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디사이저(Synthesizer)

신디사이저(Synthesizer)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음악, 노래 좋아하지 않는 사람 없고, 나름 노래방 18번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없지만, 음악에 좀 더 발을 들여놓지 않은 일반인들은 미디가 뭔지 신디사이저가 뭔지 잘 모를 겁니다 

신디사이저는 컴퓨터가 나오기 전에 시작된 전자악기로 알면 됩니다. 피아노 건반 같은 것이 있는데, 건반만 있는 것이 아니라 건반 위쪽에 뭔 스위치 같은 것이 많이 달려있는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 신디사이저입니다. 전통적인 피아노는 건반을 두드리면 피아노 안쪽에 있는 해머가 현을 때려서 소리를 내는 것인데, 신디사이저 내부에는 피아노 줄이나 망치같은 그런 하드웨어가 있는 것이 아니라, 반도체 칩 안에 음원을 내장하여 키보드를 두드리면 그 음원이 스피커를 통해서 소리를 토해내는 원리입니다. 키보드 위에 있는 각종 스위치는 음원의 종류를 선택하고 소리들을 요상하게 변형시키는 그런 기능들을 수행합니다.

지금도 그런 신디사이저 악기들이 나오고 있지만, 지금은 컴퓨터가 대중화되어 신디사이저에 내장되어 있던 음원을 컴퓨터로 옮기고, 컴퓨터에 미디키보드를 연결하여 음악을 연주하고 만드는 구조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음원을 내장하고 있지 않은 미디 키보드도 신디사이저처럼 키보드 위에 여러가지 스위치들이 있는데, 그걸 가지고 하드웨어적으로 소리를 컨트롤 할 수도 있고, 컴퓨터 화면을 통하여 컨트롤 할 수도 있게 되었습니다.

스마트폰으로 페이스북을 보면 광고들이 많이 뜹니다. 페이스북이 그걸로 돈을 어마무시하게 벌고 있지요. 그런데 흥미를 끄는 광고가 하나 있었습니다. 전자악기로 명성이 있는 롤랜드에서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를 광고하고 있는 것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원래 롤랜드 SH-101은 하드웨어 신디사이저였습니다. 실제로 손에 만져지고 건반을 손으로 칠 수 있고,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그런 실물 신디사이저였다는 말입니다. 그것이 나온 것이 1982년이었으니, 아직 윈도는 물론이고 도스 PC도 나오기 전의 일입니다. 그러니 실물 신디사이저가 먼저 세상에 나오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그런데 페이스북에서 광고하고 있는 것은 하드웨어 신디사이저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입니다. 손으로 만져지는 하드웨어 신디사이저가 아니라 컴퓨터 화면에 올려놓고 쓰는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를 49불에 사라고 광고를 하는 것입니다. 그 옛날 하드웨어 신디사이저 SH-101이 처음 출시되었을 때의 가격은 495불입니다. 1982년의 미화로 그 정도의 가격이었으면 요즘 가격으로 치면 1500달러 정도입니다. 1982년에 나와 1986년까지 생산되고 단종이 되었고, 그 옛날 빈티지 신디사이저를 요즘 중고로 사려면 천불에서 3천불 사이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 컴푸터 음악이 대세를 이루는 세상에 소프트웨어 버전으로 내놓으면서 49불을 받고 있습니다. 정말 격세지감입니다.




그런데 이걸 또 49불 주고 살 필요가 있을까?





버클리 음대에서 온라인 강의를 할 때, 추천하는 DAW는 에이블톤이고, 추천하는 신디사이저는 VK-1 Viking이라는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입니다. 이게 무료입니다. 그러니 굳이 롤랜드 것을 또 돈주고 산다고? 라는 의문이 생길 수 있는 일입니다.

아래 동영상은 제 노트북에서 바이킹 신디사이저로 소리를 내본 영상입니다. 



신디사이저 소리들이 제 취향은 전혀 아닙니다. 아래 그림은 큐베이스라는 DAW에서 오케스트라라는 가상악기로 소리를 내본 것입니다. 이게 사운드 오브 뮤직이고, 음악이지!



오늘 그렇게 신디사이저가 뭔지 간단하게 알아 보았습니다.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든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보실 경우,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글이 열립니다.

https://vancouver-story.blogspot.com 

https://www.youtube.com/@vancouver-story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예람 워십

독스에 한자 넣기

Into the S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