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 리플리
미스터 리플리
요즘 보면 기아 자동차 디자인이 현대차 보다 더 세련되어 보입니다. 제가 현대 자동차 화성 연구소에서 선임 연구원(차장)으로 일하고 있던 시절에 현대가 기아를 흡수했습니다. 당시 미국 현지에서는 이 일로 인해 현대의 품질 수준이 기아 때문에 떨어질 것을 우려 했습니다. 당시만 하더라도 기아의 품질 수준이 현대에 많이 좀 미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현대가 누구입니까? 결정 과감하게 하고 밀어붙이는데는 일가견이 있는 그룹입니다. 현대 연구소의 과장급 이상을 기아 연구소로 끌고가 구경 시키고, 기아 연구소 과장급 이상을 끌고와 현대 연구소 분위기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더니 이어서 기아 품질 혁신팀을 꾸리고, 현대 사람들을 기아에 대량으로 심고, 둘을 한 분위기로 싸잡는 노력을 했습니다. 그로 인해 품질이 동반 하향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며 동반 상승하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렇게 서로 성장하더니, 지금 나오는 차들은 디자인이 기아가 더 나 보입니다. 한국을 떠난지 오래 되어서 품질 수준들이 얼마나 변했는지 모르겠지만 웬지 감으로는 이제는 둘 모두 믿을만하게 변하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품질이 좋아지지 않았다면 현대와 기아차 모두 밴쿠버 거리에 이렇게 많이 보일 수가 없는 일입니다.
그 시절, 밑에 과장 여럿을 두고 일을 했는데, 이즈음 생각하는 과장 하나가 있습니다. K과장, 전자 장치 담당 과장이었습니다. 당시 전자 장치 중에 제일 핵심적인 장치는 오디오였습니다. 그리고 90년대 중반에 자동차 내부의 전자기기 간의 통신에 LAN이라는 개념이 등장하던 시기였고, 네비게이션도 개발되기 시작하던 때였습니다.
어떤 새로운 장치를 개발하려면 시제품을 만들고, 정상적으로 잘 작동하는지, 정상적으로 잘 작동할 때까지 개발, 시험, 설계변경 등의 과정을 반복해서 거쳐야 합니다. 테스트를 할 때는 테스트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그걸 테스트 프로시저(Test Procedure)리고 합니다. 통상 TDP(Test and Development Procedure)로 부릅니다.
그런데 네비게이션은 그 당시 처음 등장하는 것이니, 그걸 테스트하면서 기준 삼을 TDP가 없었습니다. 현대 자동차 연구소에 아무 것도 없던 시절에는 미쯔비시 연구소의 TDP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했고, 그것을 참조하여 서서히 현대 자동차 고유의 자체 TDP를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당시는 네비게이션 TDP가 미쯔비시에도 있을리가 없으니, 우리 스스로 만들어야 했습니다. 전자 장치 담당 K과장에게 네비게이션 TDP를 만들라고 오더를 했습니다.
정말 오래 미적거리더만 만들어 온 TDP가 전자 전공이 아닌 제 눈에도 좀 엉성했습니다. 일단 이걸로 결재 받고, 차츰 개선해나가자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 K과장이 좀 문제가 있는 친구였습니다. 스트레스 때문에 약을 복용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K과장의 부하 직원을 불러 얘기를 하다보면 이 녀석들이 의리가 있어서 머뭇거리고, 난감한 표정을 지으며 뭔가 이야기하기 곤란한 것들이 있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나중에 안 내용이지만, 부하 직원들에게 고약하게 굴고, 시험용 오디오를 시험한답시고 가지고 나가 팔아먹고 그런 짓을 한 모양입니다.
