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토이

빅 토이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미캐닉에게 3대 빅 토이(big toy)가 있습니다. 해머, 프라이바, 토크렌치를 일컫는 말입니다. 정비 작업을 하는 미캐닉들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장비고, 매일 손에 붙이고 쓰는 기본 공구입니다. 어제가 Remembrance Day 휴일이고 오늘이 그 휴일 다음 날인 수요일인데, 지엠 딜러 정비샵에 정비하러 온 차들이 밀려 주차장이 꽉 찼습니다. 뭔 일이래? 옆에서 이란에서 온 친구가 트럭 엔진룸에 머리를 박고 열심히 일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그 옆 빈 베이에 공구통 하나가 딜리버리(delivery) 되어 있는 것이 보입니다. 어프렌티스(apprentice)가 공구통을 새로 하나 마련한 것입니다. 그거 얼마에 샀냐고 하니, 할인되는 물건을 세금 내지 않고 싸게 샀다고 합니다. 우와 제법 많이 절약했겠는데! 그런데 어떻게 세금을 내지 않았지? GST, PST 모두 안낸 거야? 모두 내지 않았다고 합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었느냐고 물어보니, 서비스 어드바이저인 로라를 데리고 갔다고 합니다. 로라는 원주민이어서 원주민 카드를 가지고 있는데, 그 카드에 있는 원주민 번호를 입력하면 물건 살 때 세금을 내지 않는다고 합니다. 모든 곳에서 다 그런 것은 아니고, 웨스트 밴쿠버에 있는 파크로얄 쇼핑몰 센터 땅이 모두 원주민 땅이라 그곳에서 원주민이 쇼핑을 하면 세금을 면제해준다고 합니다. 그럼 원주민 카드는 로라 것이고, 결재는 네 카드로 하는데도 그게 되냐고 하니, 가게에서 그런 것 별로 개의치 않는다고 합니다. 그렇게 해서 그곳 홈디파에서 주문을 했고, 배달이 되어 온 것이라고 합니다.

오늘 트럭 브레이크 작업을 두 건 했는데, 두 대 모두 브레이크 로터도 교체를 했습니다. 로터가 허브에 조그만 스크류로 고정이 되어 있는데, 그게 잘 풀리지 않습니다. 그러면 펀치로 스크류에 조그만 구멍을 내어 쳐서 돌려서 빼내야 하는데, 이거 살살 쳐서는 꿈쩍도 하지 않아 매우 잔인하게(?) 잘 두드려야 합니다. 그 조그만 정의 끝이 망치로 하도 두들겨 맞아 우산 모양으로 벌어진 모습입니다. 절간 처마밑 돌이 낙숫물에 깍여 구멍이 난다고 하는데, 미캐닉의 이 쇠붙이는 해머로 두들겨 맞아 펴지고 있습니다. 


이 조그만 정을 두드릴 때는 3파운드 해머를 씁니다. 3파운드 무게는 한 손으로 마음대로 휘두를 수 있을 정도의 무게입니다. 로터의 스크류는 3파운드 해머로 해결이 되지만 3파운드 해머로 해결이 되지 않는 다른 작업의 경우, 5파운드 해머를 동원합니다. 


그럼 5파운드 해머 하나로 쓰지 왜 쓸데없이 해머 두 개를 사서 돈을 낭비하느냐? 그런 게 아닙니다. 5파운드 해머는 한 손으로 움직일 수 최대 무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 손으로도 뭘 칠 수 있지만, 손목에 무리가 느껴지는 무게여서 마음대로 조종하기가 버겁습니다. 그래서 통상 두 손을 씁니다. 그런 이유 때문에 한 손으로 자유롭게 늘 쓸 수 있는 3파운드 해머가 있어야 하고, 더 큰 힘으로 패야 할 때, 두 손을 쓰는 5파운드 해머가 따로 또 하나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3파운드 해머로 세게 치면 될 것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게 해서는 괜스리 힘만 들고 정확도도 떨어져서 다른 곳을 쳐서 차를 망가뜨릴 수도 있습니다. 세게 치는 것보다 정확하게 치는 것이 더 중요하여 망치에 붙이는 속도가 정확도 위주로 휘둘러져야 하기 때문에 속도에 의한 충격보다 해머 헤드의 무게에 의한 충격을 더해 주어야 합니다. 3파운드 해머를 휘두르다 5파운드로 바꾸면 어마어마한 에너지의 변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3파운드 해머로 열번 쳐도 꿈쩍 않던 것이 5파운드 해머 한 방에 떨어져 나가는 것을 자주 경험합니다. 저의 해머에 대한 이런 노하우가 전해져 주변의 젊은 미캐닉들이 모두 3파운드와 5파운드 두 개의 해머를 마련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망치에도 노하우?

이런 피지컬적인 툴도 중요하고 요즘은 전기전자통신 시대라 그에 걸맞는 툴들도 필요합니다. 전기문제를 진단하기 위하여 다양한 선과 클립들이 공구통 안에 잔뜩 어지럽게 들어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근래 가장 잘 마련한 것은 동글(dongle) 타입의 스캐너입니다. 그걸 차에 꽂고 스마트폰 화면으로 차의 컴퓨터(콘트롤 모듈)가 가진 데이터를 보며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스캐너는 차의 액츄에이터를 작동 시킬 수 있는 기능까지 가지고 있습니다. 트럭의 뒤쪽 브레이크 작업을 하면서  일렉트릭 파킹 브레이크의 모터를 뒤로 물릴 수 있습니다. 


애들이고 어른이고 할 것 없이, 장난감 없고, 놀이 없으면 놀 수 없고, 살 수 없고, 인생이 의미가 없는 것처럼, 미캐닉은 툴이 없으면 일을 할 수가 없습니다. 정치는 입만 가지고 할 수 있는 일인데, 미캐닉은 잔인한(?) 흉기들 같은 장난감을 수억원 어치 가지고 있지 못하면 일을 제대로 할 수가 없습니다.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든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보실 경우,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글이 열립니다.

https://vancouver-story.blogspot.com 

https://www.youtube.com/@vancouver-story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예람 워십

독스에 한자 넣기

Into the S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