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잎새

이미지
마지막 잎새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집에서 뭉개며 꽤 진하게 음악 작업을 하다가 밥 먹고 동네 뒷산 위에 있는 하늘 나라 마을에 올라갔습니다. 산 위에 지은 집들은 큰 저택들이고 비쌉니다. 매우 비쌉니다. 팔려고 내놓은 집들도 더러 보입니다. 집 내놓은 부동산 사인을 보면 리얼터(realtor: 복덕방)들이 거의 다 중국인 리얼터들입니다. 상당히 많은 저택들이 중국인들 소유입니다. 중국에서 돈다발 들고 캐나다로 들어온 사람들이 캐나다 집값을 엄청 올려놓았습니다. 집 한 채가 아니라 여러 개 가진 중국인들이 많습니다. 그곳에 코비드 열매를 맺는 나무가 있어서 그것도 확인할 겸 올라 갔는데, 이미 열매들이 다 떨어지고 열매가 남아 있는 것이 없어 어느 나무가 코비드 나무였는지 기억이 나지도 않아 코비드 나무 보는 것은 보기 좋게 실패했습니다. 코비드 열매라고 이름을 붙인 것은 제가 그냥 붙인 것입니다. 원래 이름은 코비드 나무가 아닙니다. 코비드가 한창 극성을 부릴 때, 그 나무가 맺는 열매의 모양이 코비드 균의 모습과 너무나 닯아 그렇게 나름 이름을 붙였던 것입니다. 코비드 열매는 보지 못했지만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는 풍경은 많이 담을 수 있었습니다. 11월 초가 지나고 중순으로 접어드니, 나뭇가지에 달린 세월의 기록들이 하릴없이 우수수 떨어지고 있습니다. 사람이 쓰다 버린 물건은 쓰레기고 보기 흉하고 냄새 나고 역겹지만, 주님이 만드신 것은 쓰레기가 없습니다. 바닥에 떨어진 낙엽이 사람들에게 역겨움을 주는 일은 없습니다. 바닥에 떨어진 낙엽조차 그냥 아름다움입니다.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든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보실 ...

천불이 나네

이미지
천불이 나네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천불(天火)이 나네” 지난 여름, 유럽도 미국도 캐나다도 산불 때문에 참으로 많은 사람들이 고생을 겪고 재난을 당했습니다. 정말 천불에 당했고, 당한 사람은 천불이 날 일입니다. 이제 북반구는 겨울을 맞이하고 있고, 남반구는 여름으로 들어가고 있습니다. 남미와 아프리카, 호주 등으로 산불이 옮겨 갈까요? 수많은 재난과 트럼프발 관세 때문에 미국의 물가가 오르고 세계 모든 나라가 그 여파 때문에 시름을 앓고 있는데, 얼마 남지 않은 올해의 시간들이 모쪼록 잘 마무리되길 바랍니다. 아침에 음악으로 이것저것 하다가 일렉트릭 우쿨렐레에 관심이 있어 유튜브에서 일렉트릭 우쿨렐레 연주를 몇 개 보았습니다. 동영상을 보다보니 베짱이 건달들이 정말 많습니다. 평생 음악을 얼마나 많이 가지고 놀았으면 악기를 저렇게 자유자재로 가지고 놀 수 있는지 참 기가 찰 노릇입니다. 일렉트릭 우쿨렐레 연주 동영상을 보다 보면 우쿨렐레 소리만 나오는 것이 아니라 드럼 사운드가 배경에 깔립니다. 처음에는 그것이 누군가 드럼을 연주해주고 있는 것으로 알았는데,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럼 드림 MR을 깐 것인가 생각했는데 그것도 아닌 듯합니다. 그러면 뭐? 아마도 기타 연주용 멀티 이펙터를 사용하고 있을 확률이 거의 백프로 인 것 같습니다. 멀티 이펙터? 그게 뭔데? 일렉트릭 기타 연주하는 사람들은 악기 소리에 여러가지 효과를 넣기 위하여 기타용 페달 보드를 많이 사용하는데, 페달 보드를 입맛대로 고르고 구입하다 보면 수억이 소모되는 모양입니다. 그런데 일렉트릭 기타에 입문하는 초보들은 처음에는 그냥 멀티 이펙터를 하나 구입하여 사용하면 개꿀인 모양입니다.  이 일렉 기타...