이 친구를 나중에 기아로 보냈는데, 기아에 가서는 현대 네비게이션 TDP가 개판이라고 욕을 했다고 합니다. 자기가 엉성하게 만든 것을 가지고 그걸 욕을 하다니! 완전 또라이입니다. 그 때는 몰랐는데, 스트레스 때문에 약을 먹었다는 것으로 볼 때, 정신병이 있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제가 지금 밴쿠버에서 일하고 있는 곳은 GM딜러입니다. 벌써 10년이 넘었습니다. 그런데 처음 이곳에서 일을 시작할 때 매니저들의 성질이 정말 불같은데 정말 놀랐습니다. 화 나는 일을 보면 그냥 여과없이 사람 보는 그 앞에서 불 같이 화를 내는 모습을 보면서 정말 황당했습니다. 큰 매니저도 그렇고 작은 매니저도 그렇고. 그런데 나중에 알고보니, 그들 모두 앵거 컨트롤(anger control) 치료를 받고 약을 먹는다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는 심성이 나쁜 사람들은 아니고 꽤 합리적이고 괜찮은 사람들이고, 무엇보다도 테크니션들을 대우해주고 이해해주어 지금까지 10년 넘게 함께 해왔습니다.
돌이켜 보면 스쿼미쉬 토요타에서 2년 일하던 동안 겪어보았던 그곳 매니저가 사이코였고, 오래 전에 잠깐 일한 코퀴틀람에 있는 기아딜러는 테크니션들 화장실 갈 수도 없게 한 사이코 중에 상사이코들입니다. 그 두 곳은 테크니션들이 일할 곳이 되지 못합니다. 그러고 보니 세상 어딜 가나 정신병자들이 있는 세상입니다. 그렇게 생각을 해야 지금 이렇게 돌아가는 세상을 이해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정말로 요즘 세상을 보니, 온통 정신병자들 투성이입니다. K과장을 보면서 “뭔 정신병이고, 뭔 약이냐?” 그런 생각을 했었고, “정신병은 무슨, 사람이 못나서 그런 거 아냐?”라고 저 세상일인 것처럼 그 시절 생각을 했는데, 알고보니 이 세상이 온통 정신병동 같은 곳입니다. 트럼프, 앨런 머스크, 이런 놈들이 정상입니까? 정신병자들 아닌가요? 프랑스에서는 ADHD 환자가 너무 많아 ADHD는 병이 아니다라고 선언했다고 합니다. 한 나라가 세상이 정신병자들 투성이라는 것을 스스로 인정한 것입니다. 이제야 K과장이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정신병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그런 것이 있나보다, 현실적인 생각이 듭니다.
도대체 정신병이 뭔지 왜 그런 것인지, 자기 스스로 극복할 수 없는 것인지 궁금하여 요즘 모르는 것 없다는 AI(구글 Gemini)에게 물어보았습니다. 그랬더니 이런 답변을 합니다.
=====
정신병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
정신 질환은 매우 다양하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1. 신경발달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반복적인 행동을 보이는 장애입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주의력 부족, 과잉 행동,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입니다.
지적 장애: 인지 능력 발달이 지연되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장애입니다.
학습 장애: 읽기, 쓰기, 수학 등 특정 학습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는 장애입니다.
2.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조현병: 망상, 환각, 와해된 사고 및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심각한 정신 질환입니다.
망상 장애: 현실과 동떨어진 비합리적인 믿음(망상)을 갖는 장애입니다.
3. 양극성 관련 장애:
양극성 장애(조울증): 조증(기분 고조)과 우울증(기분 저하)이 번갈아 나타나는 장애입니다.
4. 우울 장애:
주요 우울 장애: 지속적인 슬픔, 절망감, 흥미 상실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입니다.
지속성 우울 장애(기분부전장애): 만성적인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 장애입니다.
5. 불안 장애:
범불안 장애: 과도한 불안과 걱정이 지속되는 장애입니다.
공황 장애: 갑작스러운 극심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는 공황 발작을 경험하는 장애입니다.
사회불안 장애(사회공포증): 사회적 상황에서 심한 불안과 두려움을 느끼는 장애입니다.
특정 공포증: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극심한 공포를 느끼는 장애입니다.
분리불안 장애: 애착 대상과 분리되는 것에 대한 불안을 느끼는 장애입니다.
6. 강박 장애:
강박 장애(OCD): 원치 않는 생각(강박 사고)과 반복적인 행동(강박 행동)을 보이는 장애입니다.
7.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심각한 외상 경험 후 불안, 회상, 회피 등의 증상을 보이는 장애입니다.
적응 장애: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부적응적인 반응을 보이는 장애입니다.
8. 인격 장애:
경계성 인격 장애: 불안정한 대인관계, 감정 기복,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입니다.
