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자동차 산업
미래의 자동차 산업
*This blog post is written in Korean. To view it in English, you can use a translation app or select your web browser's translation option to view it in English.
2019년형 쉐비 픽업 트럭(Chevrolet Silverado)의 워터 펌프, 엔진 오일 쿨러 라인, 그리고 점화 플러그를 교체하는 작업을 했습니다. RPO코드 L82 엔진(배기량 5.3리터 V8 ECOTEC3)은 다른 엔진과 이 세 가지 작업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달라서 쉬우면 좋은데 세 가지 작업 모두 다른 엔진에 비하여 번거롭고 힘듭니다.
워터 펌프 먼저 교체한 다음에 퇴근하고 다음 날, 스파크 플러그 교체 작업을 어떻게 후다닥 간단하게 할 수 있을까 잠들면서까지 상상 작업, 아이디어 동원을 해보았지만 별 뾰족한 수가 없습니다. 다음 날, 일단 다른 것 뜯어내지 않고, 플라이어로 스파크 플러그 와이어를 잡아 빼내려고 해보았지만, 손이 움직이는 공간이 너무 협소하고 비좁은 공간에서 손목이 꺽여 힘을 제대로 줄 수 없어 작업하기가 난감합니다. 그래서 “졌다” 포기하고, 타이어와 휠하우스 라이너를 떼어냈습니다. 그제서야 비로소 스파크 플러그가 훤히 잘 들여다 보이고 손을 쭉 뻗어 바로 스파크 플러그에 닿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힘을 효과적으로 줄 수 있어 스파크 플러그 와이어를 분리해낼 수 있었습니다. 스파크 플러그 교체 작업의 핵심은 스파크 플러그에서 스파크 플러그를 와이어를 빼내는 작업입니다. 그것만 하면 스파크 플러그를 풀어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아래 그림에서 A가 스파크 플러그이고, B가 스파크 플러그 와이어입니다. 엔진 컨트롤 모듈도 보입니다.
쉽지 않았던 세가지 작업을 마무리하면서 보니, 옆에서 엔진을 교체하고 있던 친구도 세 엔진을 올려 붙이고 작업을 마무리해가고 있습니다. 그 엔진은 타이밍쪽에 문제가 생겨 엔진 내부가 손상을 입어서 엔진을 교체하는 것입니다. 불과 수년 전까지만 해도 엔진 어디가 고장나면 헤드를 전문업체에 보내 리빌트시키고, 필요한 부품을 미캐닉들이 하나하나 교체했는데, 요즘은 엔진에 문제 있다고 하면 그냥 엔진을 통째로 교체해버립니다.
그렇게 된 이유는 엔진을 리빌트하는 사업을 하던 세대가 은퇴하면서 그런 업체가 거의 사라져가고 있고, 이제는 시장 환경이 그런 사업이 돈 되는 사업이 아니니 누가 그 사업을 이어받아 하려고 하지도 않습니다. 엔진 문제가 있으면 이제는 딜러가 아예 엔진을 통째로 교체해버리니, 그런 리빌트 산업쪽에 수요가 더 이상 생기지 않는 것도 그 산업이 접어지는 큰 이유가 되기도 합니다.
새 엔진이 도착했다고 그걸 바로 차에 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엔진에는 각종 센서들과 부대 장치가 붙는데, 새 것이 붙어오는 경우도 있고, 어떤 것은 기존의 엔진 것을 떼어다 옮겨붙여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어떤 것이 있는지, 없는지 꼼꼼하게 잘 살펴서 완전하게 준비한 다음에 올려야지 엔진룸에 집어넣은 다음에 붙여 넣을려고 하면 작업이 힘든 것도 있고, 반대로 엔진에 집어넣다가 어디 부딪쳐 망가질 것 같은 것은 엔진을 차에 넣은 다음에 나중에 붙이는 것이 나은 것도 있습니다.
가솔린 엔진이 없어지고 세상의 자동차가 모두 전기차로 바뀐다면, 엔진을 빼내고 올리고 하는 작업은 없어지겠지요. 세상에서 엔진이 사라진다면, 기계산업을 대표하는 인프라 하나가 사라지는 것입니다. 엔진이 소비하는 철강 원자재의 규모가 어마어마할텐데 산업에 미치는 여파나 환경변화의 규모도 꽤 클 것 같습니다. 수십년간, 백 수십년간 발전시켜온 기계장치 산업의 노하우가 사장될텐데, 그게 필요없는 게 사라지는 것일까요? 아니면 나중에 다시 되돌려 복원하기 쉽지 않은 문화유산(문명유산?) 하나가 사라지는 것일까요? 미래에는 굴러다니는 것은 없고, 죄다 날아 다니게 되는 것인가요? ‘휙 휙’ 스타워즈 영화에서 그리고 있는 그림처럼. 그 정도되면 지금의 자동차 엔진 정도야 그게 없다고 아쉬워 할 것 하나 없는, 필름을 넣어 사진을 찍던 옛날 카메라 정도의 쓸데없는 물건 정도로 생각이 되겠지요.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든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보실 경우,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글이 열립니다.
https://vancouver-story.blogspot.com
https://www.youtube.com/@vancouver-story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