아메리칸 드림

이미지
아메리칸 드림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아메리칸 드림이 무너져 내리고 있습니다. 아니, 이미 그냥 완전히 무너져 내렸습니다. 이제는 미국이 가고 싶은 나라가 아니고, 가보고 싶지 않은 나라가 되어 버렸습니다. 멕시코를 비롯한 중남미 나라들이야 그래도 자기 나라보다는 미국이 나으니까 기를 쓰고 미국으로 들어가려고 하겠지만, 미국 땅이 뻔히 보이는 캐나다 밴쿠버에 살고 있는 저는 미국 국경을 넘고 싶은 생각이 전혀 1도 들지 않습니다.  미국이 전혀 매력이 없어진 나라냐? 그건 또 아닙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미국 땅이 드림이라고까지 할 나라는 아닙니다. 미국보다 지금 살고 있는 밴쿠버가 가진 장점이 훨씬 크고 좋은 점이 많기 때문에 미국이 제게 드림이 될 수 있는 나라는 아닙니다. 하지만 미국 자체가 매력이 전혀 없는 땅은 아닙니다. 미국이 제게 드림은 아니지만 뭐 혐오감 없이, 불편없이 미국 국경을 번거롭지 않고 자유스럽게 드나들 수 있다면, 가보고 싶은 곳이 여러 군데 있습니다. 그랜드캐년은 몇 번 가보았지만 다시 한 번 더 가보고 싶고, 그 외에 브라이스 캐년이라든지 아직 구경할 곳이 많이 있고, 저는 신차 테스트 때문에 여러번 들린 곳이지만, 아내가 한번도 가보지 못한 데스밸리도 뜨거운 여름에 한번 여행해 보고 싶은 생각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에 들어가기 싫은 것은 트럼프 같은 놈 때문에 덩달아 무례해진 미 국경수비대가 남의 스마트폰까지 들여다보며 압수까지 하는 말도 되지 않는 행패를 당할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예전 같으면 국경 가까운 곳에 있는 아웃렛 매장에도 가볼 수 있지만 이제는 미국 물건도 싸지 않기 때문에 미국 쇼핑은 매력있는 관광상품이 더 이상 아닙니다. 트럼프 ...

뮤직 블루스

이미지
뮤직 블루스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블루투스 무선 헤드폰에 지르고, 이어버드에 지르고 한 것이 일년 여 전인데, 그 때만 해도 그냥 음악 듣는 것이 좋아서 그렇지 음악을 할 것이라는 생각은 전혀 없었습니다. 음악을 듣는 것도 음악을 하는 것인가? 그렇다면 뭐, 모든 사람들이 애기 때부터 음악을 하는 것입니다.  음악은 사람의 영혼을 흔드는 마력(매력인가?)이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이 기본적으로 음악을 하는 것은 맞는 이야기입니다. 하다 못해 논밭에서 잡초 뽑는 시골 할머니까지도 하다못해 타령을 한 가락 뽑든지, 뽕짝을 한 소절 뽑든지, 음악을 하지 못하는 사람은 대한민국에 한 명도 없습니다. 심지어는 석열이도 감옥에 바지 벗고 누워 건희 생각하면서 기분 좋아 흥얼거리고 있을 지도 모를 일입니다. 기분 좋아 흥얼거리면 그것도 음악입니다. 연놈들! 트럼프는, 그 놈도 정치 집회 있으면 YMCA 틀어놓고 트위스트를 춥니다. 그 놈도! Son of Dog! 그렇게 이어버드를 지른지 일년 여가 지난 지금, 제가 음악을 넘어 뮤직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여름에 키보드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덜컥 사놓고 음악을 한답시고 껄떡거린지 5개월이 지나고 있습니다. “후회되?” “아니오, 정말 잘 한 짓이었습니다.” 그렇게 무턱대고 저질러 보았더니 생긴 변화는, 무려 DAW를 가지고 놀고 있습니다. 무려 키보드로 음악을 연주하고 비트를 만들고 있습니다. 무려 가상악기가 뭔지, 플러그인이 무엇인지를 알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무려 모니터 헤드폰과 스피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년 전에 산 헤드폰 소리의 매력에 푹 빠진 기억이 있는데, 음악하는 사람들이 사용한다는 모니터 헤드폰으로 소리를 들어보니 일년 전에 들었던 헤드...

이어버드가 고장나면

이미지
이어버드가 고장나면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이제 연말입니다. 블랙프라이데이, 박싱데이 등이 있어 사람들의 마음에 불을 지르는 시기입니다. 그 옛날 사람들이 도끼나 창 들고 미친듯이 짐승을 쫓아 숲과 들을 헤매이던 것 대신, 요즘 사람들은 종이 조각이나 플라스틱 조각 들고선 눈에 불을 켜고 미친듯이 쓰레기 사냥에 나섭니다.  작년에 제가 손가락(키보드 온라인 주문)으로 사냥한 것은 이어버드들입니다. 앞서 베스트바이에서 사운드코어의 헤드폰을 하나 구입했는데, 그 소리에 반한 기억이 있습니다. 그러다 사람들이 애 어른 할 것 없이 죄다 귀에다 뭘 꼽고 다니는 것을 보고는 저도 한번 이어버드를 질러 보았는데, 그렇게 시작한 이어버드가 지금은 제가 쓰는 것, 아내가 쓰는 것 해서 여러 개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아내가 쓰던 이어버드 하나가 문제가 생겼습니다. 한 쪽 이어버드가 작동을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사운드코어의 C30i라는 제품인데, 그걸 귓볼에 끼면 마치 하얀 진주 귀걸이를 한 것같이 예쁩니다. 소리도 좋고, 귀를 막는 것도 아니어서 아내가 늘 즐겨 사용하고 심지어는 그걸 끼고 음악을 들으면서 잠들 수도 있습니다. 아끼는 물건이 하나 망가지면 그런 소소한 것에도 사람 마음이 살짝 멘붕이 오고 난감해집니다. 어쩔꺼나? 이게 AS가 될까? 처음 겪는 일이니 한번 시도나 해보자 하는 마음으로 사운드코어 웹사이트가 있나 찾아보고 그게 있어서 클레임을 걸어 보았습니다. 그랬더니, 그걸 구매한 인보이스가 필요하고 제품의 시리얼 넘버 그리고 문제의 증상이 무엇인지를 알려달라는 이메일 답변이 왔습니다. 아마존을 뒤져 그 물건에 대한 인보이스를 PDF파일로 다운 받고, 제품 시리얼 넘버...