회피성 인격 장애: 사회적 억제, 열등감, 타인의 평가에 대한 과민성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입니다.
9. 신경인지 장애:
알츠하이머병: 기억력, 언어 능력, 판단력 등 인지 기능이 점진적으로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혈관성 신경인지 장애: 뇌혈관 질환으로 인해 인지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입니다.
10. 물질 관련 및 중독성 장애:
알코올 사용 장애: 알코올에 대한 의존성 및 남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장애입니다.
약물 사용 장애: 특정 약물에 대한 의존성 및 남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장애입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정신 질환이 있으며, 각 질환은 고유한 증상과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만약 정신 건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Types of psychosis
Psychosis is a condition that affects the way your brain processes information. It causes you to lose touch with reality.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psychosis is a symptom, not an illness in itself. It can be caused by various mental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s. Here's a breakdown of types and related information:
Key Features of Psychosis:
Hallucinations: Sensory experiences that appear real but are created by your mind. These can involve seeing, hearing, smelling, tasting, or feeling things that aren't there.
Delusions: False beliefs that are not based in reality and that the person refuses to give up, even when presented with evidence.
Disorganized thinking (speech): Difficulty organizing thoughts and speaking coherently.
Disorganized or abnormal motor behavior: This can range from childlike silliness to unpredictable agitation.
Psychotic Disorders:
Psychosis can be a symptom of several mental health disorders, including:
Schizophrenia:
A chronic brain disorder that affects a person's ability to think, feel, and behave clearly.
Schizoaffective Disorder:
A combination of schizophrenia symptoms (like hallucinations or delusions) and mood disorder symptoms (like depression or mania).
Delusional Disorder:
Characterized by having one or more delusions for a month or longer.
Brief Psychotic Disorder:
A sudden, short-term episode of psychotic behavior, often triggered by a stressful event.
Bipolar Disorder:
Psychosis can occur during severe manic or depressive episodes.
Psychotic Depression:
Severe depression accompanied by psychotic symptoms.
Substance-Induced Psychotic Disorder:
Psychosis caused by the use of or withdrawal from drugs or alcohol.
Psychotic disorder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Some medical conditions can cause psychotic symptoms.
Postpartum Psychosis:
A rare but serious mental health condition that can develop after giving birth.
Important Considerations:
It's crucial to seek professional help if you or someone you know experiences psychosis.
Early inter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outcomes.
Treatment typically involves a combination of medication and therapy.
I hope this information is helpful.
Sources and related content
=====
정신병 리스트를 보니, ADHD는 확실히 정신병 맞군요? 그런데 프랑스에서는 왜 ADHD를 더 이상 정신병으로 보지 않겠다는 것이지요? 나라꼴이 제대로 돌아갈 것 같지 않습니다. 프랑스는 이미 망해가고 있나요?
그런데 보니 정신병 리스트 중에 리플리 증후군은 보이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시 AI에게 물어보았습니다.
====
리플리 신드롬은 정신병이 아닌가
리플리 증후군은 공식적인 정신 질환으로 분류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정신 건강과 관련된 복잡한 심리적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다음은 리플리 증후군에 대한 몇 가지 핵심 정보입니다.
정의:
리플리 증후군은 자신의 현실을 부정하고 허구의 세계를 진실로 믿으며, 지속적으로 거짓된 말과 행동을 반복하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퍼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씨'의 주인공 톰 리플리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정신 질환 여부:
의학계에서는 리플리 증후군을 독립적인 질병으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전문가들은 리플리 증후군이 다른 정신 질환(예: 경계성 인격 장애, 자기애성 인격 장애)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리플리 증후군만 놓고 보면 정신과 질환이라 보기 어렵다. 정신질환이 되려면 해당 증상으로 사회, 직업, 가족 기능등 일상에 장애가 발생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관련 심리적 특징:
강한 열등감과 현실에 대한 불만족
허구의 세계를 통해 자존감을 유지하려는 욕구
거짓말을 진실로 믿는 자기기만
유사 질환:
허언증: 거짓말을 반복적으로 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리플리 증후군과 유사한 측면이 있습니다.
