 고사리 말리기에 대박인 날씨입니다. 기분 좋은 햇볕과 시원한 해풍을 맞으며 고사리가 잘 마르고 있습니다. 잠깐 딴 고사리가 해장국 십인분 이상은 족히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