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사다마
호사다마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호사다마(好事多魔), 인생은 늘 좋은 일만 있는 것도 아니고 늘 나쁜 일만 있는 것도 아닙니다. 좋은 일만 계속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호사다마란 말을 만들어 낸 모양입니다. 여담이지만 “호”자가 재미있습니다. 여자(女)와 남자(子)가 붙어있으면 좋다(好)라는 생각으로 좋을 “호”자를 만든 것은 천재이고, 인생을 꿰뚫어본 위트가 느껴집니다. 그리고 마귀 “마”자도 재미있습니다. 두 그루의 나무 밑에 마귀가 있는 형상을 하고 있습니다. 나무 두 그루는 성경에 나오는 생명 나무와 선악과 나무입니다. 마귀가 이브에게 두 나무를 가리키며 하나님이 먹지 말라고 한 것을 먹어도 괜찮다고 유혹하는 장면을 떠오르게 합니다. 한자는 중국인들이 만든 것이 아니고 동의족 즉 한국인이 만든 것입니다. 한국 사람이 한자도 만들고 한글도 만들었습니다. 비록 현대에 들어 영어 장애인이라고 욕먹고 있는 한국인이지만, 원래 천부적인 언어 천재 민족입니다. 영어, 혀구부리지 말고, 그냥 콩그리쉬로 말해도 됩니다. 국제 공용어라고 하면서 알아듣지 못하는 놈이 병신이지 제대로(?) 말하는 사람이 바보가 아닙니다. 영어는 자부심을 가지고 말하면 되는 존칭도 모르는 싸가지 없는 언어입니다. 그래서 트럼프가 그렇게 싸가지가 없는 것입니다.
각설하고, 왜 느닷없이 호사다마냐? 요즘 건반 치면서 음악 가지고 노는 재미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있는 가운데 난감한 일 하나를 겪고 있습니다. 유튜브를 보는 도중에 사운드가 끊기는 문제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영상은 그대로 흘러가는데, 소리만 갑자기 먹통이 됩니다. DAW로 작업을 하거나 건반으로 음악을 연주할 때도 사운드가 갑자기 중간에 끊기는 일이 생깁니다. 이게 몇 분만에 그러기도 하고, 십 몇분 만에 그러기도 하고, 좌우지간 하루에도 여러 번 수시로 그러고 있습니다. 그게 정확하게 언제부터인지 감이 잘 잡히지 않는데,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노트북에 연결하고 나서, 그 언제부터 입니다.
그래서 알아보니, 포커스라이트 스칼렛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이런 사운드 충돌이나, 노이즈, 끊어짐 문제가 흔히 나타난다고 합니다. 아마존에서 제일 잘 나가고 있고, 호평 일색인 제품인데 그렇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가격도 싼 편은 아닙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 회사 포커스라이트(Focusrite)에 문의 하였더니, 며칠 뒤 이메일 답변이 왔습니다. 이메일로 알려준대로 열가지 정도의 윈도우 세팅들을 맞추었는데도 달라지는 것이 없어서 현상을 진단하는 앱을 깔아 데이터를 수집한 다음, 노트북 하드웨어 정보와 함께 오디오 인터페이스 회사 측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보내 주었습니다.
그런데 이 놈(?)들을 믿을 일은 아닙니다. 미국이나 한국에서 사람들이 아무리 급발진 사고를 신고해도 업체가 나서서 이를 인정하고 규명해준 적은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다시 돌아올 답변이 뻔히 예상되는 것이 세팅과 드라이버를 다시 체크하고 인스톨을 다시시 해봐라 뭐 이런 답변이 올 것이 뻔히 예상이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지 1년 반 밖에 되지 않은 13세대 인텔 i7 CPU가 탑재된 이 노트북은 혐의(?)가 정말 전혀 없을까 싶은 의심이 들기도 합니다. 정말 그렇다면 정말 대책이 없는 일입니다. 그런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하나 있는데, 그건 다른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해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스타인버그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연결해보았습니다. 기존에 연결된 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하여 오디오 인터페이스 몸체만 달랑 바꿔 연결해보았습니다. 그렇게 이틀을 돌려보았는데, 스타인버그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는 사운드가 꺼지는 문제가 단 한번도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노트북 문제도 아니고, 연결된 선들이나 잭들 문제도 아니고, 포커스라이트 오디오 인터페이스 자체의 하드웨어적인 문제이거나 포커스라이트의 아시오(ASIO) 드라이버 문제인 것이 증명이 된 셈입니다. 그 사실을 이메일로 포커스라이트 쪽에 알려주었습니다. 어떤 답변이 올지 궁금해집니다.
Focusrite vs Steinberg
포커스라이트는 영국에 본사가 있고, 스타인버그는 독일 업체입니다. 독일은 아담이라는 걸출한 스피커 회사를 가지고 있고, 유럽에서 뻔데기 주름잡고 있는 큐베이스라는 DAW도 독일이 만든 것입니다. 미국에서는 에이블톤(Ableton)이라는 DAW가 압도적이지만, 유럽에서는 큐베이스가 DAW 시장을 압도하고 있습니다. 유럽쪽에서는 국민 DAW라는 소리를 듣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롤스로이스 vs 포르쉐
한국에서는 포르쉐가 대단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북미에서 마찬가지입니다. 독일차, 특히 포르쉐를 무지하게 좋아들 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보면 똥차입니다. 롤스로이스, 영국이 만들었지만, 망한 뒤 주인이 더 이상 영국이 아닌 영국의 고급차 브랜드입니다. 롤스로이스와 포르쉐, 현재 승자는 포르쉐입니다. 웨스트밴쿠버에서도 간혹 롤스로이스를 볼 수 있지만, 그 비싼 가격에 비하여 못 생겼습니다.
망한 차지만, 아마도 가격은 롤스로이스가 포르쉐보다도 훨씬 비쌀 겁니다. 포르쉐가 돈 벌이를 위해서 고가 고급 정책보다는 포르쉐의 대중화에 힘쓰면서 가격은 롤스로이스만큼 올리지 못했을 겁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가 가지고 있는 포커스라이트의 스칼렛 2i2의 가격이 스타인버그 IXO22 가격의 두 배 정도됩니다. 하지만 투인풋 투아웃풋에 기능은 동일합니다. 자동차 산업에서 독일이 승자이고, 오디오 인터페이스에서도 독일의 승리입니다. 더 싸면서 말도 되지 않는 이런 문제는 없습니다. 디자인도 흰색으로 빨간색보다 더 우아하고 멋있습니니다. 그리고 스타인버그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구입하면 독일의 국민 DAW인 큐베이스를 덤으로 줍니다. 독일의 압승입니다.
한국 전쟁으로 완전히 초토화되고 무너지고, 희망이라고는 티끌만큼도 없었던 대한민국이 친일파의 나라 망하게 하는 방해 공작 속에서도 일어나서 반도체 강국이 되고, K-Pop의 신화를 만들어 내고야 말았는데, 이제는 음악 시장에서 세계적인 DAW도 하나 만들어 낼 수 있을까요? 기대하면서 두고 볼 일입니다.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든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보실 경우,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글이 열립니다.
https://vancouver-story.blogspot.com
https://www.youtube.com/@vancouver-story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