원인:
경쟁적인 사회 분위기, 과도한 스트레스, 낮은 자존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리플리 증후군과 관련된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경우, 정신 건강 전문가의 상담과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세상은 리플리 증후군을 정신병으로 보지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해당 증상으로 사회, 직업, 가족 기능등 일상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럼 증상이 좀 가벼운 병인가요? 그런데 이 증상이 심하면 정신병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하는 말은 이 병도 정신병 범주에 넣어야 하는 것 아닌가요?
리플리 증후군은 파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재능있는 리플리씨”(The Talented Mr. Ripley)라는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 리플리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정작 소설에서 리플리는 교묘하게 살인을 서슴치 않고 있는데, 리플리 증후군은 남에게 피해주지 않는 선의 거짓말을 계속하는 증상으로 가볍게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리플리 증후군 증세를 보이는 사람을 보면 재미는 있습니다. 이 증상을 보이는 사람은 입이 무겁지 않고 쉼 없이 뭔가 말합니다. 그런데 그 말이 전에 한 말과 나중에 한 말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너무 많은 말을 지어냈기 때문에 그 모든 내용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을 수가 없습니다. 모든 말이 스토리가 맞으려면 머리가 좋고 기억력이 좋고 용의주도해야 합니다. 그런데 그렇지 못하니, 정작 듣는 사람이 더 헷갈립니다.
그러니 리플리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사기꾼은 되지 못합니다. 용의주도하지 않기 때문에 사기를 칠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사람은 왜 이렇듯 형편없이 망가진 것일까요? 아마도 에덴 동산에서 죄를 짓고 쫓겨나가면서 서서히 그리고 노아의 홍수 이후 사람의 수명이 줄어드는 것과 같이 하여 급격하게 정신병이 창궐하기 시작한 것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땅에 엉겅퀴와 가시덤불이 생기면서 사람의 정신 속에 가시덤불이 덮이기 시작한 것은 아닐까요?
[창3:18] 땅이 네게 가시덤불과 엉겅퀴를 낼 것이라 네가 먹을 것은 밭의 채소인즉
[Ge 3:18, NIV] It will produce thorns and thistles for you, and you will eat the plants of the field.
이 나이까지 살면서 정말 몰랐는데, 트럼프를 보면서, 엘런 머스크를 보면서, 푸틴을 보면서, 윤석열을 보면서, 태극기 부대를 보면서, 극우화된 교회와 목사들을 보면서, 성경을 읽다보면, 이런 사람들이 정작 정신병자들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듭니다.
[롬1:28-32]
28 또한 그들이 마음에 하나님 두기를 싫어하매 하나님께서 그들을 그 상실한 마음대로 내버려 두사 합당하지 못한 일을 하게 하셨으니
29 곧 모든 불의, 추악, 탐욕, 악의가 가득한 자요 시기, 살인, 분쟁, 사기, 악독이 가득한 자요 수군수군하는 자요
30 비방하는 자요 하나님께서 미워하시는 자요 능욕하는 자요 교만한 자요 자랑하는 자요 악을 도모하는 자요 부모를 거역하는 자요
31 우매한 자요 배약하는 자요 무정한 자요 무자비한 자라
32 그들이 이같은 일을 행하는 자는 사형에 해당한다고 하나님께서 정하심을 알고도 자기들만 행할 뿐 아니라 또한 그런 일을 행하는 자들을 옳다 하느니라
[Ro 1:28-32, NIV]
28 Furthermore, just as they did not think it worthwhile to retain the knowledge of God, so God gave them over to a depraved mind, so that they do what ought not to be done.
29 They have become filled with every kind of wickedness, evil, greed and depravity. They are full of envy, murder, strife, deceit and malice. They are gossips,
30 slanderers, God-haters, insolent, arrogant and boastful; they invent ways of doing evil; they disobey their parents;
31 they have no understanding, no fidelity, no love, no mercy.
32 Although they know God's righteous decree that those who do such things deserve death, they not only continue to do these very things but also approve of those who practice them.
제 블로그 홈페이지를 열면 블로그의 모든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이나 PC에서 보실 경우, 글의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글이 열립니다.
https://vancouver-story.blogspot.com
https://www.youtube.com/@vancouver-story
댓글
댓글 쓰기