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츠의 꿈

벤츠의 꿈

독일의 국민차라고 할 수 있는 독일 브랜드 자동차가 무엇입니까? 폭스바겐? 아마 그게 보편화된 생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런데 저는 독일에 직접 한 번 가보고는 독일의 국민차가 폭스바겐이 아닌 걸 알았습니다.

그게 언제였던가? 대충 한 30년 전쯤이 아닐까 싶습니다. 독일에 출장을 갔습니다. 공항에 내렸고, 기차를 탔고, 기차에서 내려 기차역 앞으로 나갔습니다. 기차역 앞에는 손님을 기다리는 택시들이 죽 십수대 줄을 지어 서 있었습니다. 그 택시들을 보는 순간 저는 제가 뭘 보고 있는 건지 제 눈이 의심스러웠습니다. 그 택시들이 모두 전부 다 벤츠였습니다. 그때 알았습니다. 독일의 국민차가 벤츠인 것을.

한국에서도 그렇지만, 캐나다에 이민 온 사람들이 한번 타보고 싶어하는 차중에 아마도 벤츠가 탑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BMW를 선호하는 사람도 있어서 거의 반반이겠지만, 웬지 벤츠가 더 전통적인 강호고 클래식한 기분이 있어서 젊은 층에서도 의외로 벤츠를 더 선호하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그러면 벤츠의 뭐가 좋아서 사람들은 일생에 한번 벤츠를 타보고 싶어하는 것일까요? 백프로 그 둥근 원 안에 있는 삼각 표시의 그 벤츠 브랜드를 보이며 뻐시고 싶은 욕망 때문입니다. 사실 차는 까놓고 보면 벤츠라고 달리 특별한 것 하나 없는 것이 팩트입니다. 캐나다에 와서 20년 넘게 정비를 하면서 제가 직접 체크하고 경험한 팩트입니다. 한국에서 현대 자동차 연구소에서 18년간 신차(新車) 개발 엔지니어로 일한 경험도 있어서 설계적인 측면에서도 동시에 같이 평가해보게 됩니다.

오늘도 벤츠 한 대를 손 보았습니다. 일하는 딜러의 세일즈쪽 직원의 차입니다. 10년 된 벤츠입니다. 벤츠 엠블렘은 아직 멀쩡합니다. 차의 모든 부분이 이 처럼 멀쩡해야 과연 벤츠라는 소릴 들을 자격이 있습니다. 


독일차를 모를 때는 독일차들은 녹도 잘 슬지 않는 줄 알았습니다. 부식방지 대책을 기술적으로 아주 잘 하는 줄 알았습니다. 일본차 중에 부식에 제일 강한 차는 경험해보니, 혼다입니다. 토요타는 GM보다도 못합니다. GM이 의외로 부식에 강한 면이 있습니다. 제가가 경험한 바로는 독일차의 부식은 토요타보다도 못합니다.

앞쪽 브레이크 작업을 하면서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패드 라이프 센서를 떼어내려고 브라케트를 고정한 볼트를 푸는데, 볼트가 아주 맥없이 부러져 나갑니다. 큰 기대는 하지 않았지만, 대실망.


로터를 떼어내려고 로터 고정 스크류를 풀어내려고 하니, 부식으로 쩔어붙어 스크류가 돌아가지 않습니다. 뾰족한 치젤(chisel)로 쳐서 힘겹게 풀어냈습니다. 4개 모두.


뒤쪽 파킹 브레이크는 일렉트릭 파킹 브레이크입니다. 뒤쪽 패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파킹 브레이크를 리트랙트(retract)시켜야 합니다. 그걸 하기 위해서는 이그니션 키를 액세서리 모드에 놓고 스티어링 핸들에 있는 전화버튼과 OK키를 동시에 눌러 서비스 모드로 세팅을 시켜 주어야 합니다.


그러면 툴을 사용하여 뒤쪽 브레이크 캘리퍼 피스톤을 뒤로 물러나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조그만 벤츠차, 비록 제 차보다 3년 정도 더 되긴 했지만, 제가 타고 있는 토요타 코롤라보다 전반적으로 차 상태가 좋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엠블렘의 허상에 속아 쓸데없이 비싼 차 사는데 돈을 낭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나오고 있는 기아나 현대차들은 벤츠나 BMW보다 더 가성비가 있을 뿐더러, 품질에서도 더 이상 큰 차이가 없이 거의 대등한 수준입니다.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든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보실 경우,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글이 열립니다.

https://vancouver-story.blogspot.com 

https://www.youtube.com/@vancouver-story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예람 워십

Into the Snow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