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와 노래가 간증과 찬양이 되어
스토리와 노래가 간증과 찬양이 되어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참 좋은 세상입니다. 온 세상이 온 우주가 진화론의 천정과 구름에 덮여 영적으로 어두운 세상인데도 불구하고 유튜브를 통해 참 좋은 찬양들을 듣고 볼 수 있으니 말입니다. 유튜브만으로 보다가 최근에 유튜브 뮤직을 열어 보기 시작했는데, 음악을 즐기기에는 이게 참 좋습니다. 유튜브는 세상의 온갖 잡동사니가 뒤섞여 있는데 반해 유튜브 뮤직은 음악만 있기 때문에 음악 속으로만 온전히 빠져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집에서 작업하면서 유튜브 뮤직을 듣다가 마음에 드는 음악이 있으면 플레이 리스트에 저장을 해놓습니다. 찬양과 유행가 디렉토리를 구분하고 찬양도 외국 찬양과 국산 찬양을 구분해놓으면 나중에 찾아 듣기가 용이합니다. 그리고 스마트폰에도 운전 중에 듣고 싶은 음악을 다운로드 해놓으면 운전 중에 들을 수 있습니다.
오늘 퇴근하면서 다운로드된 음악을 듣는데, 셀틱 워십(Celtic Worship)이 부르는 찬양이 처음 곡으로 나옵니다. 이 사람들이 아일랜드 사람들 같은데, 찬양이라고 해도 아일랜드 풍의 음악적 향기가 사운드에 풀풀 묻어 있고, 찬양을 팝 스타일로 리듬감있게 그루브 있게 편곡하여 그 리듬에 몸이 절로 흔들흘들하고 교회에서 체면 때문에 두 손 들고 찬양하지 못해도 혼자 있는 차 안에서는 몸, 어깨, 목, 머리를 본능적으로 나오는 대로 마음껏 그루브를 타며 흔들거리게 놔둡니다. 통제불능 상태, 마음껏 흔들어 대며 퇴근합니다.
그런데 이 서양친구들 찬양을 들으면서 한국 사람들의 영성이 보통이 아니구나란 생각이 들었고 그에 대해 감탄을 금할 수가 없었습니다. 영어 찬양을 들으면서 한국 사람의 영성에 감탄을 해? 이 아일랜드 사람들이 부른 찬양은 한글 새찬송가 288장(통204) “예수로 나의 구주 삼고”입니다. 교회에 갈 때 성경책 들고 가는 게 아니라 주머니에 스마트폰 넣고 갑니다. 성경책은 책상 밑에 가만히 잘 놔두었습니다. 제 성경책 안의 찬송가에서 204장에 나오는 찬양입니다. 요즘 찬송가를 새찬송가라고 하고, 어르신들이 들고 다니는 성경책의 찬송가를 “헌”(새 것의 반대말)이라고 하지 않고 “통”이라고 부릅니다. 통일도 되지 않았는데, “통일 찬송가”라고 부릅니다.
그 찬송가 안에 있는 한글 가사는 “스토리”를 “간증”이라고 번역을 했고, 송(song)을 “찬양”으로 번역했습니다. 정말 영어 찬송은 유행가 같은 가사이고, 한글 찬송은 찬송가 같은 가사입니다. 가사만 놓고 보면 그렇습니다. 정말 무릎을 칠 일입니다. 믿는 사람의 입에서 나오는 소리는 세상의 소리가 아니고 살아계신 주님을 바라보며 거룩하게 살기 위해 몸부림 치며 사는 믿는 사람의 삶의 간증이고, 그 삶 속에서 주님이 주시는 은혜에 감사하면 발하는 소리는 그냥 노래가 아니고 주님을 향한 애절하고 절박하고, 절실하고, 그러면서도 감사가 넘치는 찬양의 소리, 목소리가 아닐까요? 그거여야 되는 것 아니냐고요?
유튜브에서 보면, 한국 사람들이 부른 찬양은 정말 절실한 뭔가 있습니다. 외국 찬양 영상을 보면 고난없이 그냥 잘 먹고 잘 살아서 그런지 애절한 감정은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한국의 대형 교회 찬양 영상도 그와 좀 비슷합니다. 그런데 외국 찬양인데 감정이 실린 영상을 하나 보았습니다. 좋았습니다.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든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보실 경우,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글이 열립니다.
https://vancouver-story.blogspot.com
https://www.youtube.com/@vancouver-story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