앵무새 언덕

이미지
앵무새 언덕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어느 다큐멘터리에서 본 걸로 기억합니다. 중남미에 앵무새가 대규모로 서식하는 밀림의 풍경이었습니다. 그 귀한(?) 앵무새가 정말 저리도 많이 떼지어 살다니, 그 화면을 보면서 경이롭게 생각한 기억이 있습니다.  그런데 앵무새가 사는 지역은 갖가지 동식물이 풍부하게 많이 서식한다고 합니다. 그게 뭐 앵무새 하나 때문에겠는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앵무새가 꽤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앵무새가 먹이를 먹을 때, 대충 먹고는 나머지를 그냥 버린다고 합니다. 그 덕분에 앵무새가 머물다간 나무 밑에는 먹을 것이 늘 있어 숲속의 작은 동물들에게 좋은 먹이가 되고, 그 동물들이 싸고 간 배설물이 숲을 울창하게 만들고, 숲이 또 열매를 생산하면 그걸 또 앵무새가 물고 가서 퍼뜨리고, 그렇게 연쇄적으로 좋은 일이 반복되어 숲이 풍성하게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인간은 앵무새와는 완전 딴판입니다. 한번 물고간 돈을 절대로 그냥 내놓는 법이 없습니다. 부자들이 돈을 질질 흘리며 재분배하는 일은 유사 이래 없습니다. 재분배는 커녕 그냥 벼룩이 간까지 쪽쪽 빼어먹고 빨아먹는 것이 부자들의 악마와 같은 습성이고, 돈이 만든 돈의 습성입니다. 그런 인간의 악한 본능이 금전 만능주의 자본주의 사회를 만들었고, 극심한 빈부의 격차를 만들었습니다. 미국에서는 연봉이 4만불이면 빈곤층이라고 합니다. 아니, 한푼도 못 벌고 지금 당장 먹을 것이 없어야 극빈층이지, 4만불이나 버는 사람이 빈민이라고? 4만불이면 한 달에 3천불 이상 버는 것 아닌가? 그런데 미국은 돈이 엄청 많은 나라고 워낙 부자이기 때문에 4만불 소득이면 그냥 빈민이라고 한답니다....

나의 도움 어디서 오나

이미지
나의 도움 어디서 오나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요즘 나오는 자동차에 반도체 칩이 하나라도 들어가 있는 부품을 따지자면 백 개도 넘을 것입니다. 하지만 스캐너로 컨트롤 모듈을 스캐닝하면 대충 스무 여개 정도의 컴퓨터 모듈과 연결을 하여 정비에 필요한 데이터를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차의 안전, 시큐리티, 운전자 편의, 엔터테인먼트 보조 장치들이 추가되면 컨트롤 모듈의 수는 더 증가할 것입니다. 주행거리도 얼마되지 않은 2025년형 쉐비(Chevrolet) 트래버스(Traverse)에 문제가 있어 지엠 딜러샵을 찾아왔습니다. 아침에 시동을 걸면 메시지가 뜨고, 네비를 이용하려고 해도 스크린에 워닝(warning) 메시지가 뜨는 문제를 달고 왔습니다. 스캐너로 코드를 찍어 보니 커런트(current) 코드로 다음과 같은 코드가 떴습니다. Park Assist Control Module U3000 92 Control Module Performance 이걸 보고 이 모듈에 문제가 있다고 바로 이 모듈을 뜯어내 보려면 운전석과 조수석 가운데 앞쪽 대시보드 밑쪽에 모듈이 있기 때문에 대공사가 펼쳐져야 합니다.  코드가 이 코드 만이 아니라 가만 보니 히스토리(history) 코드로, 관련된 코드가 하나 더 보입니다. Side Obstacle Detection Control Modul-Left U3000 49 Control Module Internal Malfunction 왼쪽 사이드 장애물 감지 센서는 뒤쪽 범퍼 왼쪽에 범퍼 안쪽으로 부착이 되어 있습니다. 히스토리 코드지만, 이 모듈 내부에 장애가 있다는 메시지가 고맙게도 남아 있습니다.  U코드는 모듈간의 통신(커뮤니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